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EL 9 부팅 실패는 다양하지만 “/dev/disk/by-uuid/UUID” 를 찾지못해서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문제해결 – 부팅 커널 옵션으로 장치를 직접 입력 -> 해결 안됨 인터넷 자료를 보니, 커널 옵션으로 장치 이름을 직접 입력하면 된다는 내용이 있어 해봤지만 되지 않았다. 부팅 커널은 부팅할때에 Grub 에서 편집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다음과 같이 편집을 한다. grub 메뉴에서 위와같이 UUID 를 빼고 디바이스 장치를 직접 입력했지만 되지 않았다. Grub2 재설정 -> 해결안됨 Grub2 에 UUID 값이 갱신되지 않아서 벌어지는 일이여서 이것을 갱신해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다음과 […]
VMWare,VirtualBox VM 이미지를 KVM 이미지로 변경하기
프로젝트를 하다보니 윈도우즈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가운데, 리눅스 머신이 필요하게 되어서 vmplayer 를 이용해 가상머신으로서 리눅스를 테스트 용도로 설치해 사용하고 있었다. 이제 프로젝트도 전부 끝나게 되어서 노트북에 설치한 이 VMPlayer 의 OS 를 KVM 시스템으로 옮기 싶었다. 어떻게 VMWare, VirtualBox VM 이미지를 KVM 이미지로 바꿀 수 있을까 싶어 자료 조사를 하고 KVM 시스템으로 옮길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다. qemu-img VMPlayer 는 무료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이미지 변경에 대한 툴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KVM 리눅스 머신이 존재한다면 VMPlayer 의 […]
Rocky Linux 9 에 Open vSwitch 세팅하기
Rocky Linux 9 는 RHEL 9 (RedHat Enterprise Linux 9) 의 크론 버전이다. RHEL9는 상용인 반면에 Rokcy Linux 는 무료다. RHEL9나 Rokcy Linux 9 로 넘어오면서 변화한 것중에 하나가 ifcfg-eth0 파일이다. 이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에 존재했었고 eth0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저장되었었다. 부팅을하면서 Network-Manager 데몬이 이 파일을 읽어 실행했었다. 하지만 RHEL9과 Rokcy Linux 에서는 이 파일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nmcli 명령어를 통해서 세팅을 하도록 변경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Open vSwitch 세팅에서도 영향을 준다. 우분투와 다르게 RHEL9, Rocky […]
Collection Sort Lamba in Java
Java 8 이전에서 객체나 Map 같은 것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Collections 을 사용해야만 했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소스다. 하지만 Java 8 에 도임된 람다(Lambda) 를 사용할 경우에 이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더 나가 람다는 타입을 정의하지 않아도 된다. 컴파일러가 타입을 추론(Inferring) 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쓸 수 있다.
KVM Image 용량 증설하기
KVM 가상화를 운영하고 있는데, 운영중인 VM 하나가 용량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KVM 가상화 VM 의 용량은 결국 이미지 파일 한개임으로 이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늘려주면 VM 의 용량이 사실상 늘어나는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현시점(2023) 에서 검색을 해보니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했다. 그 중에는 VM 이미지를 로컬에 마운트해서 늘려주는 방법도 존재했지만 너무나 복잡해 보였다. 좀 더 쉬운 방법이 없을까 해서 검색한 결과 가장 쉬워보이는 것을 발견했고 이 방법으로 손쉽게 VM 용량을 늘리는데 성공했다. VM 상태 용량을 늘리려는 VM 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
G1 Collector 기본 설정
G1 GC 의 기본적인 목표는 짧은 STW 시간을 가지고 가는 것이다. 어짜피 STW 를 피하지 못할 바에야 이 시간을 짧게 가지고 가는게 유리하다. 여기서 구분해야할는게 있는데 STW 는 Young GC 일때도 발생한다. 하지만 그 시간이 매우 짧아서 못 느낄 정도일 뿐이다. Old GC 의 경우에는 Young GC 대비 STW 시간이 매우 길다. 그 이유는 Heap 메모리 전체를 청소해야하기 때문이며 청소해야할 공간이 클 수록 Garbage Collector 작동을 위한 자원 소모가 많아진다.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갖는다. 여기서 주목해야하는 것이 Full GC 발생하지 […]
Docker, 클라이언트 TLS 인증서 설정
Docker 서버를 구축했으며, 도메인은 정식 도메인이 아닌 개인 도메인이며 인증서를 셀프 싸인 인증서를 만들어서 TLS 서버 설정을 했다고 치자. 이렇게 되면 Docker 가 TLS 를 이용해서 서버에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서버 TLS 인증서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인증서가 필요하게된다. Docker 클라이언트 인증서 Docker 는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etc/docker/certs.d 디렉토리에서 찾게 된다. 이 디렉토리에 Docker 레지스트리 서버 호스트 이름과 같은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그 안에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세팅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의외로 간단하다. 참고: Verify repository client with certificates
Gitlab 백업/복원
Gitlab 을 업데이트 하면서 보여지는 백업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다. 업데이트를 하기전에 데이터베이스와 설정 파일들을 백업하고 있다. 만일 전체 백업을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다. 수행후 생성된 백업 파일은 /var/opt/gitlab/backups 디렉토리에 만들어 진다. 만일 복원을 해야 한다면 백업 디렉토리에 백업한 파일을 올려놓고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거머리 같은 한국의 IT 프리 개발자들….
요즘에 자주 들리는 뉴스, 아니 어찌보면 몇해전부터 듣고 왔던 이야기들… 유리지갑 직장인들, 장시간 노동에 업계에 몇년을 있어도 실소득이 오르지 않는 기이한 현상. 이러다보니 너도나도 주머니에 들어도는 돈을 중요시하는 시점에서 살게된다. 이왕이면 연봉이나 복지에 안정적인 직장인 보다는, 아니 ‘안정적인 직장’ 이라는 개념이 없어진지 오래고 복지라는 것도 기껏해야 돈 몇푼 더 지원해주는 정도이다 보니 너도나도 이제는 실질적인 손에 쥐는 돈에 눈이 돌아갈 수밖에 없는 세상. 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실질적인 손에 쥐는 돈을 얻기 위해서 지켜야하는 것들은 안중에도 없고 좋은 것만 가지고 갈려고하는 […]
wp-cli 를 이용한 core, plugin 업데이트 하기
워드프레스(WordPress) 를 사용하고 있는데, 갑자기 화면을 통한 플러그인(Plugin), 코어(Core)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다. 보통은 문제 없이 이것이 수행되었는데, 뭔가 문제가 있는건지 파악해봤지만 찾지지는 못했고 그냥 포기해야 하나 하는 찰라에 wp-cli 를 이용하면 업데이트를 모두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wp-cli.phar 워드프레스에서 정식으로 배포하는 것 같지는 않다. github 에서 배포 받을 수 있는데, 간단하게 wp-cli.phar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사용법 다운받은 wp-cli.phar 를 /usr/local/bin 으로 복사하고 워드프레스 설치한 계정으로 전환해서 사용하면 된다고 하지만 개인적으로 그냥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계정에서 실행해도 된다. 위와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