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AWS Kinesis 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적인 글입니다. 다음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ntroducing Amazon Kinesis (SlideShare) Introduction to Amazon Kinesis (Youtude) Big Data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서 하루에도 계산하기 힘든 데이터가 쏟아집니다. 과거와는 달라진 이러한 환경을 우리는 간단히 Big Data 시대라고 하지요. 어찌보면 과거에도 Big Data 는 있었지만 요즘과 구별되는 것은 누구든지 Data 를 생산할 수 있다는데에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과거와는 다르게 쏟아지는 데이터를 분석해서 유의미한 데이터를 뽑아내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게 바로 Big Data 의 진정한 의미 중에 하나 입니다. 누구나 생산해내는 […]
SaltStack 시작하기.
이 글은 SaltStack 시작하기 에 관한 글입니다. SaltStack 은 자동화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서버의 설정파일, 패키지 관리, 시스템 명령어등을 한번에 많은 서버에 할 수 있습니다. Chef, Puppet 등과 동일합니다. 단지 이 녀석은 Python 으로 개발이 되었고 역활을 지시하는 sls 파일 문법이 YAML 이며 Jina Template 을 이용해서 sls 에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습니다. SaltStack 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모델입니다. 서버역활을 담당하는 SaltStack 을 마스터(Master)라고 하고 클라이언트 역활을 담당하는 SaltStack 을 하녀(Minion)이라고 부릅니다. 마스터의 경우 파일 전송을 할 수 있게 파일서버역활도 같이 […]
서로 다른 RabbitMQ 버전으로 Cluster 구성 테스트.
RabbitMQ 는 인기있는 메시지 브로커 입니다. 비동기 메시지를 다루는데 있어서 RabbitMQ 는 많이 사용되어 집니다. 거기다 RabbitMQ 는 여러 RabbitMQ 를 하나로 묶는 Cluster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런데, 언제나 그렇지만, 서로다른 RabbitMQ 버전끼리 하나로 묶을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환경 세팅 master, slave 라 불리는 2개의 서버를 준비했고 각각 3.5.4 버전과 3.1.5 버전을 설치했습니다. 모든 버전은 Epel 저장소에서 RPM으로 설치를 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RabbitMQ 를 설정했습니다. master 의 쿠키 파일를(/var/lib/rabbitmq/.erlang.cookie) slave에 복사했습니다. 양쪽모두 호스트네임을 /etc/rabbitmq/rabbitmq-env.conf 에 지정해줬습니다.
1 |
NODENAME=rabbit@master |
[…]
RabbitMQ 통계 보기.
RabbitMQ 는 AMQP 를 지원하는 Message Queue 프로그램 입니다. 여러 솔루션에서 함께 쓰이고 있는 매우 인기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RabbitMQ 또한 각종 통계자료를 제공 합니다. 이를 통해서 RabbitMQ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이에 대해 간략히 다룹니다. 통계정보를 보는 방법으로는 CLI 를 통해서 볼 수도 있지만, 웹을 통해서 GUI 환경에서 쉽게 볼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GUI Management Plugin 을 활성화해줘야 합니다.
1 |
sudo rabbitmq-plugins enable rabbitmq_management |
이렇게 하면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RabbitMQ 를 관리할 수 있으며, 간략한 통계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이 통계정보를 이해하기 […]
git 파일 삭제후 복구.
git 를 사용하다 보면 local 저장소에서 실수로 파일을 삭제하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이때 파일을 되살린다고 ‘git pull’ 이나 ‘git fetch’를 해봐도 나오는 메시지는 최신판(Already up-to-date)라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는 경우에 어떻게 해야하나? 먼저 삭제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입력을하면 삭제한 파일 목록을 얻을 수 있다.
1 |
]$ git ls-files -d |
사실 삭제된 파일은 다시 checkout 받으면 된다. 다음과 같이 말이다.
1 |
]$ git checkout a.py |
리눅스를 잘 다루는 사람이라면 이것을 한번에 할수 있다.
1 |
]$ git ls-files -d | xargs git checkout -- |
Better VACCUM FULL For PostgreSQL 9.0
원문:https://wiki.postgresql.org/wiki/What’s_new_in_PostgreSQL_9.0#Better_VACUUM_FULL 지금까지 VACUUM FULL 은 매우 느렸다. 이 구문(Statement)는 테이블로부터 빈공간을 확보하고 그것의 크기(Size)를 줄였지만 VACUUM 은 만족할만큼 빠르게 동작하지 않았다. 이것이 느린 이유는 동작 방법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레코드를 그들의 소스블럭으로부터 테이블에 시작점에 가까운 블럭으로 하나하나씩 읽어서 옮겼었다. 그리고 테이블에 끝이 빈공간이면 그 부분을 지웠다. 전략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매우 비효율적(Inefficient) 이다. 레코드를 하나하나씩 옮기는 것은 랜덤 I/O를 발생시킨다. 게다가, 인덱스(Index)를 재구성하는 동안에 그것을 유지하고,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인덱스는 파편화된다. 이럴바에는 VACUUM FULL이 다 끝나고 나서 재인덱스(reindex)를 하는 것이 […]
PostgreSQL 과 문자셋
PostgreSQL 도 문자셋에 관해서 많은 옵션들을 제공한다. 그런데, 대부분은 이에 대해서 잘 모르는 듯해서 여기서 정리해 본다. PostgreSQL 에서 문자셋 지정을 처음 하는 부분은 바로 설치를 마친후에 initdb 명령어를 사용하면서 부터다 대충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1 |
su -l postgres -c "/usr/local/pgsql9.1/bin/initdb -E UTF8 --locale=ko_KR.UTF-8 --pgdata='$PGDATA' " |
문제는 저러한 문제셋 설정이 과연 향후 PostgreSQL 을 사용하는데 있어 어떤 영향을 주는가 하는 것이다. 먼저 PostgreSQL 은 ISO C 와 POSIX 등의 언어표현에 관해 지원 한다. Locale 보통 initdb –locale=ko_KR.UTF-8 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운영체제에 종속적이다.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locale 만 사용할 수 있는데, 리눅스의 […]
CHEF CLIENT 설치 – PART4
앞에서 chef 운영을 위한 server와 workstation 을 설치했다. 이제 chef 를 가지고 관리를 할 대상인 서버에 chef client 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chef 에서 관리해야할 대상 서버를 Node혹은 Client 라고 부른다. 이러한 서버들은 chef server와 통신을 통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역활을 담당하기는게 바로 chef-client 이다. chef client 설치는 서버에 직접 들어가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련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작업을 통해서도 할 수 있지만 Chef 스럽게 workstation에서 knife 명령어를 이용해서 간단히 Chef Client 를 설치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설치와함께 이 서버를 […]
Chef Workstation 설치 – Part 3
chef workstation 은 knife 를 설정면 하면된다. 다시말해서 별다른 패키지가 필요없고 특정 시스템 계정사용자에게 knife 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만하면 그게 바로 workstation 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별도의 시스템에 workstation 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knife 명령어가 없다. 그렇다고 chef server 패키지를 설치할려고 하니 불필요한 서비스들이 너무 많은게 문제다. 이럴때는 chef develoment kit 를 설치하면 된다. chef development kit 은 말그대로 chef 관련 개발을 위한 kit 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chef workstation 환경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chef development kit 패키지를 설치하면 […]
Chef 서버 설치하기 – Part 2
이번 시간에는 Chef 서버를 설치해보도록 한다. 설치에 앞서 Chef 서버를 설치할 서버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배포판: Ubuntu 14.04.2 LTS CPU: 1 core RAM: 1024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배포판이다. 최근들어 많은 배포판들이 init 에서 systemd 로 바꾸는 추세다. 우분투(Ubuntu)에 경우 systemd 를 도입할 생각이 없다라고 했었지만 14.10 에서 이를 뒤집어 systemd 를 도입했다. init 과 systemd 는 서버 프로그램 시작과 종료하는 방법만 다른게 아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설치할 14.04 는 현재 init 을 따른다. Download 다운로드는 ch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