Systemd 는 기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해왔던 init script 를 대체한다. 배포판마다 적용된 버전이 다른데, CentOS에 경우에는 7 버전부터 Ubuntu 의 경우에는 16.04 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Systemd 는 부팅과정에서 최초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며 리눅스 시스템 전체를 움직하게 하는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는 또 다른 프로세스들을 제어하는데 이를 위해서 systemd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부팅과정에서 자동으로 데몬들을 실행시키는 것도 systemd 가 하는데 이 프로그램은 데몬에 대한 명세서인 unit 파일을 기반으로 실행을 시켜준다. 이러한 파일들은 전역 시스템 영역에 속한다. 전역 systemd 영역 전역 systemd 영역의 파일들은 다음에 […]
ElasticSearch 6.4.x 노리(Nori) 형태소 분석기
ElasticSearch 는 루신을 기반으로 하는 전문 텍스트 검색 엔진이다. ElasticSearch 는 어떤 문장에 대해서 이를 분해한다. 문제는 ElasticSearch 가 외국에서 만든거라서 영어를 기반으로한 문장에 대해서는 분해하고 분석해준다. 하지만 그외에 대해서는 공백을 기반으로 문장을 분석한다. 여기서 문장에 대해서 좀 더 생각을 해봐야 한다. 문장을 분석할때에는 약간의 지식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게 있다고 하자. 고양이는 귀엽다 ElasticSearch 가 이 문장을 분석하면 ‘고양이는’, ‘귀엽다’ 로 분해한다. 하지만 이 문장에는 ‘고양이’ 라는 명사가 있고 ‘는’ 이라는 조사, ‘귀엽다’ 라는 동사가 존재한다. (정확한지는 나도 잘 […]
ElasticSearch Nodes
ElasticSearch 는 노드(node) 로 불리운다. Node 는 ElasticSearch 의 독립된 인스턴스다. 그런데, 이 Node 에는 역할이 있으며 어떻게 Node 에 역할을 부여하는지에 해서 알아본다. Node Type Master Node 마스터 노드(Master Node) 는 ElasticSearch 의 클러스터(Cluster) 전체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다. ElasticSearch 는 분산검색엔진이며 각 노드들은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하나의 그룹내의 멤버들로 관리되는데 이렇게 ‘하나의 그룹’ 을 클러스터라고 한다. 클러스터내에 노드들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들의 유기적인 통제를 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마스터 노드이다. ElasticSearch 의 공식 문서에 보면 […]
ElasticSearch 시스템 설정
ElasticSearch 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해줄 필요가 있다. 이는 ElasticSearch 문서에도 아주 잘 나와 있다. Max Open File 리눅스 시스템은 사용자별로 최대 파일 오픈 개수를 제한 하고 있다. 이를 늘려주기 위해서는 /etc/security/limits.conf 파일에서 늘려줄 수 있다.
1 |
elastic - nofile 65536 |
맨 앞에 문자열은 시스템 계정이며 맨 뒤에 숫자는 오픈가능한 최대치 값이다. ElasticSearch 에서는 65536 값을 권장하고 있다. 파일에 저장하고 계정을 재로그인하면 바로 적용된다. Memlock 해제. Memory Lock 에 대해서 무제한으로 해제를 해줘야 한다. 이것 역시 /etc/security/limits.conf 파일에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