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oss EAP

jboss-cli 를 통한 로깅 설정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깅은 중요한 일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자하는지를 잘 알아야 하는데, 그 방법이 로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의 로깅을 변경할 경우에 대부분 웹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한다. 물론 배포를 하지 않고도 가능하지만, 대부분 배포를 다시 하게 된다. JBoss 에서는 배포를 하지 않고 jboss-cli 를 통해서 런타임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만일, 인증을 설정했다면 ID/Password 를 입력해야 한다. logging Subsystem Jboss 는 JEE 스펙을 구현한 서버이다. JEE 스펙을 각각 Subsystem 으로 구현해놨다. Subsystem 으로 모듈화를 해놨기 때문에 각각의 설정을 Subsystem 에 […]

HowTo

VIM 세팅

vim 은 리눅스의 기본 에디터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정을 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설정을 하나하나 하기 보다는 간단하게 Plugin 형태로 제공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설치를 도와주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있다. 이것을 이용해서 기본적인 세팅을 해보자. VIM 세팅을 위해서 git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시스템 계정 홈디렉토리를 기본으로 한다. 또, 반드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443 이나 80 포트가 OutBound 로 열려 있어야 한다. Vundle VIM 플러그인 설치를 도와준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설치하고 픈 플러그인을 지정해주면 설치를 해준다. […]

HowTo

Trac 첨부 파일 삭제

Trac 은 위키나 티켓에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하지만 첨부파일이 잘못되었을 경우에 삭제를 해야 하는데, 아쉽게도 Trac UI 에서 할 수가 없다. CLI 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삭제할 수 있다. 삭제 명령어 삭제를 위해서는 CLI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대략 다음과 같은 형식이다.

예를들어 첨부 파일에 파일명에 공백이 있을 경우에 위키나 티켓 본문에 넣을 방법이 없다. 따옴표로 감싸거나 %20 으로 HTML 엔터티로 바꿔놔도 안된다. 이럴때는 삭제하고 파일명을 바꾼뒤에 다시 첨부해야 한다. 삭제할때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위와같이 첨부파일에 […]

AWS

AWS S3 PreSigned URL 설정하기

AWS S3 PreSigned URL 설정에 대해서 알아 본다. AWS S3 는 저장된 객체에 대해 HTTP 를 통해서 다운로드를 제공 한다. 문제는 이렇게 객체를 다운로드 하도록 주소를 공개할 경우에 누구나 다운로드 할 수있게 되서 보안상 좋지 않다. 그래서 AWS S3 는 인증 과정을 통해서 특정 시간 동안만 URL 에 다운로드 권한을 부여하는 PreSigned URL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에 대해서 알아 본다. AWS 사용자 먼저 PreSigned URL 에 인증 과정에서 사용할 Signiture 생성을 위해서 accesskey, secretkey 가 필요하다. 이것은 결국 AWS 사용자가 필요하다는 […]

HowTo

윈도우즈10 에 Trac 1.2 설치하기

2021년에 아직도 Trac 을 사용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프리랜서로 많은 프로젝트를 하는데 있어서 Trac 만큼 간단하면서도 필요한 기능이 다 있는 툴은 찾기가 힘들다. 프로젝트에 투입되면 Windows 10에 Trac 을 설치하고 프로젝트를 위한 여러가지 작업을 Trac 으로 하게 된다. Trac 을 이용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Wiki Ticket Calendar Gant Calendar 문서도 작성하고 요청한 사항들을 정리하고 일정을 확인하는데, 그것도 로컬 컴퓨터에서 Python 으로 아주 가볍게 동작하는 툴을 본적이 없다. Jira 와 같은 협업툴이 많이 나왔지만, 프리랜서로서 자신만의 뭔가를 정리하려고할때 이만한 게 […]

Uncategorized

강남의 클라우드 회사들.. 테크 기업 맞나?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제는 클라우드(Cloud) 가 대세다. 이런 대세속에서 특이하게도 한국은 아직 그 시장 크지 않다. 정확하게 말하면 클라우드로 전환해서 쓰는 비율이 잘해야 15% 정도. 아직도 랙 서버 기반의 IDC 서버를 많이 쓴다. 최근에 금융권에서도 공공 클라우드 사업자를 선정해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사례가 있다. 대표적인게 국민카드. 리브메이트 앱이 아마도 클라우드로 구축된 사례일 것이다. 이렇게 큰 규모에 경우에 클라우드 사업을 위해서는 클라우드를 잘 아는 기업을 선정해서 기술지원을 받는다. 국내에 클라우드는 AWS, Azure, GCP 삼파전인데 이들 글로벌 클라우드 회사에 기술을 가져다 다른 […]

Power User

Office 365 Family 앱 선택 설치

Microsoft 에서 만든 킬러 애플리케이션인 MS Office 는 MS 의 클라우드 산업으로 선회하면서 가장 성공적인 클라우드 모델이기도 하다. MS Office 는 개인 사용자용부터 엔터프라이즈 사업자용까지 제품도 다양하지만 라이센스 또한 월 구독료 부터 한번 구매하면 영구적으로 인증되는 까지 다양 하다. 그런데, Office 365 특히나 Family 로 월 구독으로 구매한 사용자의 경우에 설치를 할때에 이 라이센스에 포함된 제품들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방법이 없다. 예를들어 Office 365 Family 의 경우에 Access, Publisher 와 같은 앱도 포함되어 있는데, 사실 일반 사용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제품들이다. […]

Kubernetes

쿠버네티스에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오퍼레이터 설치하기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말한다. 프로메테우스는 파일 기반의 타임시리즈(Time-Series) 데이터베이스다. 시스템의 메트릭스들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익스포터(Exportor) 를 설치해야 한다. 이외에도 알람을 전달해주는 AlertManager 도 있는데, 전체적인 아키텍쳐는 다음과 같다. 프로메테우스는 쿠버네티스에서도 설치가 가능한데, 이글은 쿠버네티스에 프로메테우스 설치에 대한 글이다. 환경 환경은 다음과 같다. Kubernetes 버전: 1.20 Kubernetes Nodes: Master 3개, Worker 3개 Prometheus 설치 방법: Helm Operator 설치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설치는 매우 다양한데, 검색을 해보면 Helm 을 이용한 방법 그중에서도 오퍼레이터(Operator) 를 이용한 방법이 많이 소개 되어 있다. 여기서도 이 오퍼레이터를 이용한 방법을 […]

Kubernetes

Ingress Nginx

인그레스(Ingress) 는 쿠버네티스에 설치하는 클러스터 내의 서비스에 대한 외부 접근을 관리하는 API 오브젝트이며, 일반적으로 HTTP를 관리한다. 인그레스를 위해서는 인그레스 오브젝트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한 것들이 꽤 있지만 nginx 가 대표적이다. 여기서는 Ingress-Nginx 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 본다. 설치전 고려사항 첫째로 일단 쿠버네티스에 서비스(Service) 에 고려 해야 한다. 쿠버네티스의 서비스는 클러스터내에 접속지점을 생성해 준다. ClusterIP, LoadBalancer, NodePort 세 가지의 타입이 존재한다. 문제는 LoadBalancer 타입인데, 이 타입을 지정해주면 EXTERNAL-IP 가 할당되어야 하지만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할당되지 않는다. LoadBalancer 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