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PostgreSQL 9.1.2 문서중에 13.3 챕터를 해석한 것입니다. 전문 번역가도 아니고 중학교 영어만으로 해석한 것이어서 의미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원문: http://www.postgresql.org/docs/9.1/static/explicit-locking.html 13.3 명시적 락킹(Explicit Locking) PostgreSQL 은 테이블의 데이터에 동시적 접근(concurrent access)을 제어하기 위해서 다양한 락 모드(Lock mode)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모드들은 MVCC(다중 버전닝 동시성 제어)가 바라던 해동을 제공해주지 않을때에 애플리케이션 제어 락킹을 하려고 할때에 사용되어질수 있습니다. 또 대부분의 PostgreSQL 명령어들(commands)은 명령어가 실행되는 동안에 비호환적인 방법으로 참조하는 테이블이 변경되거나 버려지진(Dropped)않도록 하기위해서 자동적으로 적절한 락을 획득합니다. (예를들어, TRUNCATE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