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le

Gradle 설치

이 문서는 Gradle 설치에 관한 것이다. 설치할 시스템은 Linux 이다. 설치(Installation) Gradle 공식 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다음과 같이 압축을 해제하면 기본적으로 설치는 끝난다. 환경변수 설정 쉘 환경변수는 두가지로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줘야 한다. 쉘 환경변수는 계정에만 적용할 수도 있고 전체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GRADLE_HOME GRADLE_HOME 은 Gradle 설치한 홈 디렉토리를 지정하면 된다. GRADLE_USER_HOME 이 디렉토리는 다운로드한 리소스, 컴파일된 빌드 스크립트들을 캐쉬하는데 사용된다. 의존성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하는 디렉토리이기도 하다. 다음과 같이 디렉토리를 생성해 준다. 이제 이것들을 모두 쉘 환경변수로 등록해 […]

Uncategorized

배민의 배신??

배달의 민족이 딜리버리 히어로에 매각(?) 됐다. 국내 배달앱 1위를 달리는 배달의 민족을 인수한 딜리버리 히어로는 이미 요기요 배달앱을 인수해 한국 시장에 진출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 배달의 민족을 인수한 딜리버리 히어로는 국내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에 올랐다라고 밖에 말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논란은 배달의 민족이 독일계 딜리버리 히어로에 매각한 것을 두고 ‘배신’ 이라는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는데 있다. 국내에 자영업자들의 고열을 빨아 성정한 배달의 민족… ‘민족’ 이라는 어찌보면 ‘국내용’ 간판을 단것도 사람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것도 있을지도 모른다. 이런 논란을 뒤로하고 이것을 바라보는 […]

Java

스트림(Stream)

자바(Java) 세계에서 언제부터인지 스트림(Stream) 이라는 단어를 목격하게 되었다. 내 기억으로는 Java 8 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은데 난데없는 이 단어가 왜 그렇게 핵심이 되었는지가 의문이였다. 도대체 왜 스트림(Stream) 이냐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기도 어려웠던 시절이기도 하다. 그져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데에 몰두하는 모습만 목격됐을 뿐이다. java.util.stream 스트림(Stream) 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데이터 소스(Array, List) 로부터 흐름을 가지는 데이터의 집합체이며 통합연산을(bulk processing) 통해 데이터를 변형시키고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그 데이터를 소비하도록 한다. 스트림을 다루게 되면 항상 다음과 같은 데이터 소스들을 만나게 된다. 모두 […]

HowTo

Time-Series data 특징

Time-Series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 InfluxDB, Prometheus 등이 대표적인데 Time-Series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 본다. High-speed data ingest: ‘고속 데이터 수집’ 으로 번역된다. IoT 사용 사례나 시장 분석 데이터와 같이 꾸준히 고속으로 도착하는 연속된 혹은 한꺼번에 밀려드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대부분의 솔루션들은 데이터를 24시간 365일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Immutable data: ‘변경될 수 없는 데이터’ 로 번역된다. Immutable 은 프로그래밍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단어다. 데이터베이스에 한번 Insert가 되면 데이터 포인트는 데이터가 만료(expire) 되거나 삭제(delete) 되기전까지 그 어떠한 변경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런 데이터는 전통적으로 […]

Uncategorized

대한민국 병.

앞에 DBA 에 대한 비판글을 쓴적이 있다. 실제로 겪은 일이기도 하고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다. 혹자는 “너의 경험이 전부가 아닐 진데, 전체로 매도하고 있다” 라고 항변하겠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모르고 하는 소리다. 환경의 변화 = 안해도되는 것들. DBA 들도 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다. 적어도 내가 있는 분야,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말하면 AWS 클라우드 시스템을 다루다보면 이러한 현상을 자주 목격한다. AWS 클라우드에는 관리형 데이터베이스인 RDS 서비스가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설치하거나 백업을 직접 구축하는 것이 없이 이러한 것들을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손쉽게 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