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akarta EE 8 has the same set of specifications from Java EE 8 with no changes in its features. The only change is the new process to evolve these specifications. With this, Jakarta EE 8 is a milestone in Java enterprise history, as it inserts these specifications in a new process to boost the specifications to a cloud-native application approach.
자바(Java) 세계에서 언제부터인지 스트림(Stream) 이라는 단어를 목격하게 되었다. 내 기억으로는 Java 8 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은데 난데없는 이 단어가 왜 그렇게 핵심이 되었는지가 의문이였다. 도대체 왜 스트림(Stream) 이냐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기도 어려웠던 시절이기도 하다. 그져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데에 몰두하는 모습만 목격됐을 뿐이다.
java.util.stream
스트림(Stream) 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데이터 소스(Array, List) 로부터 흐름을 가지는 데이터의 집합체이며 통합연산을(bulk processing) 통해 데이터를 변형시키고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그 데이터를 소비하도록 한다.
스트림을 다루게 되면 항상 다음과 같은 데이터 소스들을 만나게 된다. 모두 데이터의 집합체들이다.
Array
List
하필 왜 데이터 집합체들일까
컴퓨터 알고리즘 필요성과 유사한 스트림(Stream)
난데 없이 컴퓨터 알고리즘을 꺼내온 이유가 있다. 컴퓨터 알고리즘을 공부할때에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이 정렬(sort)문제이다. 그런데, 이런 질문을 하게된다.
왜 하필 정렬부터 인가?
이에 대한 대답은 간단다.
Compute 연산과 Memory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컴퓨터가 중복된 데이터를 어떻게 찾아낼까? 정렬을하면 쉽게 해결된다. 정렬된 데이터가 아니라면 모든 데이터를 비교해야 하지만 정렬할 경우에 같은 위상을 같은 데이터 값이 나오게 되는데 이를 하나만 남기고 지우면 간단해 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Memory 공간도 절약하게 되고 이렇게 중복되지 않은 데이터를 가지고 Compute 연산을 할 경우에 당연히 그에 들어가는 비용도 줄게 된다.
자바에서 스트림도 이와 유사하다.
자바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은 다양한다. 이는 데이터 소스를 통해서 다루어지는데, 이 데이터 소스를 간단하게 타입(Type) 이라고 생각해보자. 정수형, 문자열 등은 가장 단순한 타입이다.
Primative
1
2
inta=10;
Stringb="systemv";
이런 타입들은 단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하고 있을 뿐 “데이터들” 을 가지고 있지 않다. Compute 연산 알고리즘에서는 여러 데이터들의 집합을 다룬다.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들이란 집합을 이야기 한다. 따라서 데이터 소스라고하면 “데이터들” 을 지칭하며 자바에서 이런형태의 데이터 타입은 Array, List 가 대표적이다.
Array
1
2
3
4
5
privatestaticEmployee[]arrayOfEmps={
newEmployee(1,"Amazon",10.0),
newEmployee(2,"MSFT",20.5),
newEmployee(3,"Samsung",30.0)
};
그럼 이런 생각을 하게된다. 데이터 집합체들을 어떻게 하면 빠르게 중복을 제거하고 연산을 하게 만들 것인가? 과거에 For loop 문과 같은 것을 이용해서 조건식을 붙이면서 사용을 할 수도 있다.
람다(Lambda)
연속된 데이터들을 다루기만 할 거라면 단순하게 For loop 문을 이용하면 된다. 만일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연속된 데이터를 처리할때에 병렬을 이용해서 처리보자.
For loop 문에서 병렬처리는 쉬운게 아니다. Thread 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건 동시성 프로그래밍이지 병렬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 자바 8 에서는 람다(Lambda) 를 도입했다. 이것에 대한 정의를 보면 함수형 프로그래밍(Funtional Programming) 이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 병렬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자바 8 스트림은 이 람다를 기반으로 한다. 결국에 스트림은 벌크 프로세싱(Bulk Processing) 을 람다를 사용해 구현하여 빠른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스트림 – 흐른다.
스트림의 중요한 특징은 흐름이다.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다룰때 흐름 없이 다루는 경우도 많다. 앞에서 컴퓨터가 다루는 데이터는 “데이터들” 이라고 했는데, 이것들을 흐름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게 스트림이다.
“흐른다” 라는 말을 수도관을 떠올리게 한다. 왼쪽에 물을 흘려보내면 오른쪽으로 물이 나온다. 데이터를 왼쪽에서 흘려보내면 오른쪽으로 물이 나온다. 만일 이 물이 설탕물로 만들고 싶다면 중간에 설탕을 뿌리면된다. 이물질을 제거하고 싶다면 이물질 제거기를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보면 누군가 데이터를 흘려보내는 놈이 필요하고 데이터를 받아 마시는 놈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을 Producer 와 Comsumer 관계라고 부른다.
리액티브 와 무슨 관계?
자바 스트림과 Reactive 관계보다 차이가 존재한다.
스트림(Stream) 은 데이터를 생산하면 즉각 소비가 발생한다. 하지만 리액티브 는 그렇지 않다. 리액티브 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생산과 소비가 발생한다. 생산과 소비가 즉각적이지 않다.
이말을 잘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스트림은 데이터를 다루는 영역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연산을 할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하지만 Reactive 는 프로그래밍 연산보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요청과 리턴에 접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차이는 또 있다. 리액티브 에서 생산자는 반드시 흐름 데이터만 만들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웹에서 클릭(Click) 조차도 리액티브 에서 생산자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연속된 데이터 흐름이 없다보니 뭔가 생산하는 개념이 아닌것이여서 생산자(Producer) 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즉각적으로 소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라는 말도 중요하다. 비동기적으로 데이터 리턴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하지만 리턴 값을 받기 위한 준비는 항상하고 있다는것도 중요하다.
리액티브 는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요청, 리턴 모델에 적합하다. 리액티브 요청한 것에 대한 데이터들을 다룰때에는 스트림을 이용할 수도 있다.
Message Request processing failed;nested exception isorg.springframework.transaction.CannotCreateTransactionException:Could notopen JDBC Connection fortransaction;nested exception isjava.sql.SQLException:Cannot create PoolableConnectionFactory(The server timezone value'KST'isunrecognized orrepresents morethan one timezone.You must configure either the server orJDBC driver(via the serverTimezone configuration property)touseamorespecifc timezone value ifyou want toutilize timezone support.)
Description The server encountered an unexpected condition that prevented it from fulfilling the request.
자세히 보면 java.sql.SQLException 이 보인다. 이 경우는 결국에는 데이터베이스쪽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며, MySQL을 사용할 경우에 보이게 된다. 이는 MySQL의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존 설정이 맞지 않아 생기는 오류다.
MySQL 5.7, MariaDB 10
MySQL 5.7 과 MariaDB 10 을 사용한다면 my.cnf 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MySQL 5.7
INI
1
2
#timezone설정
default-time-zone=Asia/Seoul
설정할 수 있는 타임존 리스트는 MySQL 메뉴얼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렇게 했는데도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날 가능성도 있다.
Sometime ago, I found themes of Jeeeyul’s for the Eclipse. But now I can’t find it anywhere in the internet. I have some themes of Jeeeyul’s, so I post it.
이 페이지는 Java 관련 외부 링크를 정리한 것입니다. 훌륭하게 정리한 글들이 넘쳐나고 있는데 이것을 퍼오는것보다 링크를 걸어두는게 더 좋을 것 같아 만들었습니다. 물론 몇몇 글중에는, 내 개인 기준으로 이런게 더 들어갔으면 좋겠다라고 했던 것은 제 블로그에 Post 로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위 예제는 Inline Values 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별다른 객체, 메소드의 도움이 바로 할당하는 형식이 바로 Inline Values 라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코드 블럭(Code Block) 자체를 인라인으로 할당 할 수 있지 않을까? 다음과 같이 말이다.
Inline Code Block
Java
1
2
3
4
aBlockOfCode={
....
....
}
실제로 JavaScript 에서는 Inline 함수라고 해서 존재한다.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갖는다.
JavaScript 에서의 인라인 함수
JavaScript
1
2
3
4
5
6
7
8
9
10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test=function(){
alert("이것은 인라인 함수입니다.");
}
</script>
<ahref="#"onclick="javascript:test();">함수실행!!</a>
출처:http://ooz.co.kr/195 [이러쿵저러쿵]
Java 8 에서의 람다 표현식은 JavaScript 에서의 인라인 표기와 유사하다.
HelloWorld 람다
HelloWorld 를 통해서 람다 표현식을 익혀보자.
HelloWorld.
Java
1
2
3
publicvoidperform(){
System.out.print("Hello World!");
}
전형적인 HelloWorld 코드다. 이것을 람다 표현식으로 어떻게 바꿀까? 먼저 메소드 자체를 Inline Value 할당하듯이 가상의 변수에 할당해보자. 다음과 같이.
Inlie Value
Java
1
2
3
aBlockOfCode=publicvoidperform(){
System.out.print("Hello World!");
}
public 은 접근제한자라고 해서 protected, private 등이 있다. 변수에 할당하는 행위에서 있어서 이러한 접근제한자는 의미가 없다. OOP 에서는 객체의 변수를 직접 받는것이 아니라 메소드를 통해서 할당 받는데, 람다 표현식에서는 Inline Value 로 직접 할당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지우자!
Java
1
2
3
aBlockOfCode=voidperform(){
System.out.print("Hello World!");
}
코드를 다시보면 perform 이라는 함수 이름이 존재한다. 하지만 코드 블럭자체를 왼쪽 변수에 할당하고 그러한 코드 블럭은 왼쪽 aBlockOfCode 를 호출함으로써 동작하게 될터이다. 따라서 perform 이라는 함수 자체를 지칭하는 이름은 불 필요하다. 이는 앞서본 JavaScript 의 인라인함수 표현식에서처럼 할당되는 함수의 이름이 없는것과 같다. 지우자!
Java
1
2
3
aBlockOfCode=void(){
System.out.print("Hello World!");
}
void 는 리턴타입을 말한다. 아무런 리턴도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Java 8 컴파일러는 똑똑하다. 람다 표현식에서 리턴타입을 명시하지 않더라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해준다. 지우자!
Java
1
2
3
aBlockOfCode=(){
System.out.print("Hello World!");
}
다 됐다. Java 8 에서 람다 표현식에서는 -> 를 이용한다. 다음이 Java 8의 람다 표현식의 완성이다.
Java
1
2
3
aBlockOfCode=()->{
System.out.print("Hello World!");
};
이게 정상적인 코드라구? 그렇다. Java 8 에 도입된 람다표현식이다. 정확하게 잘 동작한다. 위를 좀 더 간결하게 바꿔 쓸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