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

systemd unit 편집기 바꾸기

systemd 는 이제 리눅스 시스템의 뼈대가 되는 기본운영 방법이 되었다. 기존에는 System V Init 이였지만 RHEL 7, Ubuntu 16.04부터 기본 시스템운영 프로그램이 되었다. systemd 는 ‘ctl’ 로 끝나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systemctl, journalctl, timedatectl, hostnamectl, loginctl 이 대표적이다. systemctl 의 경우에는 systemd unit 파일들에 대한 제어와 설정이 가능하다. systemd unit 파일은 기존의 Systemv V init Script 를 대체하는 것으로 일종의 시스템 데몬 프로그램들이라고 보면 된다. 시스템이 시작될때에 자동으로 시작되게 한다거나 종료하게 한다거나 하는것들을 가능하게 한다. unit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기 […]

WebLogic

WebLogic 12c: 노드 매니저(NodeManager) 설정하기

WebLogic 에서 노드매니저(NodeManger)는 웹로직을 운영할 머신(Machine) 에 설치되는 것으로 웹로직의 Admin 서버에 요청을 받아 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노드매니저가 하는 일은 대략 다음과 같다. 매니지드 서버 생성/삭제 매니지드 서버 시작, 중지, 종료 웹로직을 설치하면 노드 매니저도 함께 설치가 된다. 기본적으로 터미널 상에서 노드매니저를 설정을 한 후에 Admin 콘솔에서 Admin 서버가 인식할 수 있도록 등록을 해줘야 한다. 여기서는 터미널 상에서 노드매니저 설정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루어 본다. 참고: Oracle WebLogic 12c (12.2.1): Configuring and Using Node Manager 노드매니저 설정 웹로직을 설치하고 난 후에 […]

Kubernetes

쿠버네티스 수동 설치

쿠버네티스 설치는 kubeadm 명령어를 이용하면 손쉽게 자동으로 이루어 진다. HA 를 위한 설치에서는 좀 더 손이 더 가겠지만 어쨌거나 그것도 kubeadm 을 이용한다. 쿠버네티스 설치에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것이 그렇게 현명해 보이지는 않을 수 있지만 쿠버네티스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는데 수동 설치만큼 유용한 것도 없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쿠버네티스 수동 설치는 보통 ‘Hard way’ 로 많이 나온다. ‘힘든 방법’ 등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하나하나 수동으로 설치를 하게 된다. 이 글이 어렵다면 ‘Kubernetes Hard way’ 로 검색하면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다. Requirements […]

WebLogic

WebLogic 12c Silent 설치

WebLogic 12c 사일런트(Silent) 설치에 대해서 다룹니다. 현재 WebLogic 은 12.2.1.4 버전이다. WebLogic 12.2.1.4 WebLogic 은 자바 엔터프라이즈 서버(Java Enterprise Server) 이다. 자바를 필요로 하는데, 특징은 Oracle 자바 jdk8 이 반드시 필요하다. JEE 7 스펙을 만족한다. 최근에 Oracle Linux 8.x 에서 인증이 되어서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시스템 계정 생성 WebLogic 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계정을 생성 한다.

디렉토리 생성 WebLogic 설치를 위한 디렉토리를 다음과 같이 생성해 준다.

oracle 계정의 Bash 환경변수 세팅 oracle 계정으로 운영할 WebLogic 을 위해서 […]

Installation

Redmine 컴파일 설치

Redmine 컴파일 설치에 대해서 다룬다. 최신의 OS 를 가지고 하면 좋겠지만, CentOS 7 에서 설치를 진행 했다. Mariadb 설치 MySQL 도 가능하지만, MariaDB 를 선택했다. 컴파일 설치가 가능하지만 패키지 설치로 설치한다.

각종 의존성이 함께 설치가 된다. CentOS 7 에서 MariaDB 버전은 5.5 이다. 현재 최선 버전은 10.4 이며 이것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MariaDB 홈페이지에 공식 리파지토리를 설정하고 yum 명령어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my.cnf 파일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 준다.

캐릭터 셋을(character-set) 설정하는 부분과 함께 mysql 콘솔에 대한 설정이 전부다. […]

Installation

Redmine 설치하기

Redmine 은 오픈소스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이다. Ruby 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설치 과정에서 Ruby 가 있어야 한다. 웹을 통해서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보통 웹서버와 연동을 하는 편이다. 환경 OS: CentOS 7 Arch: x86_64 Minimal Installation 상태 MariaDB 설치 MySQL 도 가능하지만, MariaDB 를 선택했다. 컴파일 설치가 가능하지만 패키지 설치로 설치한다.

각종 의존성이 함께 설치가 된다. my.cnf 파일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 준다.

다음과 같이 서버를 실행해 준다.

이제 기본적인 설정을 위해 mysql_secure_installation 을 실행해 준다.

root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

Oracle Database

listener.ora, tnsnames.ora 생성하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19c 를 Silent 설치를 하고 나면 listener.ora, tnsnames.ora 가 생성되지 않는다. 어떻게 수동으로 이것을 생성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신기하게도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19c를 Silent 설치하고 난 후에 이것을 생성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원격 클라이언트 접속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접속 서비스를 할당하고 접속을 쪼개고 싶다면 tnsnames.ora 파일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Oracle Net Listener Listener 는 정확하게는 ‘Oracle Net Listener’ 라고 한다. 리스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프로토콜 주소들을 리스닝하도록 설정된다. 리스너의 설정 […]

Oracle Database

오라클 기본 정보 확인

오라클을 설치하고 나면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오라클은 많은 테이블, 뷰, 동적쿼리등을 지원하는데 워낙 많다보니까 다 알수는 없다. 필요한 정보를 위한 간단한 쿼리들을 소개 한다. 데이터베이스 컴포넌트들의 상태 확인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컴포넌트들로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INVALID 컴포넌트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해준다.

데이터베이스 이름 확인 데이터베이스 이름이 뭔지를 확인할 수 있다.

CDB 가 YES 면 데이터베이스가 CDB 로 생성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NO 라면 non-CDB 데이터베이스다. DB_UNIQUE_NAME 은 쉘 환경변수에도 사용되고 있어 확인해 둘 […]

Oracle Database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19c 샘플 스키마 생성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19c 를 Silent 설치를 할 경우에 대부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끝나게 된다. 하지만 오라클은 샘플 스키마를 제공하고 있는데, HR 관련 된 내용의 샘플 스키마를 제공 한다. 이것을 설치해보자. SQLcl 활용 SQL Plus 에 기능을 더한 SQLcl 를 활용할 것이다. SQLcl 은 $ORACLE_HOME/sqldeveloper/sqldeveloper/bin 디렉토리가 있다. 여기에 sql 스크립트가 존재하는데 이것이 SQLcl 이다.

“set sqlformat ansiconsole” 를 할 경우에 결과를 보다 보기 좋게 해준다. PDB 로 세션 변경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19c 의 경우에 CDB, PDB 개념이 존재한다. 실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