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배민의 배신??

배달의 민족이 딜리버리 히어로에 매각(?) 됐다. 국내 배달앱 1위를 달리는 배달의 민족을 인수한 딜리버리 히어로는 이미 요기요 배달앱을 인수해 한국 시장에 진출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 배달의 민족을 인수한 딜리버리 히어로는 국내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에 올랐다라고 밖에 말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논란은 배달의 민족이 독일계 딜리버리 히어로에 매각한 것을 두고 ‘배신’ 이라는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는데 있다. 국내에 자영업자들의 고열을 빨아 성정한 배달의 민족… ‘민족’ 이라는 어찌보면 ‘국내용’ 간판을 단것도 사람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것도 있을지도 모른다. 이런 논란을 뒤로하고 이것을 바라보는 […]

Java

스트림(Stream)

자바(Java) 세계에서 언제부터인지 스트림(Stream) 이라는 단어를 목격하게 되었다. 내 기억으로는 Java 8 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은데 난데없는 이 단어가 왜 그렇게 핵심이 되었는지가 의문이였다. 도대체 왜 스트림(Stream) 이냐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기도 어려웠던 시절이기도 하다. 그져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데에 몰두하는 모습만 목격됐을 뿐이다. java.util.stream 스트림(Stream) 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데이터 소스(Array, List) 로부터 흐름을 가지는 데이터의 집합체이며 통합연산을(bulk processing) 통해 데이터를 변형시키고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그 데이터를 소비하도록 한다. 스트림을 다루게 되면 항상 다음과 같은 데이터 소스들을 만나게 된다. 모두 […]

HowTo

Time-Series data 특징

Time-Series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 InfluxDB, Prometheus 등이 대표적인데 Time-Series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 본다. High-speed data ingest: ‘고속 데이터 수집’ 으로 번역된다. IoT 사용 사례나 시장 분석 데이터와 같이 꾸준히 고속으로 도착하는 연속된 혹은 한꺼번에 밀려드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대부분의 솔루션들은 데이터를 24시간 365일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Immutable data: ‘변경될 수 없는 데이터’ 로 번역된다. Immutable 은 프로그래밍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단어다. 데이터베이스에 한번 Insert가 되면 데이터 포인트는 데이터가 만료(expire) 되거나 삭제(delete) 되기전까지 그 어떠한 변경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런 데이터는 전통적으로 […]

Uncategorized

대한민국 병.

앞에 DBA 에 대한 비판글을 쓴적이 있다. 실제로 겪은 일이기도 하고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다. 혹자는 “너의 경험이 전부가 아닐 진데, 전체로 매도하고 있다” 라고 항변하겠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모르고 하는 소리다. 환경의 변화 = 안해도되는 것들. DBA 들도 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다. 적어도 내가 있는 분야,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말하면 AWS 클라우드 시스템을 다루다보면 이러한 현상을 자주 목격한다. AWS 클라우드에는 관리형 데이터베이스인 RDS 서비스가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설치하거나 백업을 직접 구축하는 것이 없이 이러한 것들을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손쉽게 할 수 […]

DevOps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서 파이프라인(Pipeline)은 무엇인가? Deployment, CI & CD 파이프라인에 대한 소개

이 글은 bmc blogs 의 “What is a Pipeline in Software Engineering? Intro to Deployment, CI, & CD Pipelines” 을 번역한 것 입니다. 원작자의 허락없이 재개시 및 상업적 이용은 불가합니다. https://www.bmc.com/blogs/deployment-pipeline/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팀에서 파이프라인(pipeline)은 개발자나 DevOps 전문가가 효율적이면서도 확실하게 그들의 코드를 컴파일(Compile), 빌드(Build) 그리고 그들의 프로덕션 컴퓨팅 플랫폼에 배포(Deploy) 하게 해주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들의 묶음(set) 이다. 파이프라인이 이래야 한다거나 반드시 활용해야할 도구(Tools)를 지정하는 강하고 빠른 규칙은 없지만, 파이프라인이 가져야할 가장 일반적인 컴포넌트들이 있다. 빌드 자동화(build automation)/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테스트 자동화(test […]

Uncategorized

한국 SI를 망치는건 프리랜서들이다.

프리랜서라는 길을 걷다보면 언제나 슬픈 이야기들을 자주 접하곤 한다. 짧은 일정으로 인한 월화수목금금금, 악독한 원청업체 거기다 중간에 사람만 채우고 돈만 때가는 보도방 등으로 인해서 한국 SI 가 발전이 없는 날이 계속된다는 슬픈 이야기… 물론 과도한 업무, 중간에 마진 갈취등은 개선되어야 한다. 누구나 다 인간적인 삶을 권리는 존재하니까. 하지만 프리랜서 생활을 하다 느끼점은 정 반대라는 것이 놀랍다. 프리랜서들 만큼이나 노력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도 없다는 것이 나의 결론이다. 그들을 보고 있자면 정해진 루틴, 자신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익힌 Tip 같은 것 외에는 거의 […]

HowTo, Linux

DNF 사용하기

CentOS 8 로 넘어오면서 기본 패키지 매니지먼트로 dnf 가 되었다. 여전히 yum 을 지원하지만 앞으로는 dnf 로 쭉 간다고 하니 이참에 배워보자고 생각하지만…. 겁나 빡치는게, 이제 그만 바꿨으면 한다. 뭔 yum 정도로도 충분히 잘 쓰고 있고 괜찮다고 싶다. 무슨 겁나 가볍네, 더 빠르네 어케 좋네… 응 yum 도 그렇게 느리고 그렇게 무겁지도 않아! 도대체 뭘 할때마다 갈아 엎고 이걸 새로 배우라고 하니.. 뭐 어쩌것나.. 그렇게 하겠다는데, 닥치고 배워야지! dnf 햐.. 쓰기도 귀찮다… “DNF is the next upcoming major version of […]

HowTo

Ubuntu, systemd-networkd 전환하기

Ubuntu 16.04 로 넘어오면서 SysV 의 Init 이 Systemd 로 변경되었다. 이런 변화에는 Network 관리에도 적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존의 Network 관련된, 정확하게는 Network Interface 와 관련된 일은 NetworkManager 가 담당했다. Network Interface 가 무엇인지, 아이피는 DHCP 혹은 Static 인지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Ubuntu 16.04 로 넘어오면서 시스템에 관련된 일체가 systemd 로 통합되면서 네트워크 관련 작업도 systemd 로 통합되어지게 되는데, 이것이 systemd-networkd 이 이다. 하지만 Ubuntu 18.04 로 넘어온 시점에서도 NetworkManger 는 이전과 호환을 위해서 살려뒀고 살려둔김에 지금도 기본적인 […]

Uncategorized

기업이 프리랜서를 정규직으로 뽑지 않는 이유

나이가 먹어가면서 이런 저런 사회현상에 대한 답을 얻어가는 것 같다. 과거 어렸을적(?) 에는 그것이 왜 그렇게 되는지에 대한 의문만 가득했지만 시간이 약이라고 했던가… 한국 사회에서 나이가 가지는 특별함으로 인해서 나도 모르게 이제는 아랫사람이 생기고 과거에 윗사람에게 존댓말을 했던 내가 이제는 존댓말을 받을 위치에서 사회를 바라보게 됨에 따라서 과거에 못보던 것이 이제는 보이는 신기한 현상을 자주 겪는다. 개인적인 경력을 이야기를 하면 정규직 생활을 약 7년 정도하고 프리랜서로 전향한지 이제 약 5년쯤 됐다. 중간에 약 1년 쯤 놀았으니까 프리랜서를 개월수로 환산하면 만 […]

Kubernetes

쿠버네티스(Kubernetes) 개념

쿠버네티스(Kubernetes) 처음 접하면 개념 잡기를 해야 한다. 쿠버네티스를 잘 사용하기 위한 사용법을 익히는것도 중요하지만 개념을 이해하고 나면 외워서 문제해결을 하는 것이 아닌 응용력이 생겨 예기치 않은 장애를 겪을때에 힘을 발휘한다. 개인적으로 쿠버네티스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약간의 혼란이 있었다. 개념을 설명하는 용어와 실제 작업을 할때에 사용하는 단어, 명령어들이 다 틀리게 사용되고 있는데서 오는 것이였다. Master/Worker 다들 알다시피 쿠버네티스는 Master Node와 Work Node 로 구성된다. 대부분 Work Node 가 Master Node 보다 훨씬 많고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여기에 배포되어진다. Node 라는 단어를 빼버리고 단순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