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Git 브랜치 목록 동기화

Git 를 사용할때에 원격과 로컬의 브랜치를 동기화되서 동작한다. 그런데, 원격 브랜치를 삭제하고 난후에 로컬 브랜치를 보면 동기화 되지 않는다. 위 예제를 보면 원격 브랜치가 여러개 보인다. 하지만 실제 원격 브랜치를 보면 main 빼고는 전부 삭제된 상태 이다. 이럴때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위와같이 로컬에 원격 브랜치 목록이 실제 원격 브랜치 목록과 동기화 되었다.

Docker

Gitlab 을 위한 opentofu 도커 이미지 제작

Gitlab 에서 사용할 opentofu 도커 이미지를 제작해보자. Gitlab 에서 Auto DevOps 를 이용할 경우에 Docker 이미지를 이용해서 Terraform 빌드, 배포 하는게 가능하다. 지금은 Terraform 을 위한 Docker 이미지만 존재하는데, Opentofu 를 위한 도커 이미지를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만들어 보자. Dockerfile Docker 빌드를 위해서 Dockerfile 이 있어야 한다. 다음과 같다. 내용을 보면 gitlab-terraform.sh 스크립트 파일이 있어야 한다. 이 파일은 실제 Gitlab 을 이용해서 CI/CD 를 할 경우에 실제로 사용하게 되는 스크립트 파일이다. Docker Build Docker 빌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

DevOps

GitLab, Merge Request 일때만 Auto DevOps 되도록 하기

Gitlab 은 매우 강력한 툴이다. 이거 하나면 다 된다. 문제는 다루기가 여간 쉽지가 않다는데 있다.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상태라면 Gitlab 을 손댈 필요가 없지만 그것을 몰랐을 때에는 예기치 않은 반응과 결과를 보게 된다. Gitlab 은 CI/CD Pipeline 을 지원하는데, 이에 대한 설정은 Auto DevOps 에서 하게 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CI/CD Pipeline 을 Auto DevOps 라고 부른다고 이해해도 된다. 각 프로젝트 마다 Auto DevOps 설정이 존재한다. 이 설정의 기본은 다음과 같다. “Default Auto DevOps pipeline” 이 체크되어 있는데, 아래 설명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