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윈도우용 JDK Portable 설치.

윈도우용 JDK를 보면 Portable 설치가 없다. 설치를 할려면 Windows Installer  를 이용하는 방법 밖에 없다. 문제는 두개의 버전, 1.7과 1.8 버전의 JDK 를 설치할 수가 없을 수도 있다. 최신판을 설치된 상태에서 구 버전을 설치할려면 이미 최신버전이 설치가 되어 있어서 설치가 안될 수도 있다. 이럴때 Linux 용 처럼 압축만 해제하면 쓸수 있도록 할 수 있지 않을까? 이 글은 JDK를 압축해제하는 것만으로 설치하는 방법인 Portable 설치에 대해서 다룬다. 또한, 이글은 다음 링크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How can I get the latest JRE […]

JBoss EAP

JBoss EAP 5 MySQL JNDI 설정

JNDI 는 자바 애플리케이션 서버라면 거의 다 지원하는 기능이다. 이는 특정한 자원의 접근을 디렉토리 접근하듯이 하도록 해준다. 여기서 자원이라면 대부분 외부 서버에 있는 저장소들을 말한다. MySQL, PostgreSQL, Oracle, MS SQL 등 외부 저장소에 접속할때마다 저수준의 드라이버를 올리고 인증을 넣는게 아니라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접속하을 해놓고 이것을 디렉토리화해서 올려놓으면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 디렉토리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외부자원에 접속이 끝이 나게 되어 간편해진다. 이 글은 JBoss EAP 5 MySQL JNDI 설정에 관한 글이다. MySQL Connector/j MySQL에서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접속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jar […]

JBoss EAP

Ubuntu 14.04 의 JBoss EAP 5.2 init 스크립트

JBoss EAP 5.2 를  Ubuntu 14.04 에서 운영할 경우에 서비스 시작을 init 에 등록하기 위한 스크립트. Wildfly 에 내용을 가지고 와서 마이그레이션 했다.

아래는 jboss-env.sh 의 내용.

 

JBoss EAP

TCP 기반 JBoss 5 Clustering 하기

AWS EC2 에서 JBoss EAP 5.2 를 설치하고 운영할때에 보통 클러스터링을 설정하게 된다. 문제는 JBoss EAP 5.2 에서 클러스터링은 JGroup 을 기반으로 작성되어 있다. 중요한 것은 클러스터링을 할때에 Multicast UDP 를 사용한다는 것인데, AWS EC2 에서는 Multicast 자체를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JBoss EAP 5.2 를 AWS EC2 에서 운영하면서 클러스터링을 기본 설정값으로 설정하고 실행시키면 클러스터링이 되지 않는다. 이럴때 TCP 를 이용하면 가능해진다. 이 포스트는 AWS EC2 에서 TCP 기반 JBoss Clustering 에 관련된 내용이다. MPING을 TCPPING으로 바꾸기 Cluster 의 프로토콜 […]

HowTo, Linux

[AWS] Private Subnet 으로 서비스 구성하기.

AWS 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Cloud Platform 이다. Web Console을 이용해서 원하는 자원을 구성하고 컴퓨터, 네트워크, 저장소등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네트워킹 구성도 실시간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그래서 많은 IT 업체들이 AWS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나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려는 업체들은 AWS 를 통해서 막대한 IT 인프라 구축비용 절감하고 있다. 오늘은 AWS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가장 많은 구성이며 기본적인 구성인 Web Service 를 Private Subnet 을 이용해 구성해보도록 하겠다. 이 포스트는 AWS 클라우드에 대해서 어느정도 기초지식을 갖추고 있다고 가정하고 […]

Programming

다음 지도 API 좌표값 얻기

다음 지도 API를 이용해서 좌표값을 얻는 PHP 예제 소스

 

HowTo

가상 Guest 이미지 마운팅

가상 Guest OS의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법을 설명합니다. 이미지 마운트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방법 1.Guest OS 이미지에 파티션으로부터 디바이스 맵(Device Map)을 생성합니다.

2.볼륨(Volume) 그룹을 스캔합니다.

이렇게 볼륨이 잡히면 이 방법은 유효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두번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3.볼륨(volume) 그룹의 속성을 바꿉니다.

볼륨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4.이제 볼륨을 마운팅하면 됩니다.

이렇게 마운트가 되면 마운트 포인터(Mount Point)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언마운트(Umount)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5.언마운트(Unmount) 합니다.

6.볼륨속성을 바꿉니다.

7.디바이스 맵을 지웁니다.

두번째 방법 두번째 방법은 위의 […]

HowTo

CentOS 7 Systemd 이해하기

CentOS 7로 배포판 버전이 바뀌면서 가장 크게 바뀐것이 Systemd 입니다. 기존의 볼수 없었던 서비스 하나일뿐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Systemd 는 단지 서비스 하나의 문제가 아닙니다. Linux 의 기본 뼈대 프로세스 Linux는 운영체제 입니다. 전원을 넣고 부팅이 되는 과정에서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기타 서비스들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을 시작시켜주는 일을 하는 초기화 프로세스가 필요합니다. CentOS 6 까지는 Sys V 라고해서 init 프로세스가 이것을 담당했습니다. 커널이 메모리에 로딩되면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init 프로세스를 실행시킵니다. 이 프로세스는 init 스크립트, init 설정등을 기반으로 RunLevel […]

PostgreSQL

PostgreSQL Replication – Log Shipping

PostgreSQL 리플리케이션은 장애를 대비해 가용성을 높이는 최소한의 방법입니다. 현재 버전의 PostgreSQL 다양한 리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데, 이 문서는 가장 오래되고 기초적인 리플리케이션인 Log Shipping Replication 에 대해서 다룹니다. 이 리플리케이션은 Warm Standby 이라고 합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PostgreSQL 문서에 다음과 같이 잘 나와 있습니다. 운영 서버에서 만드는 트랜잭션 로그 조각을 정기적으로 대기 서버로 옮기고, 그것을 적용시켜, 운영 서버가 장애로 멈추게 되면, 대기 서버를 운영해서, 가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기능을 warm standby, 또는 log shipping 기능이라고 한다. 이 복제 방식은 먼저, 운영 […]

HowTo, Linux

KVM Ubuntu 가상머신에 콘솔 접속하기

Ubuntu 를 KVM 가상머신으로 설치를 했다면 콘솔 접속을 해보면 안됩니다. 지난번에 CentOS6/7 배포판에서의 가상머신 콘솔접속에 대해서 다루어 었는데, Ubuntu 는 이들과 조금 다르기에 포스팅 해봅니다. 이 글은 ubuntu 14.04 를 대상으로 합니다. 처음 Ubuntu 를 KVM 가상머신으로 설치를 했다면 SSH 나 Virt-manager 나 vnc 를 이용해서 접속을 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콘솔접속을 위한 설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GRUB 설정 공통 Grub 설정은 /etc/default/grub 에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를 해줍니다.

Serial 콘솔 만들기 다음과 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