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m 을 사용할때에 필요한 것이 상태바(Status Bar) 다. 보통은 airline 을 많이 쓰는데, 여러가지 의존성이 필요해서 사용하기에 쉽지가 않다. lightline 은 의존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vimrc 에 설정을해주면 된다. t_Co=256 설정과 아래 두가지 부분의 설정이 핵심으로 보면 된다.
curl 사용법
curl 사용법을 정리해 본다. curl 사용법을 정리하는 이유는 쿠버네티스(Kubernetes) 를 사용하면서 테스트를 위해서 많이 사용할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쿠버네티스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인증서를 지정해 인증을 받아 실행시키는 API 호출이다. –cacert TLS 연결을 위해 인증서 파일을 지정하는데 사용 한다. 이 파일은 다중 CA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CA 인증서’ 는 인증서 체인(Certification Chain) 을 말한다. 인증서는 반드시 PEM 포맷이여야 한다. –cert TLS 연결을 위한 클라이언트 인증서 파일을 지정하는데 사용 한다. 인증서는 보안 전송(Secure Transport) 를 위해서는 PKCS#12 포맷을 다른 엔진을 […]
대칭키, 비대칭키 개념
컴퓨터를 다룬다는 건 쉬운게 아니다. 컴퓨터 자체는 공학 개념이지만 그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수 많은 일들은 과학에 속한다. 이러한 컴퓨터 과학분야는 매우 다양해서 대충이라도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는 시간이 갈 수록 커질 수 밖에 없다. 그 대충이라도 알아야하는 것중에 하나가 암호화다. 컴퓨터 네트워크를 위해서 필요한 보안을 가능하게 해주는 암호화. 개인 정보의 중요성을 가져오지 않아도 과거부터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암호화는 필요 이상이였다. 암호화 방법에서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키가 어떤건지를 말하는 것으로 대칭키, 비대칭키라는 말이 있다. 오늘은 암호화의 기초, 용어에 대해서 알아본다. […]
Ansible, 특정 동작 대기/확인 하기
Ansible 을 사용할때에 특정 동작에 대해서 대기한 후에 진행하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Tomcat 과 같은 경우인데, Tomcat 이 시작을 하게 되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기까지 몇 초의 시간이 더 걸린다. 웹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접속을 받기 전에 또 다른 작업을 하게 될 경우에 문제가 된다. wait_for Ansible 에서는 위와같은 경우를 위해서 wait_for 라는 것을 지원한다. 예제를 보면 단번에 이해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
# roles/apache/tasks/restart.yml - name: Restart webserver service: name: httpd state: restarted - name: Wait for webserver to start wait_for: port: 80 delay: 10 |
포트 80 을 체크해 10초동안 딜레이를 가진다. 다음 예제를 보자.
1 2 3 4 |
tasks: - name: Tomcat pid check wait_for: path: /opt/tomcat/tmp/tomcat.pid |
tomcat.pid 파일이 생성되면 다음 스텝으로 진행 된다. 또 […]
VcXsrv, 원격 X-Windows 클라이언트
집에서 테스트를 위해서 설치한 서버가 있는데, KVM 가상화를 해뒀다. OS 를 설치하기 위해서 virt-manager 를 자주 이용하는데, 노트북에 Mint 리눅스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면 원격 X-Windows 에 접속해 GUI virt-manager 를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런데, 매번 노트북을 켜서 하기도 귀찮고 그래서 윈도우즈에서 사용가능한 X-Windows 클라이언트를 필요했다. 이에 대해서 이미 NetSarang 에서 만든 XManager, Xming 이란것을 알고 있었다. XManager 는 사용이고, Xming 은 무료이지만 이전에 제대로 안되었던 기억이 있다. 혹시 다른게 있을까 싶어서 찾아보니 VcXsrv 를 알게되었는데 이것을 한번 사용해 보기로 […]
RedHat Enterprise Linux Subscription 관리
현재 프로젝트를 하면서 RHEL 을 테스트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Developer 라면 가입을 하면 Linux 와 JDK 등을 무료로 사용할 있는 서브스크립션을 얻을 수 있다. 문제 RHEL 8.4 를 다운로드 받아서 서브스크립션 인증을 하고 설치까지 다하고 나서 이미지를 백업했다. 그런데, 시간이 얼마지나지 않아 RHEL 8.5 로 업데이트가 되었다. 이미지를 백업한 것은 Minimal Installation 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였다. RHEL 8.5 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난 후에 문제가 있어서 다시 처음부터 해야할 상황이 되어서 RHEL 8.4 이미지를 가져와 부팅을 시켰다. 그리고 dnf 명령어를 이용해서 update […]
VIM 세팅
vim 은 리눅스의 기본 에디터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정을 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설정을 하나하나 하기 보다는 간단하게 Plugin 형태로 제공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설치를 도와주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있다. 이것을 이용해서 기본적인 세팅을 해보자. VIM 세팅을 위해서 git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시스템 계정 홈디렉토리를 기본으로 한다. 또, 반드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443 이나 80 포트가 OutBound 로 열려 있어야 한다. Vundle VIM 플러그인 설치를 도와준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설치하고 픈 플러그인을 지정해주면 설치를 해준다. […]
Trac 첨부 파일 삭제
Trac 은 위키나 티켓에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하지만 첨부파일이 잘못되었을 경우에 삭제를 해야 하는데, 아쉽게도 Trac UI 에서 할 수가 없다. CLI 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삭제할 수 있다. 삭제 명령어 삭제를 위해서는 CLI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대략 다음과 같은 형식이다.
1 2 |
]$ trac-admin $ENV attachment remove <realm:id> <name> </name></realm:id> |
예를들어 첨부 파일에 파일명에 공백이 있을 경우에 위키나 티켓 본문에 넣을 방법이 없다. 따옴표로 감싸거나 %20 으로 HTML 엔터티로 바꿔놔도 안된다. 이럴때는 삭제하고 파일명을 바꾼뒤에 다시 첨부해야 한다. 삭제할때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1 |
]$ trac-admin /opt/trac/systemv attachment remove ticket:4 "mysql cpu 100.png" |
위와같이 첨부파일에 […]
윈도우즈10 에 Trac 1.2 설치하기
2021년에 아직도 Trac 을 사용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프리랜서로 많은 프로젝트를 하는데 있어서 Trac 만큼 간단하면서도 필요한 기능이 다 있는 툴은 찾기가 힘들다. 프로젝트에 투입되면 Windows 10에 Trac 을 설치하고 프로젝트를 위한 여러가지 작업을 Trac 으로 하게 된다. Trac 을 이용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Wiki Ticket Calendar Gant Calendar 문서도 작성하고 요청한 사항들을 정리하고 일정을 확인하는데, 그것도 로컬 컴퓨터에서 Python 으로 아주 가볍게 동작하는 툴을 본적이 없다. Jira 와 같은 협업툴이 많이 나왔지만, 프리랜서로서 자신만의 뭔가를 정리하려고할때 이만한 게 […]
Rate Limiting with NGINX and NGINX Plus
이 글은 다음의 내용을 대충 번역한 것입니다. Rate Limiting with NGINX and NGINX Plus 아주 유용한 것중에 하나지만 종종 잘못 이해하고 잘못 설정하게되는 NGINX 기능이 속도 제한(rate limiting) 이다. 이것은 주어진 특정한 시간동안 HTTP 요청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요청은 웹사이트의 홈페이지를 위한 GET 요청이나 로그인 폼에 POST 요청이다. 속도 제한은 보안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데, 에를들어 부르트 포스 패스워드 추정 공격의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사용자에 대해 들어오는 요청 비율을 일반적인 값으로 제한하고 (로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