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ation, Linux

Nginx 이용한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구현하기

Nginx 는 전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웹 서버 입니다. 기존 웹 서버들과 달리 고속이며 대량의 접속을 적은 자원으로 처리해줍니다. 또, Nginx 는 Reverse Proxy 기능도 아주 훌륭하게 수행하며 이에 더해서 로드밸런싱 기능도 제공하는듯 다양한 기능을 다른 웹서버들보다 훌륭하게 수행합니다. 아키텍쳐(Architecture) 먼저 다음과 같은 아키텍쳐를 생각해 봅시다. AWS 에 흔히 볼수 있는 기본적인 아키텍쳐입니다. 외부 접속은 External ELB가 담당하고 이것을 뒤에 Nginx 서버가 ELB의 접속을 받아서 Nginx 뒤에 있는 Jboss EAP 서버에 분배 접속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Nginx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Nginx 는 […]

HowTo, Linux

Ubuntu 16.04 KVM 게스트에 콘솔 접속하기

KVM 가상화를 사용하고 있고 게스트로 Ubuntu16.04 를 사용하고 있다면 콘솔 접속을 위해서는 Grub2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된다.

위와같이 해주고 다음과 같이 grub 을 갱신해준다.

 

HowTo, Linux

[AWS] Private Subnet 으로 서비스 구성하기.

AWS 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Cloud Platform 이다. Web Console을 이용해서 원하는 자원을 구성하고 컴퓨터, 네트워크, 저장소등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네트워킹 구성도 실시간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그래서 많은 IT 업체들이 AWS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나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려는 업체들은 AWS 를 통해서 막대한 IT 인프라 구축비용 절감하고 있다. 오늘은 AWS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가장 많은 구성이며 기본적인 구성인 Web Service 를 Private Subnet 을 이용해 구성해보도록 하겠다. 이 포스트는 AWS 클라우드에 대해서 어느정도 기초지식을 갖추고 있다고 가정하고 […]

HowTo

가상 Guest 이미지 마운팅

가상 Guest OS의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법을 설명합니다. 이미지 마운트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방법 1.Guest OS 이미지에 파티션으로부터 디바이스 맵(Device Map)을 생성합니다.

2.볼륨(Volume) 그룹을 스캔합니다.

이렇게 볼륨이 잡히면 이 방법은 유효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두번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3.볼륨(volume) 그룹의 속성을 바꿉니다.

볼륨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4.이제 볼륨을 마운팅하면 됩니다.

이렇게 마운트가 되면 마운트 포인터(Mount Point)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언마운트(Umount)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5.언마운트(Unmount) 합니다.

6.볼륨속성을 바꿉니다.

7.디바이스 맵을 지웁니다.

두번째 방법 두번째 방법은 위의 […]

HowTo

CentOS 7 Systemd 이해하기

CentOS 7로 배포판 버전이 바뀌면서 가장 크게 바뀐것이 Systemd 입니다. 기존의 볼수 없었던 서비스 하나일뿐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Systemd 는 단지 서비스 하나의 문제가 아닙니다. Linux 의 기본 뼈대 프로세스 Linux는 운영체제 입니다. 전원을 넣고 부팅이 되는 과정에서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기타 서비스들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을 시작시켜주는 일을 하는 초기화 프로세스가 필요합니다. CentOS 6 까지는 Sys V 라고해서 init 프로세스가 이것을 담당했습니다. 커널이 메모리에 로딩되면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init 프로세스를 실행시킵니다. 이 프로세스는 init 스크립트, init 설정등을 기반으로 RunLevel […]

HowTo, Linux

KVM Ubuntu 가상머신에 콘솔 접속하기

Ubuntu 를 KVM 가상머신으로 설치를 했다면 콘솔 접속을 해보면 안됩니다. 지난번에 CentOS6/7 배포판에서의 가상머신 콘솔접속에 대해서 다루어 었는데, Ubuntu 는 이들과 조금 다르기에 포스팅 해봅니다. 이 글은 ubuntu 14.04 를 대상으로 합니다. 처음 Ubuntu 를 KVM 가상머신으로 설치를 했다면 SSH 나 Virt-manager 나 vnc 를 이용해서 접속을 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콘솔접속을 위한 설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GRUB 설정 공통 Grub 설정은 /etc/default/grub 에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를 해줍니다.

Serial 콘솔 만들기 다음과 같이 […]

Apache, Tomcat, WAS

Apache Tomcat 연동하기 – mod_jk

Tomcat 을 단독으로 운영하지는 않는다. 여러 서버에서 설치한 후에 이것을 부하분산하는 방법으로 운영하는데, 자주 쓰이는 방법이 Tomcat 앞단에 Apache 웹 서버를 두고 이 둘을 연결해주는 방법으로 사용을 한다. 이때 연결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Tomcat 과 Apache 를 위한 전용의 모듈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mod_jk 이다. mod_jk 는 AJ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이 둘을 연결해주는데, 다른 연결들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환경 이번 테스트한 환경은 다음과 같다. OS: CentOS7 x86_64 Java Version: jdk-1.8.0_u65 WAS: Tomcat 8.0.30 그리고 서버는 한대이고 Tomcat 을 여러개 설치했다. 이때에 하나의 […]

HowTo, Linux

가상 머신에 콘솔 접속하기

CentOS 6/7 혹은 RHEL 6/7 은 KVM 가상화를 지원 합니다. 가상화를 위한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가상화 패키지를 설치하면 이제 가상 머신, 게스트 OS 를 설치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맨 처음에 게스트 OS 를 설치하고 나면 더구나 DHCP 로 IP를 할당 받는다면 설치가 끝나고 나서 할당된 IP를 모르기 때문에 바로 접속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virt-manager 를 이용해서 게시트OS 화면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하고 IP를 확인한 후에 SSH를 이용해서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해 집니다. 하지만 이것말고 호스트 OS 터미널에서 게스트 OS로 virsh 명령어를 […]

Installation

CentOS에서 SNMP 설치 및 설정하기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은 원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네트워크 장비뿐만아니라 컴퓨터, 전자장비까지 확장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도 SNM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SNMP 를 이용해서 중앙집중식으로 각각의 장비들의 자원, 자원사용량등을 장비에 거의 모든 것을 알 수 있고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Cacti 라는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원격 시스템의 자원 사용량을 가지고 오기 위해서 각 서버마다 SNMP를 사용합니다. 준비 이 문서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작성되었습니다. CentOS 7 X86_64 SNMP는 서버/클라언트 구조를 가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