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IT 종사자들은 회사 보안 때문에 특정 서버에 포트를 오직 SSH 와 서비스를 위한 포트만을 열어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서버를 관리하다보면 특정 서비스 체크를 위한 매니징 서비스에 접속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럴 경우 사내 보안팀에 매니징 서비스 접속을 위해서 포트를 개방해 줄것을 요구할 수 있지만 이럴때에 SSH 의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을 이용하면 쉽게 해결 할 수 있다. SSH 포트 포워딩에도 다음과 같이 세가지 종류가 있다. Local Port Forwarding Remote Port Forwarding Dynamic Port Forwarding SSH 포트 포워딩은 SSH 서버를 Gateway […]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전송
리눅스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화면을 전송하고 싶다면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전송 을 이용하면 됩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우선 텔넷이나 ssh로 두분이 같은 시스템에 접속 합니다. 저의 디바이스(가상 터미널)명을 찾아야 합니다. #tty 이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다음과 같은 가상터미널이 나타납니다.
|
1 2 |
]$ tty /dev/pts/1 |
그럼, 함께 접속된 상대방의 디바이스(가상터미널)명을 또 찾아야 합니다. #w 이 명령어를 입력하시고 고객이 잡고 있는 가상터미널을 찾거나 만일 어떤 가상 터미널을 잡고 있는지 잘 모르겠으면 고객에게 tty 명령어를 입력하여 나타나게 되는 가상터미널 번호를 알아 내시면 됨니다. 예) /dev/pts/2 이 나타났다고 가정 […]
Proxy 서버 개념
Forward Proxy 포워드 프락시(Forward Proxy)는 클라이언트가 타켓서버(목표서버)의 주소를 받아서 타켓서버로 연결을 시켜준다. 클라이언트는 타켓서버의 주소를 요청하면 프락시 서버는 뒷단에 타켓서버의 주소를 가진 서버에 연결을 포워딩 한다. 프락시 서버는 타켓서버의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다. Reverse Proxy 리버스 프락시(Reverse Proxy)는 타켓서버의 주소가 아닌 프락시 서버가 타켓서버의 주소를 가지고 있고 프락시 서버가 이를 받아서 뒷단에 실제 타켓 서버로 연결을 시켜준다. 그러니까 타켓서버의 주소를 프락시서버가 가지고 있어야 하며 클라이언트는 타켓서버의 주소로 요청을 하면 프락시 서버가 응답을 하게 된다.
High Availability – Cold, Warm, Hot
이글은 다음의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High Availability – Cold, Warm, Hot 클러스터링(Clustering) 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데이터 이중화 도입이 필요한 어떤 서비스에 대해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구현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기술이다. 실패한 클러스터링 소프트웨어에서는 즉각적으로 관리자 개입이 필요없이 대기(standby) 시스템에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다. 소프트웨어 이중화의 타입에 따라서 고가용성이 제공되어질 클러스터들은 다음과 같은 설정들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Cold Standby: 보조 노드는 다른 동일한 기존 시스템의 백업처럼 동작 한다. 이 보조 노드는 처음으로 기존 노드가 고장이 발생했을때만 설치되어지고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나서, 기존 노드가 실패할때에 보조 […]
Java 디폴트 옵션 알아내기.
Java 로 프로그램을 실행할때에는 많은 옵션들을 줄 수가 있다. 대표적으로 최소, 최대 힙(Heap) 크기와 가비지 컬렉터(Garbage Collector)를 무엇으로 할 것인지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옵션들이 없다면 Java 는 기본적으로 어떤 값으로 동작을 하게될까? 이 물음에 대한 답은 다음의 명령어로 알아 볼 수 있다.
|
1 |
./java -XX:+PrintCommandLineFlags -version |
위와 같이 실행을 하면 기본적인 값들을 보여준다. 다음은 Linux X86_64 에서 Java 버전별로 가지는 기본값들 이다. jdk1.6.0_45
|
1 2 3 4 5 |
./java -XX:+PrintCommandLineFlags -version -XX:InitialHeapSize=95137024 -XX:MaxHeapSize=1522192384 -XX:ParallelGCThreads=4 -XX:+PrintCommandLineFlags -XX:+UseCompressedOops -XX:+UseParallelGC java version "1.6.0_45"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build 1.6.0_45-b06)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build 20.45-b01, mixed mode) |
jdk1.7.0_75
|
1 2 3 4 5 |
./java -XX:+PrintCommandLineFlags -version -XX:InitialHeapSize=95137024 -XX:MaxHeapSize=1522192384 -XX:+PrintCommandLineFlags -XX:+UseCompressedOops -XX:+UseParallelGC java version "1.7.0_75"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build 1.7.0_75-b13)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build 24.75-b04, mixed mode) |
jdk1.8.0_40
|
1 2 3 4 5 |
./java -XX:+PrintCommandLineFlags -version -XX:InitialHeapSize=95137024 -XX:MaxHeapSize=1522192384 -XX:+PrintCommandLineFlags -XX:+UseCompressedClassPointers -XX:+UseCompressedOops -XX:+UseParallelGC java version "1.8.0_40"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build 1.8.0_40-b26)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build 25.40-b25, mixed mode) |
SNMP Extend
snmpd 는 시스템의 자원들에 대해서 SNMP 프로토콜을 통해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한다. 그런데, 알고 싶은 자원들에 대한 목록들을 조회하기 위해 MIB 값들이 할당되어 있으며 자주 사용되는 운영체제, 라우터, 스위치 같은 장비들에 대한 MIB 값들을 미리 할당되어 전 세계적으로 표준으로 재정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표준으로 재정된 MIB 값외에 사용자가 필요한 자원들을 조회하기 위한 MIB 값을 등록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SNMP Extend 를 사용하면 된다. SNMP Extend 는 ‘.1.3.6.1.4.1.2021.8.10’ 같은 MIB 에 조회하고자하는 값들을 등록하면 된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은 인터넷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규약이다. 인터넷 미디어라는 단어를 쓰기는 했지만, 요즘에는 인터넷을 통해서 못하는게 없을 정도로 인터넷 미디어를 규정하는 매체의 경계는 없다. 따라서 “인터넷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규약”은 구시대적인 정의이며 차라리 “인터넷을 이용한 웹을 사용할 경우에 쓰이게되는 규약” 정도가 더 잘 맞는듯 하다. HyperText 는 텍스트를 가지는 노드사이에 지역적인 링크(이걸 HyperLink라 한다)를 사용하는 구조적 텍스트를 말한다. 쉽게 말해서 웹사이트에서 링크를 클릭하면서 텍스트를 불러오는 텍스트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History 1989년 CERN (유럽 입자 물리학 연구소) 에 근무하던 […]
[번역] 바쁜 리눅스 서버에서 TCP TIME-WAIT 상태 대처하기.
이 문서는 원작자의 동의를 얻어 다음이 포스트를 발 번역한 것 입니다. Coping with the TCP TIME-WAIT state on busy Linux servers 그리고 이 글의 라이센스는 “CC BY-NC-SA 3.0” 입니다. 글 아래의 라이센스는 이 글에서는 해당되지 않음을 알려 드립니다. 다시 한번 원작자 Vincent Bernat 씨에게 감사 합니다. net.ipv4.tcp_tw_recycle 를 활성화하지 말라! 리눅스 커널 문서는 net.ipv4.tcp_tw_recycle 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별다른 도움이 안된다. TIME-WAIT 소켓의 빠른 재사용을 활성화. 기본값은 0이다. 기술적인 전문가의 충고나 요구없이 함부로 바꿔서는 안된다. 이와 비슷한, net.ipv4.tcp_tw_reuse 는 좀더 문서화되었지만 […]
[번역] MySQL 5.7.6 릴리즈. 큰 변화에 준비하자.
이 글은 “MySQL 5.7.6 is out. Be prepared for big changes” 를 원작자의 허락을 받아 번역한 것입니다. 원본은 아래의 주소에 있습니다. 번역을 허락해준 Giuseppe Maxia 씨에게 감사 합니다. MySQL 5.7.6 is out. Be prepared for big changes 오늘 오라클(Oracle)이 MySQL 5.7.6 마일스톤 16을 릴리즈(Release) 했다. 이것으로 MysQL 5.7 은 개발에 2년이 넘게 소요됐다. MySQL 5.6과 비교해 바뀐점은 아주 넓다. 주요한 팀(개발 팀)의 노력은 이전 릴리즈와 비교해 2배에서 3배의 성능 향상을 가지는 , MySQL 의 동작,스피드에 포커스를 맞춰왔다. 무엇이 새로운지에 대한 전체 […]
리눅스 시스템 자원 제한.
아주 접속이 많은 웹 서버를 운영하던중에 다음과 같은 종류의 메시지를 접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1 |
Too many open files (24) |
너무나 많은 파일을 열었다는 건데, 도대체 무슨 파일을 열었다는건지 서비스하는 웹 페이지의 파일 개수도 많지도 않은데 말이다. 이 문서는 이러한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 위한 것이다. 모든게 파일! 리눅스 시스템은 모든것이 파일이다. 장치도 파일이다. 그 유명한 /dev/ 디렉토리에 있는 팡리들이 바로 장치들이다. 저 파일들에게 cat 명령어로 데이터를 던져주면 그것을 알아먹는 장치는 동작하게 된다. 또, 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은 혼자 동작하는 것이 아니다. C 프로그램을 해본사람이라면 라이브러리(Library) 개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