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

VIM lightline 플러그인

vim 을 사용할때에 필요한 것이 상태바(Status Bar) 다. 보통은 airline 을 많이 쓰는데, 여러가지 의존성이 필요해서 사용하기에 쉽지가 않다. lightline 은 의존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vimrc 에 설정을해주면 된다. t_Co=256 설정과 아래 두가지 부분의 설정이 핵심으로 보면 된다.

HowTo

systemd unit 편집기 바꾸기

systemd 는 이제 리눅스 시스템의 뼈대가 되는 기본운영 방법이 되었다. 기존에는 System V Init 이였지만 RHEL 7, Ubuntu 16.04부터 기본 시스템운영 프로그램이 되었다. systemd 는 ‘ctl’ 로 끝나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systemctl, journalctl, timedatectl, hostnamectl, loginctl 이 대표적이다. systemctl 의 경우에는 systemd unit 파일들에 대한 제어와 설정이 가능하다. systemd unit 파일은 기존의 Systemv V init Script 를 대체하는 것으로 일종의 시스템 데몬 프로그램들이라고 보면 된다. 시스템이 시작될때에 자동으로 시작되게 한다거나 종료하게 한다거나 하는것들을 가능하게 한다. unit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기 […]

HowTo, Linux

DNF 사용하기

CentOS 8 로 넘어오면서 기본 패키지 매니지먼트로 dnf 가 되었다. 여전히 yum 을 지원하지만 앞으로는 dnf 로 쭉 간다고 하니 이참에 배워보자고 생각하지만…. 겁나 빡치는게, 이제 그만 바꿨으면 한다. 뭔 yum 정도로도 충분히 잘 쓰고 있고 괜찮다고 싶다. 무슨 겁나 가볍네, 더 빠르네 어케 좋네… 응 yum 도 그렇게 느리고 그렇게 무겁지도 않아! 도대체 뭘 할때마다 갈아 엎고 이걸 새로 배우라고 하니.. 뭐 어쩌것나.. 그렇게 하겠다는데, 닥치고 배워야지! dnf 햐.. 쓰기도 귀찮다… “DNF is the next upcoming major version of […]

Installation

CentOS에서 SNMP 설치 및 설정하기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은 원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네트워크 장비뿐만아니라 컴퓨터, 전자장비까지 확장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도 SNM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SNMP 를 이용해서 중앙집중식으로 각각의 장비들의 자원, 자원사용량등을 장비에 거의 모든 것을 알 수 있고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Cacti 라는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원격 시스템의 자원 사용량을 가지고 오기 위해서 각 서버마다 SNMP를 사용합니다. 준비 이 문서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작성되었습니다. CentOS 7 X86_64 SNMP는 서버/클라언트 구조를 가지고 […]

HowTo

Nginx 설정.

이 문서는 Nginx  설정에 대한 문서 입니다. 계속적으로 업데이트가 됩니다. 요청 메소드 제한 요청 메소드는 GET, HEAD, POST, PUT, DELETE 등이 있다. 문제는 대부분 웹 서비스는 GET, HEAD, POST 만 필요로한다는 것이다. Nginx 에서 이를 다음과 같이 제한 할 수 있다.

GZIP 설정

 

Installation, Linux

Nginx + PHP-FPM + MariaDB 설치 (CentOS 7)

과거에는 APM (Apache + PHP + MySQL)이 인기있는 플랫폼이 였지만 최근에는 Nginx 가 나오고 PHP-FPM 이 나오면서 NPM 으로 많이 대체되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이 글은 Nginx,PHP-FPM, MariaDB 설치에 관한 것입니다. 준비 이 글에서 NPM을 설치하는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CentOS 7.2.1511 X86_64 Selinux Disable 작성시간: 2015. 12. 27 설치하는 방법은 CentOS 7 에서 제공하는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인 YUM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CentOS 7 를 최신 버전으로 만듭니다.

  PHP 설치 다음과같이 YUM 을 이용해서 설치해 줍니다.

php-mysql […]

HowTo

DNS amplification DDos attacks (DNS 증폭 DDos 공격)

최근에 관리하는 서버에 트래픽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웹 서비스 트래픽도 아니기에 뭔가 싶어 봤더니 53 포트를 통한 input 트래픽이였다. 그래서 ngrep 으로 53 포트를 모니터링 하니 대략 다음과 같이 나왔다.

뭔가 자꾸 DNS 서버에 쿼리(Query)를 보내고 있었고 이로 인해서 트래픽이 발생하는게 분명했다. DNS amplification DDos attacks (DNS 증폭 DDos 공격) ‘DNS amplification DDos Attacks’ 는 DNS 증폭 DDos 공격으로 불리운다. 왜 ‘증폭’ 일까? DDos 는 대량의 트래픽이 필요하다. 초당 수십 Gbps 를 유발시켜야 하는데 이렇게 할려면 많은 장비가 필요하다. […]

HowTo, Linux

gitlab 패스워드 리셋하기

gitlab 패스워드 리셋하기 Gitlab 을 사용하다가 갑자기 패스워드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때 보통 Web 에서 ‘Fogot your password’ 링크를 클릭하고 리셋될 패스워드를 가입할때 적어놓은 E-mail 로 발송을 해줍니다. 그런데, E-mail 주소가 없는 거라면 패스워드를 리셋할 수가 없어서 로그인을 못하게 됩니다. 이럴때는 Gitlab 서버에 터미널로 로그인을 해서 gitlab-rails console을 실행하고 패스워드를 바꿀 수 있습니다. 먼저 gitlab-rails console로 접속을 합니다.

여기서 만일 E-mail 주소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user 객체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와같이 ‘nil’ 로 나오면 […]

HowTo

Suspend 된 게스트 시작 않될때 해결 방법.

Suspend 는 보통 게스트를 Paused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동작상태를 하드디스크에 그대로 저장하고 끝내는 것을 말하며 이를 재시작하는 것을 Resume 이라고 한다. 명령어로는 그냥 start 명령어를 쓰지만 Suspend 에서는 부팅이 아닌 저장하고 끝난 부분을 풀고 바로 시작되는 것이 다르다. 그런데, Suspend 한 이미지를 시작하려고 할 때에 다음과 같이 오류가 나왔다.

아무리 Resume 을 할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오류로 시작도 않되었다. 이럴때는 다음과 같이 해서 부티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

이는 앞에서도 말했듯이 Supsend 될때에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