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cat

mod_jk, SEVERE: Invalid message received with signature 해결

Apache 2.4 에 mod_jk 를 설치하고 Tomcat 9 와 AJP 연결 설정을 했다. 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AJP 연결이 되지 않으면서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만 나왔다.

mod_jk 설정과 Tomcat 9 의 연결 설정은 아무런 문제가 없음에도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를 몰랐는데, 문제는 아주 단순했다. address=”::1″ Tomcat 9 의 서버 설정인 server.xml 에 ajp 설정은 다음과 같다.

기본 설정값으로, address 에 할당된 값이 문제가 된다. address 에 값을 “0.0.0.0” 으로 바꾸던지 아니면 서버 IP 주소로 변경해 주면 된다. secret=”” Tomat […]

Uncategorized

강남의 MSP 회사들이 IT를 망치고 있다

강남에 MSP 회사들이 많이 있다. Managed Service Provider 라고, 리셀러 개념이라고 하기에는 좀 애매하지만 그외 비슷한 회사들이라고 보면 된다. 아무래도 많은 회사들이 이 MSP 에 기술지원을 받기를 원한다. 왜냐하면 트렌드 자체가 그렇게 흘러가고 있고 이들에 대한 수요가 많다보니 MSP 에 대한 기대가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회사들이 썩 좋은 방법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 않다는데 있다. 위험의 외주화. 우리 사회에서 지난 몇년간 나왔던 말들이 ‘위험의 외주화’ 이다. 원청이 위험성이 높은 일에 대해서 외주를 주어 그와 관련된 법망과 사회적, 도덕적 책임을 회피하는 […]

HowTo

VIM lightline 플러그인

vim 을 사용할때에 필요한 것이 상태바(Status Bar) 다. 보통은 airline 을 많이 쓰는데, 여러가지 의존성이 필요해서 사용하기에 쉽지가 않다. lightline 은 의존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vimrc 에 설정을해주면 된다. t_Co=256 설정과 아래 두가지 부분의 설정이 핵심으로 보면 된다.

ElasticSearch

Elasticsearch 보안 – 인증서

Elasticsearch 가 버전이 높아짐에 따라 인증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사실 이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가 Elastic 에서 배포하는 X-Pack 중에 Security 플러그인 때문인데, 이 Security 를 활성화 하게 되면 TCP, HTTP 통신을 TLS 통신을 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문제는 Elasticsearch 자바 기반이며, 따라서 생성하는 파일이 여느 다른 인증서와는 다른 면도 있다. ‘다른 면도 있다’ 라고 표현한 이유는 일반적인 PEM 형식의 보안키와 인증서를 모두 지원하지만 여전히 자바 세계에서만 통용되는 방법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keystore 파일 최신 버전의 Elasticsearch 7 을 설치하게 […]

ElasticSearch

Nginx 로그를 위한 Logstash Pipeline 설정하기

Logstash 를 이용해 로그를 프로세싱 해보자. Logstash 에 대한 기초적인 설정은 다음글에서 확인 가능하다. Logstash 살펴보기 또, 이 글은 Elastic 홈페이지에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Parsing Logs with Logstash filebeat 설정 및 기동 먼저 파일 filebeat 설정을 다음과 한다.

Elastic 홈페이지에는 간단하게 설정하도록 나오지만 여기서는 몇가지 설정을 추가 하였다. tags 를 설정하였고 fields 도 추가 하였다. 다음과 같이 시작 한다.

logstash Nginx pipeline 설정 먼저 filebeat 으로부터 메시지가 잘 들어오는지 디버깅을 먼저 해보자.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정을 해본다.

[…]

ElasticSearch

Logstash 살펴보기

ELK 스택에서 로그를 프로세싱하고 저장소에 실시간으로 적재해주는 프로그램인 Logstash 에 대해서 살펴본다. 자바 프로그램 Logstash 는 자바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Java Runtime 이 필요하다. 그런데, Logstash 에는 Java Runtime 이 내장되어 있어서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이 자바 때문에 프로그램이 무겁다. Logstash 정의 다음과 같이 정의가 머리속에 담아 두기 좋다. 실시간 파이프라인(Pipeline) 기능을 가진 데이터 수집 엔진을 가진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다. 파이프라인(Pipeline) Logstash 는 파이프라인(Pipeline) 형식으로 데이터를 처리 한다. INPUTS 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부분에 대한 설정이다. OUTPUTS 은 어디로 데이터를 […]

ElasticSearch

로그 저장과 트래킹

로그(log) 는 각종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담고 있다. 한 사람이 하나의 시스템,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다루거나 관리를 한다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요즘 처럼 분산형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대에 로그를 하나씩 다 들여다 본다는 건 불가능이다. 거기다 로그를 본다는 것도 여간 쉬운일이 아니다. 매우 지루하고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데, 수 많은 로그속에서 내가 필요로하는 정보를 찾기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이것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그룹이 만들어졌는데, 다음과 같은 것이다. Splunk 스플렁크(Splunk) 는 사용 소프트웨어다. 대량으로 로그를 저장하고 분석하도록 […]

ElasticSearch

ElasticSearch RPM 패키지 설치 Security

ElasticSearch 를 RPM 패키지로 설치할 경우에 Security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다룬다. Security 설정은 X-Pack 을 활성화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서는 인증서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사례 일단, 엘라스틱 서치는 대부분 3대로 구성한다. 대부분 호스트를 다음과 같이 정할 것이다. es-01 es-02 es-03 이때, es-01 서버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해야 한다. es-01 서버에서 인증서 작업 X-Pack 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보안을 활성화할 경우에 각 노드별로 SSL 통신을 하게된다. 이때 인증서가 필요한데, 인증서 작업을 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인증서를 한 […]

Kubernetes

Kubernetes API 서버 인증서에 도메인 추가하기

Kubernetes API 서버는 http 를 통해서 쿠버네티스에 대한 연산을 제공해 준다. kubectl 명령어로 실행되는 것들은 모두 API 서버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API 서버는 인증서를 기반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이 인증서에 기재된 도메인이나 IP가 아니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API 서버의 인증서는 SAN 인증서여야 한다. 도메인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 SAN 인증서. 현재 API 서버의 인증서 상태는 다음과 같다.

위 apiserver.crt 파일 상태를 보면 SAN 에 이미 도메인과 IP 들이 들어가 있다. 내용을 보면 haproxy2.systemv.local 도메인, 192.168.96.7 IP 가 들어가 있는데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