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11 에서 NLTK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데, 다운로드 되는 위치는 다음과 같다.
Tensorflow 설치 오류
Python 의 pip 를 이용해서 Tensorflow 를 설치할때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날 수 있다. 2025년 4월 현재 오류가 발생 했다. 뭐라뭐라 알수 없는 오류가 나오는데, 해결책이 있다. numpy 1.x 버전 호환 문제 Tensorflow 는 현재 numpy 2.x 와 잘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numpy 는 Pandas 를 설치하면서 함게 설치가 되는 것인데, 이때에 2.x 버전이 설치된다. 따라서 numpy 2.x 를 언인스톨하고 numpy 1.x 로 설치해준다. 이렇게 하고 나서 Tensorflow 도 언인스톨을 하고 재설치 해준다. TF_ENABLE_ONEDNN_OPTS=0 문제. 이 문제는 정확하게는 다음과 […]
GenAI and LLM
AI 를 배울려면 어려운것이 용어다. 알수 없는 용어들. 기존 IT는 그래도 여기저기 주워들은(?) 게 있어서 한번 들으면 그런대로 잘 이해가 되는데, AI 분야는 한번 들었다고 해서 그게 바로 머리속에 자리잡는건 아닌듯 했다. 그래서 용어를 정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GenAI Generate AI 를 줄여서 쓰는 말이다. 흔히 AI 라고하면 GenAI 를 말하는 것으로 착각하지만 불과 몇년전만 하더라도 AI 는 Specialized AI 였다. GenAI는 텍스트(Text), 이미지(Images),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와 같은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Specialized AI 는 특정 태스크에 특화된 AI를 […]
Iterm2 설정
처음 Mac 을 구매하게 되면 제일 먼저 하는 것이 Iterm2 를 설치하는 것이다. Mac 에서 제공하는 Term 보다 사용하기 편해서 기본적으로 다 설치를 하게 된다. Iterm2 는 테마, 폰트등을 설정할 수 있고 Git 을 이용할 경우에 터미널에서 Branch 상태등을 잘 보여줘서 거의 필수로 설치를 하게된다. 기본상태 Iterm2 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다. 프롬프트나 이런것들이 기본상태이다. oh-my-zsh 설치 oh-my-zsh 는 zsh 에 많은 기능을 부여해준다. 대표적인 것이 Themes, Fonts 등이다.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설치를 위와같이 쉘 프롬프트가 변경 된다. .zshrc […]
Azure Application Gateway 특징
Azure Application Gateway 에 특징이 있는데, 이에 대해 정리한다. 서브넷(Subnet) Application Gateway 를 위한 전용의 서브넷이 있어야 한다. 서브넷에 다른 서비스가 있다면 선택이 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Subnet1 에 VM 을 생성했다고 하면 Application Gateway 서브넷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설계를 할때에는 Application Gateway 를 위한 전용의 서브넷을 미리 생성을 해야 한다. Private Subnet 도 가능 Application Geteway 를 생성할때에 Subnet 을 지정하게 된다. 위와같이 Private Subnet 을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지정하고 난후에도 Application Gateway 에 동작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
Azure Load Balancer
Azure 를 하면서 여러가지 차이점을 느끼지만, 그 중 Azure Load Balancer 만큼 차이를 보여주는 것도 없어보인다. AWS 에서는 Network Load Balancer 에 대응되지만 기능이 몇가지 더 있음으로 해서 아키텍쳐에도 차이를 보인다. SNAT Azure LoadBalancer 는 SNAT 기능을 지원한다. Source NAT 라고 하는 것으로 내부 사설IP 를 외부 공인IP 로 변경해 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내부 사설망에서 외부 공인 인터넷망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기능이다. VM 기반 리소스를 생성할때에 보안상 대부분 사설 서브넷(Private Subnet) 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서비스를 위해서 VM 앞단에 […]
Ingress-Nginx 설치
Kubernetes 에서 인기있는 Ingress Controller 로 Nginx 가 있다. 설치는 Helm 을 이용하면 된다. 설치 명령어를 보면, 여러가지 파라메터가 보이는데 kube-prometheus-stack 으로 설치한 prometheus 까지 고려한 것이다. 관련 명령어나 파라메터는 다음의 주소에 매우 잘 설명되어 있어서 별도로 추가설명은 하지 않는다.
쿠버네티스 prometheus 설정
Helm 을 이용해 kube-prometheus-stack 을 설치하게 되면, Grafana 를 통해서 통계 그래프를 볼 수 있다. 그런데, 몇몇 대쉬보드는 나타나지 않는데 여기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Prometheus 프로메테스에서 Status > Target health 에서 상태를 같이 보면서 해결하면 좋다. 어떻게 스크랩이 설정되어 있는데, 상태가 DOWN 인 부분을 잘 살펴보면 된다. CoreDNS CoreDNS 대쉬보드가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Service 에 kube-dns 혹은 Helm 으로 설치할 경우에 coredns 로 나오는데, describe 를 한번 해본다. 위에 내용을 보면 k8s-app=coredns 가 보인다. 이제 Service 에 prometheus-coredns […]
kube-prometheus-stack 설치
기존에 prometheus 설치를 했었는데, 버전을 올릴겸해서 다시 설치를 했다. 설치는 Helm 을 이용했고, 기존에 설치된 버전을 삭제 처리 했다. 환경 K8S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필자의 환경은 Handy way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한 상황이기 때문에 etcd, apiserver, scheduler 가 OS 데몬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Master, Worker 노드의 IP 를 필요로 한다. 만일 kubeadm 으로 설치했다면 selector 를 이용해서 라벨을 선택해주면 된다. 삭제 Helm 을 이용해서 설치했기 때문에 Helm 으로 삭제를 해야 한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Helm 으로 삭제를 하여도 […]
K8S dnstools 사용하기
K8S 를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검증을 위해 Pod 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dnstools 이 유용하다.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Pod 가 생성되면서 dnstools 컨테이너에 진입하게 되고 exit 를 하게 되면 Pod 는 삭제된다. 혹은 curl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