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lab 에서 Settings -> CI/CD -> Variables 에서 CI/CD 에서 사용가능한 변수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한 변수는 CI/CD 에서 활용되며 CI/CD 진행할때 운영체제의 환경변수로 자동 지정된다. 따라서 빌드시에 운영체제에 환경변수를 활용하고자 한다면 여기서 변수를 설정하면 된다. AWS_ACCESS_KEY_ID, AWS_SECRET_ACCESS_KEY 등은 운영체제 환경변수로 지정하면 AWS API 통신이 가능해진다. 소스코드에 하드코딩하는 것보다야 낫다. Merge Request Pipeline 에서 변수가 활용 불가 문제 그런데, Merge Request Pipeline 에서는 이 변수가 적용되지 않았다. TF_USERNAME 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적용되지 않았다. 이는 CI/CD 변수의 Protect 기능 때문이다. […]
Gitlab, Docker 빌드시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오류 해결
Gitlab 은 CI/CD 를 내장하고 있다. 이는 Gitlab-runner 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gitlab-ci.yaml 파일을 이용해 CI/CD 명세를 작성하면 Gitlab-Runner 가 이 파일을 읽어 실행해 준다. Gitlab-Runner 에는 타입이 존재하는데, docker 로 할 경우에 Docker 를 이용해서 CI/CD 를 진행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Docker 를 이용해서 Container 안에서 빌드, 테스트, 배포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Private Certificate 문제는 사설 인증서다. Docker 컨테이너내에서 외부 접속을 하기 위해서 HTTPS 통신이 필요한데, 하필이면 HTTPS 가 사설 인증서를 사용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Docker 컨테이너 안이라 사설 인증서에 […]
Git 브랜치 목록 동기화
Git 를 사용할때에 원격과 로컬의 브랜치를 동기화되서 동작한다. 그런데, 원격 브랜치를 삭제하고 난후에 로컬 브랜치를 보면 동기화 되지 않는다. 위 예제를 보면 원격 브랜치가 여러개 보인다. 하지만 실제 원격 브랜치를 보면 main 빼고는 전부 삭제된 상태 이다. 이럴때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위와같이 로컬에 원격 브랜치 목록이 실제 원격 브랜치 목록과 동기화 되었다.
GitLab, Merge Request 일때만 Auto DevOps 되도록 하기
Gitlab 은 매우 강력한 툴이다. 이거 하나면 다 된다. 문제는 다루기가 여간 쉽지가 않다는데 있다.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상태라면 Gitlab 을 손댈 필요가 없지만 그것을 몰랐을 때에는 예기치 않은 반응과 결과를 보게 된다. Gitlab 은 CI/CD Pipeline 을 지원하는데, 이에 대한 설정은 Auto DevOps 에서 하게 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CI/CD Pipeline 을 Auto DevOps 라고 부른다고 이해해도 된다. 각 프로젝트 마다 Auto DevOps 설정이 존재한다. 이 설정의 기본은 다음과 같다. “Default Auto DevOps pipeline” 이 체크되어 있는데, 아래 설명에 […]
Gitlab 으로 terraform 상태(state) 관리하기
Terraform 을 여러명이 사용할때에 필요한 것이 Terraform 의 상태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terraform 을 실행할때마다 상태(state) 파일이 갱신되는데, 여러사람이 같이 일을 할때에는 이 파일을 공유해서 사용해야 한다. 대부분이 terraform state 파일을 AWS S3 저장소와 Dynamo DB 를 이용해 lock 을 거는 방식이 많이 거론된다. 이 방법은 AWS 클라우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강제가 필요한데, 물론 Terraform 이 클라우드를 빠르게 코드로 만들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어짜피 AWS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성할 거면 S3 를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인터넷상에 보면 Gitlab 을 […]
GitLab-Runner 설치
이 문서는 GitLab-Runner 설치 에 대한 것이다. GitLab 은 CI/CD 를 위해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이것이 바로 GitLab-Runner 이다.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GitLab 과 함께 있어야 하는것도 아니고 독립적으로 다양한 플랫폼에 설치해도 된다. 설치 설치는 아주 간단하다. 각 배포판, 플랫폼마다 패키지를 제공한다. 나는 Ubuntu 20.04 에 그것도 GitLab 서버에 설치할 예정이다. 다른 서버에 설치를 해도 되지만 테스트 삼아 설치하는 것이여서 이렇게 진행했다.
1 2 3 |
$ sudo apt install git # 의존성 설치 $ curl -LJO https://gitlab-runner-downloads.s3.amazonaws.com/latest/deb/gitlab-runner_amd64.deb $ sudo dpkg -i gitlab-runner_amd64.deb |
이렇게 설치를 하고 나면 /home/gitlab-runner 계정이 생성되며 systemd 에 gitlab-runner 서비스가 등록이되며 자동으로 실행이 된다. […]
GitLab 설치와 설정
GitLab 설치 하기. GitLab 은 무료로 사용가능한 git 저장소, ticket 시스템이다. github 의 오픈소스 버전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gitlab 을 Ubuntu 20.04 LTS 에 설치와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준비 Gitlab 을 설치하기 전에 필요한 의존성 패키지들을 먼저 설치해 준다.
1 |
]$ sudo apt install -y ca-certificates curl |
메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메일 서버를 설치해줘야 하지만 여기서는 제외한다. Gitlab 설치를 위한 저장소 추가 gitlab 홈페이지에서는 각 리눅스 배포판에 맞춰 스크립트를 제공한다. Ubuntu 20.04 를 위해 제공해주는 스크립트를 실행해 준다.
1 |
]$ sudo curl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ce/script.deb.sh | sudo bash |
Gitlab 설치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서 파이프라인(Pipeline)은 무엇인가? Deployment, CI & CD 파이프라인에 대한 소개
이 글은 bmc blogs 의 “What is a Pipeline in Software Engineering? Intro to Deployment, CI, & CD Pipelines” 을 번역한 것 입니다. 원작자의 허락없이 재개시 및 상업적 이용은 불가합니다. https://www.bmc.com/blogs/deployment-pipeline/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팀에서 파이프라인(pipeline)은 개발자나 DevOps 전문가가 효율적이면서도 확실하게 그들의 코드를 컴파일(Compile), 빌드(Build) 그리고 그들의 프로덕션 컴퓨팅 플랫폼에 배포(Deploy) 하게 해주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들의 묶음(set) 이다. 파이프라인이 이래야 한다거나 반드시 활용해야할 도구(Tools)를 지정하는 강하고 빠른 규칙은 없지만, 파이프라인이 가져야할 가장 일반적인 컴포넌트들이 있다. 빌드 자동화(build automation)/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테스트 자동화(test […]
20 개의 Ansible 인터뷰 질문
이 글은 Arie Bregman 씨의 “20 Ansible Interview Questions” 을 번역한 것입니다. 질문1 Ansible 에서 다음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이들 사이의 관계를 포함해 설명하시오. Task Module Play Playbook Role Answer 이 질문은 당신이 Ansible 의 기본적인 컴포넌트에 익숙한지 않한지, 그들이 어떻게 상호작동 하는지를 체크한다. 나는 이것이 우리가 Ansible 로 하고자하는 모든 것에 기본인만큼 매우 중요한 것임을 알았다. Task – 특정 Ansible 모듈(Module) 호출하기 Module – 여러분의 호스트나 원격 호스트에서 Ansible 에 의해서 실제 실행되어지는 코드의 묶음. 모듈들은 카테고리로(database, file, network, […]
[Ansible] hosts did not meet host_list requirements 메시지 처리하기
Ansible 을 사용할때에 인벤토리 파일에 대해서 가끔 “hosts did not meet host_list requirements, check plugin documentation if this is unexpected” 메시지를 보게 된다. 이 메시지는 ‘ansible -vvv ‘ 처럼 -v 옵션을 주면 보인다. 이 메시지는 인벤토리 파일 형식으로 인한 것으로 ini 형식을때에 주로 나온다. 하지만 인벤토리 파일 형식이 ini 형식임을 ansible 이 인지하지 못해서 벌어지는 일인데, 이는 ansible.cfg 파일에 다음과 같이 함으로써 없앨 수 있다.
1 2 |
[inventory] enable_plugins = in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