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search 가 버전이 높아짐에 따라 인증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사실 이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가 Elastic 에서 배포하는 X-Pack 중에 Security 플러그인 때문인데, 이 Security 를 활성화 하게 되면 TCP, HTTP 통신을 TLS 통신을 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문제는 Elasticsearch 자바 기반이며, 따라서 생성하는 파일이 여느 다른 인증서와는 다른 면도 있다. ‘다른 면도 있다’ 라고 표현한 이유는 일반적인 PEM 형식의 보안키와 인증서를 모두 지원하지만 여전히 자바 세계에서만 통용되는 방법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keystore 파일 최신 버전의 Elasticsearch 7 을 설치하게 […]
로그 저장과 트래킹
로그(log) 는 각종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담고 있다. 한 사람이 하나의 시스템,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다루거나 관리를 한다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요즘 처럼 분산형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대에 로그를 하나씩 다 들여다 본다는 건 불가능이다. 거기다 로그를 본다는 것도 여간 쉬운일이 아니다. 매우 지루하고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데, 수 많은 로그속에서 내가 필요로하는 정보를 찾기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이것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그룹이 만들어졌는데, 다음과 같은 것이다. Splunk 스플렁크(Splunk) 는 사용 소프트웨어다. 대량으로 로그를 저장하고 분석하도록 […]
ElasticSearch 7.13 기반 책 리뷰
오래전에 “시작하세요! 엘라스틱서치” 라는 책을 구매해 본적이 있다. 지금도 소장하고 있는데, 엘라스틱서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익히는데 손색이 없는 책이라 평가하고 싶다. 단, 내가 볼때에 엘라스틱서치에 버전이 6.4 이다 보니 없어져버린 기능들은, 예를들어 펫싯, 볼 필요가 없었다. 오늘은 최신의 ElasticSearch 7.13 버전에서 이 책에 내용을 한번 살펴보고자 한다. 엘라스틱서치는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변경된 부분이 상당히 많아진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꽤 도움이 될법한 내용들이라 생각한다.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 구조 – 타입(Type) 없어짐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에서 인덱스(Index), 타입(Type), 도큐먼트(Document)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엘라스틱서치 […]
ElasticSearch Nodes
ElasticSearch 는 노드(node) 로 불리운다. Node 는 ElasticSearch 의 독립된 인스턴스다. 그런데, 이 Node 에는 역할이 있으며 어떻게 Node 에 역할을 부여하는지에 해서 알아본다. Node Type Master Node 마스터 노드(Master Node) 는 ElasticSearch 의 클러스터(Cluster) 전체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다. ElasticSearch 는 분산검색엔진이며 각 노드들은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하나의 그룹내의 멤버들로 관리되는데 이렇게 ‘하나의 그룹’ 을 클러스터라고 한다. 클러스터내에 노드들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들의 유기적인 통제를 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마스터 노드이다. ElasticSearch 의 공식 문서에 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