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 명령어를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Virtual Image 만들기가 가능하다.
|
1 |
]# dd if=/dev/zero of=/home/systemv/ubuntu.img bs=1G count=10 status=progress |
10GiB 의 용량을 가진 가상 이미지를 만들어 줍니다.
System Software Engineer
dd 명령어를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Virtual Image 만들기가 가능하다.
|
1 |
]# dd if=/dev/zero of=/home/systemv/ubuntu.img bs=1G count=10 status=progress |
10GiB 의 용량을 가진 가상 이미지를 만들어 줍니다.
요새 느끼는 거지만 인생은 노력만으로는 안되는 것 같다. 뭐랄까 잠깐 이나마 외모에 신경을 쓰는 연예인들의 기분을 이해할 수 있다라고 할까? 잠깐, 내 인생이 외모 때문이다라고 하는거 같은데 그건 아니다. 외모야 뭐.. 오징어지.. 찐따에 오징어면 뭐.. 그냥 혼자살 인생은 결정된거라 딱히 불만은 없다.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거냐하면 IT 직업이란게 환경도 중요하다는 걸 말하고 싶다. 내가 개발자로서 입지를 다지고 싶다면 개발자로서 다양한 개발과 경험을 할 수 있는 곳이 좋다. 이왕이면 개발을 하는데 필요한 것들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곳 말이다. 코딩만 잘한다고 […]
Ubuntu 18.04 를 사용중인데, 보안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 apt 명령을 입력했더니 다음과 같이 도메인을 찾을 수 없는 이유로 오류가 생긴다.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root@ubuntu:~# apt update Err:1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 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archive.ubuntu.com' Err:2 http://security.ubuntu.com/ubuntu bionic-security 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security.ubuntu.com' Err:3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updates 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archive.ubuntu.com' Err:4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backports 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archive.ubuntu.com' Reading package lists... Done Building dependency tree Reading state information... Done All packages are up to date. W: Failed to fetch http://archive.ubuntu.com/ubuntu/dists/bionic/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archive.ubuntu.com' W: Failed to fetch http://archive.ubuntu.com/ubuntu/dists/bionic-updates/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archive.ubuntu.com' W: Failed to fetch http://archive.ubuntu.com/ubuntu/dists/bionic-backports/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archive.ubuntu.com' W: Failed to fetch http://security.ubuntu.com/ubuntu/dists/bionic-security/InRelease Temporary failure resolving 'security.ubuntu.com' W: Some index files failed to download. They have been ignored, or old ones used instead. |
“Temporary failure resolving” 이게 뭘까 싶어서 알아본 내용을 정리한다. resolve.conf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을 것이다.
|
1 2 3 4 5 6 7 |
root@ubuntu:~# cat /etc/resolv.conf # Dynamic resolv.conf(5) file for glibc resolver(3) generated by resolvconf(8) # DO NOT EDIT THIS FILE BY HAND -- YOUR CHANGES WILL BE OVERWRITTEN # 127.0.0.53 is the systemd-resolved stub resolver. # run "systemd-resolve --status" to see details about the actual nameservers. nameserver 127.0.0.53 |
resolv.conf 파일은 다들 알다시피 도메인 네임 서버를 지정해주는 설정 파일로 이 파일이 잘못되면 도메인을 ip로 변환할 수가 없게되어 결국에는 인터넷 연결을 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런데, 위 내용을 보면 도메인 서버 ip는 로컬 호스트로 보이고 코멘트에 이것을 수동으로 바꾸지 말것을 경고하고 […]
내가 보기에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의 시작은 ‘계급’ 인거 같다. 민주주의 한국에서 무슨 계급이냐고 하겠지만, 제도화되지 않은 계급은 엄연히 존재한다. 사회적인 직위도 어찌보면 사회적인 제도이기도 하지만, 내가 말하고자 하는 계급은 ‘내가 너보다는 잘났다’ 하는 의식구조를 말한다. 문제는 ‘내가 너보다 잘났다’ 라고 한다면 뭔가 현실을 바꿀수 있는 액션, 예를들어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낸다던지 그 많은 사회생활과 자기분야의 경험을 기반으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나간다든지 하는 것이 있어야 한다. 쉽게말해서 자타공인 능력자소리는 들어야 그런 말쯤은 할 수 있지 않겠나? 하지만 한국 ‘내가 너보다 잘났다’ 는 […]
지난 5월 초. 5월 5일 어린이날에 주말이라 대체휴일로 월요일까지 쉬는때였는데, 우리은행에서 전산작업으로 인해서 카드결제외엔 아무것도 안된다고 문자가 왔다. 뭔가 큰 작업을 하는 거구나만 생각했는데, 다음날에 사람들 사이에서 우리은행 전산망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을 하더라. 그날 급여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은 월급이 이체가 안되었다고 하면서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은행 전산’, 차세대만 하면 장애부터… 은행 전산망은 다른 전산과는 차원이 좀 다르다. 인간세상 돈이 매우 중요하지 않은가? 그런 돈을 관리를 전산화하는 리스크는 다른 전산시스템을 능가한다. 그런데, 이러한 은행/증권 전산시스템 작업을 했다하면 장애부터 발생하고 시작하는게 문제가 […]
Docker 를 서비스 모드로 실행을 시키면 나중에 문제가되는게 하나 있다. 예를들어, MySQL 을 Docker 를 이용해서 서비스 모드로 실행시켰다고 치자. 그러면 MySQL를 위한 데이터 디렉토리 Container 내에 생성된다. 만일 MySQL을 패치된 버전으로 올리고 싶다면 어떻게 될까? 이럴 경우에 데이터 디렉토리를 Container 내에서 백업할 방법이 없다. 이를 위해서 Docker 에는 Data Volumes 을 추가 할 수 있다. Data Volumes 데이터 볼륨은 호스트 파일 시스템을 컨테이너에 마운트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Container 가 중지되었거나 Container 를 삭제했다 하더라도 호스트 파일 시스템에는 Container 에서 […]
Sometime ago, I found themes of Jeeeyul’s for the Eclipse. But now I can’t find it anywhere in the internet. I have some themes of Jeeeyul’s, so I post it. Download: Jeeeyul’s themes If you want to use it, first you should install Jeeyul’s Theme plugins for the Eclipse.
MySQL 8 은 그동안의 버저닝을 버린 최초의 메이저 버전 업데이트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기념할 만큼 큰 변화를 예고했던 버전이며 실제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MySQL 8 의 설치는 5.7 과 크게 차이가 없다. 컴파일 옵션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apt install libssl-dev libncurses5-dev libaio-dev libnuma-dev libevent-dev cmake -DCMAKE_INSTALL_PREFIX=/opt/mysql-8.0.11 \ -DDEFAULT_CHARSET=utf8 \ -DDEFAULT_COLLATION=utf8_general_ci \ -DENABLED_LOCAL_INFILE=1 \ -DWITH_SYSTEMD=1 \ -WITH_EDITLINE=/usr \ -WITH_LIBEVENT=/usr \ -WITH_ZLIB=/usr \ -DWITH_BOOST=/usr/src/boost \ -DDOWNLOAD_BOOST=1 |
컴파일러 옵션중에 스토리지 엔진관련해서 변경사항이 있었다. InnoDB, MyISAM, MERGE, MEMORY, CSV 엔진은 이제 기본이 됐다. 명시적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엔진 옵션으로 ARCHIVE, BLACKHOLE, EXAMPLE, FEDERATED 등을 선택할 수 있다. -DMUTEX_TYPE 옵션으로 InnoDB 에 대한 뮤텍스 타입을 지정하는 건데, 기본값으로 event 다. 이를 위해서 libevent […]
내가 이러한 글을 쓰는 건 순전히 내 경험에 바탕을 둔 것이다. 나는 현재 SI 분야에서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다. 나의 임무는 TA이다. 인프라 담당이 주요한 업무이긴 하지만 단순하게 인프라를 담당하는 것을 넘어 설계분야까지가 나의 직업적인 업무의 영역이다. 인프라를 담당해서인지 개발자보다도 DBA와 부딪히는 일이 많았다. 별탈이 없었으면 좋았겠지만 문제가 지금도 지속되는 걸보면 내 개인적인 부분이라고 치부하기에는 뭔가 이상했다. 사람이 한번이나 두번정도는 상대방, 그러니까 나의 경우에는 DBA의 개인적인 일탈쯤으로 여길수도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할때마다 DBA와 문제가 생긴다면 이거는 개인적인 일탈이 아니라 사회적인 제도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