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ive

Reactive Stream 간단 사용

Reactive Stream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구현해줘야 한다. Publisher Subscriber Subscription 한가지 문제가 있다. 이것을 구현하기가 쉽지가 않다. 특히 Publisher 의 경우에는 Reactive Stream 의 기본 아이디어만 가지고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없다. 어떤 것을 Publisher 할지도 영향을 주는것도 문제지만 Reactive 의 Spec 을 마춰짜야 하는데 이게 쉽지가 안다. Publisher 를 간단하게 구현 방법이 없을까? SubmissionPublisher 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사용해 볼 수 있다. 이 문서는 SubmissionPublisher 를 이용해 어떻게 Reactive Stream 을 구현하는지를 설명한다. SubmissionPublisher Class 이 클래스를 간단히 […]

Reactive

자바 Reactive Stream 구현체

자바(Java) 에서 Reactive Stream 구현체를 살펴본다. 이전 글에서 Reative Stream 의 기본 아이디어를 설명했었다. Flow control Publisher – Subscriber pattern 또한 이 아이디어를 위한 포맷은 Publisher – Subscriber 이다. Reactive Stream 에서 이 모델은 1) Subscriber 가 Publisher 에게 가입을 요청하면 2) Publisher 는 Subscriber 와 통신을 위한 채널인 Subscription 을 생성하고 이를 통보한다. 이는 다음 그림과 같이 묘사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이 Subscriber 는 Subcription 을 통해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게 된다는데 있다. java.util.concurrent.Flow 자바에서 구현은 위 클래스에 구현 […]

Reactive

Reactive Stream Family

Reactive Stream 에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한다. 이것들은 각자의 고유한 이름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단하게 정리해 본다. Reactive Streams 저수준의 규약으로 주로 자바 인터페이스(Interface) 로 구현 되어 있다. 명시적인 back-pressure 으로 Publisher 와 Subscriber 의 기본 빌딩 블록을 표현한다. Java 9 에서 java.util.concurrent.Flow 로 구현되어 있다. RxJava 이것은 Reactive Extension 이다. Neflix 에서 개발해 오픈소스로 전화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ReactiveX 라고도 불린다. 브릿지 Reactive Stream 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Reactive Stream 을 위한 타입 전환을 지원한다. Reactor 자바 프레임워크 […]

Reactive

Reactive Stream 기본 아이디어

자바 9에서 소개된 Reactive Stream 은 비동기(Asynchronously), 논 블럭킹(Non-Blocking)이 특징이다. 그렇다면 왜 이것이 특징이되어야만 했나. 이 특징에 반대되는 개념은 블럭킹(Blocking) 이며 블럭킹을 발생시키는 요인은 동시식 요청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둘을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는데 Reactive Stream 이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볼수 있다. 이 글에서 Reactive Stream 에서 핵심 특징의 아이디어를 아주 가볍게 고찰해 본다.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흐름. 데이터를 처리를 어떻게 할까? 좀 더 정확하게 표현을 한다면 데이터 처리를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할까? 대부분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첫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