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kubectl 원격 접속 설정

kubectl 은 Kubernetes Client 이다. 이 명령어는 HTTP 통신을 기반으로 Kubernetes Controller 와 RestFul API 통신을 요청하고 결과를 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HTTP RESTFUL API 통신을 한다는 말을 듣는 순간 직감했겠지만 인터넷만 된다면 kubectl 은 어느 컴퓨터에서든 실행이 가능하다. 처음 Kubernetes 설치문서들을 보면 대부분 Master Node 에서 실행되도록 설정을 하는데, 여기서는 다른 컴퓨터에서 kubectl 만 설치해서 Kubernetes Controller 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설치환경 설치 환경은 Mint Linux 19.2 – XFCE4 환경에서 진행했다. kubectl 를 실행하는 […]

Kubernetes

Kubernetes 설치

Kubernetes 설치에 대해서 다룬다. 설치를 위한 환경은 다음과 같다. Master Distribution: Ubuntu 18.04 IP: 192.168.96.14 hostname: kmaster account: systemv Worker Node Distribution: CentOS 7 IP: 192.168.96.15 hostname: knode account: systemv CNI: Flannel 공통 설정 부분 sudo 권한 추가 Master, Node 두 서버 모두 Static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모두 일반 계정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 일반 계정은 sudo 사용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CentOS 7 의 경우에 일반 계정을 생성한 후에 sudo 권한을 주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

HowTo, Linux

Ubuntu 18.04, Static IP 할당하기

Ubuntu 18.04 의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련 작업은 netplan 으로 바뀌었다. 만일 Static IP 를 할당하고 싶다면 netplan 의 설정 파일을 수정하고 적용하면 된다. /etc/netplan/*.yml 여기서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대략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dhcp4: yes 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DHCP 로 아이피를 받아온다. 하지만 이것을 no 바꾸면 Static IP 를 할당할 수 있다. netplan 적용 수정을 다 했다면 다음과 같이 적용해 준다.

HowTo, Linux

Ubuntu 18.04 ethernet 이름 변경하기

Ubuntu 18.04 를 설치하면 ethernet 인터페이스 이름이 과거 eth0 가 아닌 ens3 과 같이 나온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프로그램들이 기본적으로 eth0 를 기본으로 찾기도 한다. eth0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GRUB 파라메터 수정 다음과 같이 Grub 에 파라메터를 추가 한다. Grub 에 파라메터는 /etc/default/grub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추가할 수 있다. 수정된 사항이 Grub 에 반영하기 위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재부팅을 하면 안된다. 특히나 DHCP 환경에서는 다음의 단계를 수행한 후에 재부팅을 해야 한다. netplan 수정 netplan 은 Ubunt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