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Tomcat 7 구조 (Architecture) 에 관한 것입니다. 많은 부분을 “Apache Tomcat 7 More about the Cat” 을 참고 했습니다. Tomcat 7 의 구조는 계층적 구조를 보이며 계층적으로 상속관계에 있습니다. 이를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구조는 Tomcat 의 설정 파일에서도 그대로 나타납니다. Tomcat 7 디렉토리 구조. bin: Tomcat 의 바이너리 및 스크립트들. conf: 모든 webapp 에 적용되는 글로벌 설정들. lib: 모든 webapp 에서 활용가능한 JAR-file 들. 기본적으로 servlet-api.jar(Servlet), jasper.jar(JSP), jasper-el.jar(EL). logs: 서버 로그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 Catalina.{yyyy-mm-dd}}.log 는 […]
Tomcat 7 설치
이 문서는 리눅스 Tomcat 7 설치 에 관한 문서 입니다. 1. Tomcat 7 스펙 Tomcat 7 의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Servlet: 3.0 JSP Spec: 2.2 EL Spec: 2.2 WebSocket: 1.1 Support Java Versions: 6 and later Java 1.6 버전 이상이 필요 합니다. CentOS 7 이라면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
yum install java-1.6.0-openjdk |
2. Download 다운로드는 Apache Tomcat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한다. 3. 설치 설치는 압축을 해제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1 |
tar xvzf apache-tomcat-7.0.57.tar.gz -C /opt |
4. 테스트 Tomcat 7 에서는 환경을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스크립트가 두가지 […]
mariadb-10.0.15 CentOS 7 소스
CentOS 7 를 위한 mariadb-10.0.15 버전 입니다. 10.0.14 버전의 보안 패치를 적용하고 systemd 를 위한 스크립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 http://linux.systemv.pe.kr/files/mariadb-10.0.15.tar.gz 설치방법: Mariadb 10 소스 설치
FTP 사용하기(파일질라(FileZilla) 이용)
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하면 으레 FTP 계정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SFTP라고도 보안성이 뛰어난 FTP만 제공하는 곳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걸 사용할 줄 모르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 문서는 FTP 사용기(파일질라(FileZilla) 이용) 에 관한 것입니다. 1. 다운받기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filezilla-project.org 를 치면 위 화면과 같이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초록색 박스 링크를 클릭 합니다. “Download Now” 를 클릭해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설치를 해주세요. 특별한 옵션이 없기 때문에 그냥 “다음” 버튼을 클릭하기만하면 설치가 됩니다. 설치가 다되었다면 윈도우즈 메뉴에서 FileZilla 를 […]
CentOS 7 싱글모드 부팅
CentOS 7 에서 많은 변화가 있지만 그 중에 하나가 싱글 모드(Single Mode) 부팅 입니다. CentOS 6 에서 싱글모드 부팅을 위해서 부팅 커널 이미지 옵션으로 1 을 입력하면 되었습니다. 하지만 CentOS 7 에서는 그렇게하면 안됩니다. 이 문서는 CentOS 7 싱글모드 부팅 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글 입니다. 1. 싱글모드 부팅 (Single Mode Booting) CentOS 7 에서는 부팅 매니저가 Grub2 로 변경 되었습니다. Grub2 부팅 매니저가 나오면 ‘e’ 를 클릭해서 부팅 커널 이미지를 선택 합니다. 그러면 선택한 커널 이미지에 대한 Grub2 의 […]
Bash History 를 Syslog 에 남기기
Bash 쉘은 명령어 히스토리 기능을 제공 합니다. history 명령어를 입력하면 지금까지 사용했던 Bash 명령어들이 모두 보여 줍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bash_history’ 파일에 기록되어 집니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서버에서 각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히스토리를 남기기 보다는 리눅스의 syslog 에 남기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못된 일을 하는지 않하는지를 감시하도록 하면 좋을 것입니다. 이 문서는 Bash History 를 Syslog 에 남기기 에 대한 것입니다. 1. logger 를 이용한 방법 logger 는 쉘 명령어를 syslog 에 적도록하는 모듈 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수동으로 […]
CentOS 7 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바꾸기
CentOS 7 은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그중 하나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입니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은 eth0, eth1 식으로 고정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CentOS 7 부터는 바이오스 장치 이름을 조합해서 생성됩니다. 다시 말해서 각 서버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모두 동일하다고 할지라도 CentOS 7 에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은 모두 다를 수가 있다는 겁니다. 이 문서는 CentOS 7 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바꾸기 에 대한 것입니다. 1. 상태확인 CentOS 7 에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
]# ifconfig enp0s3: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0.105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0.255 inet6 fe80::a00:27ff:fe97:3935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08:00:27:97:39:35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37862 bytes 29870696 (28.4 M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6939 bytes 513516 (501.4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
enp0s3 으로 나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
Nvidia Driver 설치하기
Nvidia 는 AMD 와 함께 그래픽 카드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회사 입니다. 어느쪽이 더 좋은지는 각 회사에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때마다 달라질만큼 우열을 가리기 힘듭니다. Nvidia 와 AMD 는 리눅스를 위한 드라이버도 만들어서 배포하는데 CentOS 7 에서 Nvidia Driver 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사실 AMD HD2600 을 썼었는데 AMD 에서 더 이상 드라이버를 업데이트를 해주지 않아 그래픽 가속을 쓸수 없었는데, 몇일전에 Nvidia Geforce GTS 450 이 손에 들어와서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한 글이기도 합니다. 1. Requirement Nvidia Driver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
Nginx Gzip Compression 설정
HTTP 에서도 압축전송을 지원 합니다. 이는 Header 에 압축에 대한 정보가 다음과 같이 담깁니다. Nginx Gzip Compression 설정 은 다음과같이 하시면 됩니다.
1 |
Content-Encoding: gzip |
압축전송을 하게되면 트래픽을 줄일 수 있어, 서버 호스팅을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 gzip compression 켜기 gzip on; # 파일을 압축하기 위한 최소 파일 크기 gzip_min_length 1100; # gzip 버퍼 크기, 4 32k 면 대부분 상황에서 적당한 크기 입니다. gzip_buffers 4 32k; # 압축을 적용할 파일타입. 파일타입은 MIME 타입을 말함. gzip_types text/plain application/x-javascript text/xml text/css; # 헤더 응답에 "Vary: Accept-Encoding" 리턴. gzip_vary on; # 압축률 지정. 1 ~ 9 사이이며 9가 최고등급의 압축. gzip_comp_level 9; # 압축을 사용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에게 HTTP 1.1 사용하도록 요구함. gzip_http_version 1.1; |
잘 동작하는지 다음과 같이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curl --header "Accept-Encoding: gzip,deflate,sdch" -I http://linux.systemv.pe.kr HTTP/1.1 200 OK Server: nginx/1.6.1 Date: Mon, 03 Nov 2014 14:22:28 GMT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Connection: keep-alive Keep-Alive: timeout=5 Vary: Accept-Encoding X-Powered-By: PHP/5.3.3 X-Pingback: http://linux.systemv.pe.kr/xmlrpc.php Content-Encoding: gzip |
“Content-Encoding: gzip” 이 보이면 정상으로 설정이 된 것 입니다.
Atheros AR81 Family GigaEthernet 드라이버 설치.
AMD 칩셋을 달고 나오는 저가형 메인보드의 경우에 Atheros 의 Ethernet 칩셋을 탑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는 Atheros Ethernet 드라이버가 윈도우용은 제공하는데 리눅스용은 제공을 않하더군요. 인터넷을 검색해보니까 누군가 리눅스용 드라이버를 제작해 놨는데, 오래된 경우라 최신의 리눅스 커널을 위해서는 패치를 해야하고 그 패치도 누군가 만들어서 올려놨더군요. 이 문서는 Atheros AR81 Family GigaEthernet 리눅스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 입니다. 1. 다운로드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면 됩니다. 첨부파일: AR81Family-linux-v1.0.1.14.tar 2. 설치 먼저, 커널 소스를 설치합니다. 현재 설치된 커널의 버전에 맞는 것을 설치해야 합니다.
1 2 3 |
uname -r #2.6.18-398.el5PAE yum install kernel-PAE-devel |
Ather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