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 을 사용하다보면 Ticket 을 삭제하고 싶을때가 있다. Ticket 삭제 플러그인이 존재하지만 Ticket 이란게 자주 삭제를 하는 것이 아니여서 굳이 이것을 설치해서 사용해야할 만큼은 아닌듯 한데, 그런데도 잘못된 Ticket 을 삭제해야한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trac-admin 을 활용하면 된다. 출처: Deleting trac tickets created since a certain date until today 두번째 방법으로 ‘ticket.deleter’ 를 활성화하면 된다. 이는 Trac 에서 공식지원하는 것으로 Ticket 웹화면에서 Reply 버튼 옆에 Delete 버튼이 나타난다. 이를 위해서는 trac.ini 설정파일에 다음과 같이 설정해준다.
Ansible, ec2.py 를 이용한 Dynamic Inventory 활용
Ansible 에는 접속 정보와 관련된 정보들을 Inventory 라고 부른다. 접속 호스트, 접속 계정 정보뿐만 아니라 이들을 그룹으로 묶거나 변수 설정도 가능하다. 그런데, 클라우드 시스템과 같이 서버 관련 정보를 API 형식으로 제공할 경우에 일일이 호스트 정보를 파일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클라우드 시스템에 서버 관련 정보를 호출하며 자동으로 Inventory 정보가 생성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Dynamic Inventory 라고 한다. 이 기능은 클라우드 뿐만 아니라 LDAP 과 같은 인증 시스템에도 활용가능하다. Ansible 세팅 AWS 클라우드의 Dynamic Inventory를 활용하기 위한 Ansible 을 세팅해 보자. 가장 […]
Grub2 에 기본 커널 지정하기
Grub2 은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메니져이다. 리눅스는 커널을 여러개를 설치하고 부팅시에 선택해서 원하는 커널로 부팅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상 복구가 필요할 경우에도 부팅 메니져인 Grub2 에서 비상복구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문제는 어떻게 기본 커널을 지정할 수 있을까? 먼저, 기본 부팅 커널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부팅 상황이라면 위에 설정한 커널을 기본으로 부팅을 진행하게 된다. 만일 이 기본 커널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우선, 현재 Grub2 에 등록된 커널 목록들을 알아야하는데 다음과 같이 하면 알 수 있다. […]
AMAZON S3 버킷 램덤화 객체 접두사 불 필요.
과거에 AMAZON S3 버킷 성능 끌어올리기 라는 글을 통해서 S3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성능향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다. 핵심은 객체 접두사를 램덤화해서 S3에 올라가는 파일들이 균일하게 넓게 퍼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이였다. 하지만 2018년 7월 17일에 AWS 에서는 S3에 성능향상을 언급하면서 이제 객체 접두사의 랜덤화는 불필요하다고 말했다. Amazon S3, 요청 처리 성능 개선 발표 이 같은 S3 요청 처리 성능 향상으로 인해 객체 접두사를 랜덤화하여 더 빠른 성능을 실현하라는 이전의 지침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습니다. 즉, 이제 성능 저하 없이 […]
Tomat 8.5 Manager 패스워드 암호화 하기
Tomcat 8 로 넘어오면서 manager 페이지 접근을 위한 패스워드 암호화 방법에 조금 변화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 기술한다. Manager 페이지 접근 권한 – context.xml 기본값으로 /manager 페이지에 대한 접근은 localhost 로 제한이 걸려 있다. 이것은 manager 앱에 대한 context.xml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내용인데, 파일 경로는 $CATALINA_HOME/webpps/manager/META-INF/context.xml 이다. 다음과 같이 접근 제한된 부분에서 외부접속을 위한 설정을 해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xml version="1.0" encoding="UTF-8"?> <!-- Licensed to the Apache Software Foundation (ASF) under one or more contributor license agreements. See the NOTICE file distributed with this work for 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opyright ownership. The ASF licenses this file to You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 <Context antiResourceLocking="false" privileged="true" > <!--<Valve className="org.apache.catalina.valves.RemoteAddrValve" allow="127\.\d+\.\d+\.\d+|::1|0:0:0:0:0:0:0:1" />--> <Manager sessionAttributeValueClassNameFilter="java\.lang\.(?:Boolean|Integer|Long|Number|String)|org\.apache\.catalina\.filters\.CsrfPreventionFilter\$LruCache(?:\$1)?|java\.util\.(?:Linked)?HashMap"/> </Context> |
Valve 를 이용해서 RemoteAddrValve 에 대해서 접근 아이피 주소가 적혀 있다. 여기서는 접근 제한을 해제해주고 있다. 하지만 product 환경에서는 절대로 이렇게 하지말고 접근 가능한 […]
Traefik, Portainer, Registry 를 위한 Docker Compose
docker-compose.yml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와같이 내용을 작성하고 YAML 파일로 저장한다. 저장한 파일 이름이 docker-frontend.yml 이라고 한다면 이것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docker stack 을 deploy 한다. stack 이 생성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3개의 Service가 생성된다. 각각 Traefik, Portainer, Registry 이며 Portainer 는 Traefik 에 URI Reverse 로 연결된다. Portainer 의 URL 은 http://<IP>/portainer 이다. Registry 에 .htpasswd 파일은 다음과 같이 생성하면 된다. 위 내용은 Traefik 를 앞에 두고 뒤에 Portainer 를 /portainer URI 로 접속하도록 한다. registry 서비스는 Traefik 와 별도로 […]
Docker 네트워크 이해
Docker 를 단순한 빠르고 가볍게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게 해주는 컨테이너(Container) 로만 이해하는 건 좁은 시각이다. Docker 는 이러한 컨테이너들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Docker 가 종합적인 IT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Docker 네크워크 상태 Docker 를 호스트에 설치하면 우선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가 하나 보인다. 컨테이너를 하나도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Docker 데몬이 실행만 되어도 이렇게 docker0 라는 네트워크 장치가 나타난다. 아이피는 172.17.0.1 이며 브로드캐스트(Broadcast) 가 172.17.255.255 인 것으로 봐서 docker0 장치가 속하는 네트워크 대역은 172.17.0.0/16 임을 […]
systemctl tomcat no bind 8005 port
Tomcat 을 설치하고 난후에 systemd 에 유닛으로 등록하고 나고 서비스를 시작하고 shutdown 을 하려고 할때에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날 수 있다. 8005 포트로 접속을 할 수 없어서 셧다운시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왜 이런문제가 발생할까? systemd tomcat 유닛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 상태로 다음과 같이 tomcat 을 서비스로 시작 한다. 이렇게 하고 난후에 netstat 명령어로 포트 리스닝 상태를 살펴보면 8005 포트가 보이지 않는다. 더 큰 문제는 shutdown 포트가 올라오지 않으면 Tomcat 이 작동하지 않는데 있다. 해결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다음과 […]
Ubuntu APT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 문제
우분투(Ubuntu) 를 부팅하고 난 후에 로그인을 하면 몇개의 새로운 업데이트가 있는지를 알려준다. 그래서 새로운 패키지 설치를 위해서 ‘apt upgrade’ 명령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만나곤 한다.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인 dpkg 명령어가 이미 실행중인 것으로 인해서 실행이 안된다는 것이다. 실행을 할때에 lock 파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를 근거로 혹시 다른 것이 이미 실행되고 있는건 아닌지 추측하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다른 것이 이미 실행중일지도 모르니까 다음과 같이 프로세스를 체크해 본다. 보아하니 apt.systemd.daily 이것이 apt 명령어를 실행하고 그래서 […]
Ubuntu18.04 호스트네임 영구 변경 설정
Ubuntu18.04 에서 호스트네임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준다. 이렇게 한 후에 리부팅을 하면 원래 변경전 호스트네임이 나온다. 이럴때 /etc/cloud/cloud.cfg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변경을 해주면 된다. 이렇게 바꾼후에 다음과 같이 로그인 서비스를 재시작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