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에서 만든 킬러 애플리케이션인 MS Office 는 MS 의 클라우드 산업으로 선회하면서 가장 성공적인 클라우드 모델이기도 하다. MS Office 는 개인 사용자용부터 엔터프라이즈 사업자용까지 제품도 다양하지만 라이센스 또한 월 구독료 부터 한번 구매하면 영구적으로 인증되는 까지 다양 하다. 그런데, Office 365 특히나 Family 로 월 구독으로 구매한 사용자의 경우에 설치를 할때에 이 라이센스에 포함된 제품들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방법이 없다. 예를들어 Office 365 Family 의 경우에 Access, Publisher 와 같은 앱도 포함되어 있는데, 사실 일반 사용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제품들이다. […]
쿠버네티스에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오퍼레이터 설치하기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말한다. 프로메테우스는 파일 기반의 타임시리즈(Time-Series) 데이터베이스다. 시스템의 메트릭스들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익스포터(Exportor) 를 설치해야 한다. 이외에도 알람을 전달해주는 AlertManager 도 있는데, 전체적인 아키텍쳐는 다음과 같다. 프로메테우스는 쿠버네티스에서도 설치가 가능한데, 이글은 쿠버네티스에 프로메테우스 설치에 대한 글이다. 환경 환경은 다음과 같다. Kubernetes 버전: 1.20 Kubernetes Nodes: Master 3개, Worker 3개 Prometheus 설치 방법: Helm Operator 설치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설치는 매우 다양한데, 검색을 해보면 Helm 을 이용한 방법 그중에서도 오퍼레이터(Operator) 를 이용한 방법이 많이 소개 되어 있다. 여기서도 이 오퍼레이터를 이용한 방법을 […]
Ingress Nginx
인그레스(Ingress) 는 쿠버네티스에 설치하는 클러스터 내의 서비스에 대한 외부 접근을 관리하는 API 오브젝트이며, 일반적으로 HTTP를 관리한다. 인그레스를 위해서는 인그레스 오브젝트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한 것들이 꽤 있지만 nginx 가 대표적이다. 여기서는 Ingress-Nginx 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 본다. 설치전 고려사항 첫째로 일단 쿠버네티스에 서비스(Service) 에 고려 해야 한다. 쿠버네티스의 서비스는 클러스터내에 접속지점을 생성해 준다. ClusterIP, LoadBalancer, NodePort 세 가지의 타입이 존재한다. 문제는 LoadBalancer 타입인데, 이 타입을 지정해주면 EXTERNAL-IP 가 할당되어야 하지만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할당되지 않는다. LoadBalancer 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를 […]
Metallb 설치하기
쿠버네티스(Kubernetes) 의 서비스(Service) 에 타입에는 Loadbalancer, NodePort 등을 지원한다. 문제는 Loadbalancer 는 클라우드(Cloud) 서비스 사업자를 위한 것으로 AWS, GCP, Azure 에서 제공하는 Loadbalancer 를 위한 것이다. 그런데, 많은 쿠버네티스의 사례를 살펴보면 Loadbalancer 를 사용한 사례가 아주 많다. 그래서 굳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Loadbalancer 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보자해서 만들어진게 바로 Metallb 이다. 필자는 KVM 리눅스 가상화에 쿠버네티스를 설치했다. KVM 가상 시스템의 게스트 OS 들은 브릿지 네트워크 모드로 이기 때문에 필자의 공유기에서 자동으로 아이피를 할당 받거나, 공유기의 대역에 IP를 […]
ElasticSearch 7.13 설치
ElasticSearch 7.13 으로 넘어오면서 변화가 있었다. 그중에는 Node Type 이 없어지고 이제는 Node Role 로 바뀌었다. 6.4 에서 다양하게 있었던 Node Type 은 비교적 대거 정리가 된 느낌이다. Node Role Node Role 은 ElasticSearch 7.13 의 설정 파일인 elasticsearch.yml 파일에서 정의하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에 정의할 수 있는 목록은 다음과 같다. master data data_content data_hot data_warm data_cold data_frozen ingest ml remote_cluster_client transform 필요한 것이 master, data 정도라고 보면 된다. 하나의 노드에 다양한 Role 를 부여할 수 있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1 |
node.roles: [master, data] |
[…]
Rate Limiting with NGINX and NGINX Plus
이 글은 다음의 내용을 대충 번역한 것입니다. Rate Limiting with NGINX and NGINX Plus 아주 유용한 것중에 하나지만 종종 잘못 이해하고 잘못 설정하게되는 NGINX 기능이 속도 제한(rate limiting) 이다. 이것은 주어진 특정한 시간동안 HTTP 요청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요청은 웹사이트의 홈페이지를 위한 GET 요청이나 로그인 폼에 POST 요청이다. 속도 제한은 보안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데, 에를들어 부르트 포스 패스워드 추정 공격의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사용자에 대해 들어오는 요청 비율을 일반적인 값으로 제한하고 (로깅을 […]
ElasticSearch 7.13 기반 책 리뷰
오래전에 “시작하세요! 엘라스틱서치” 라는 책을 구매해 본적이 있다. 지금도 소장하고 있는데, 엘라스틱서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익히는데 손색이 없는 책이라 평가하고 싶다. 단, 내가 볼때에 엘라스틱서치에 버전이 6.4 이다 보니 없어져버린 기능들은, 예를들어 펫싯, 볼 필요가 없었다. 오늘은 최신의 ElasticSearch 7.13 버전에서 이 책에 내용을 한번 살펴보고자 한다. 엘라스틱서치는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변경된 부분이 상당히 많아진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꽤 도움이 될법한 내용들이라 생각한다.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 구조 – 타입(Type) 없어짐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에서 인덱스(Index), 타입(Type), 도큐먼트(Document)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엘라스틱서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