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Self Signed 인증서 만들기 간략한 버전이다. 이론적인 내용은 빼고 OpenSSL 을 이용해서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Windows,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오류 해결
윈도우즈(Windows) 에서 개발을 할때에 사설 인증서를 사용한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제목과 같이 인증서 오류가 발생한다. 사설 인증서를 사용한 서버에 인증을 위해서는 Root CA 인증서를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Root CA 인증서는 공개키를 가지고 있고 이를 사용해서 서버에 사설 인증서에 내장된 해쉬값과 인증서명을 해독한다. 인증서 추가 윈도우즈(Windows) 도 이제는 인증서를 시스템에서 다룬다. 과거에는 브라우져에서 다루었지만 이제는 시스템에서 통합해 다루도록 변경되었다. 인증서를 추가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certutil.exe 커맨드 라인을 사용하는게 쉽다. certutils.exe 는 인증서 추가는 물론 파일의 해쉬값도 구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 다양한 […]
Elasticsearch 보안 – 인증서
Elasticsearch 가 버전이 높아짐에 따라 인증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사실 이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가 Elastic 에서 배포하는 X-Pack 중에 Security 플러그인 때문인데, 이 Security 를 활성화 하게 되면 TCP, HTTP 통신을 TLS 통신을 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문제는 Elasticsearch 자바 기반이며, 따라서 생성하는 파일이 여느 다른 인증서와는 다른 면도 있다. ‘다른 면도 있다’ 라고 표현한 이유는 일반적인 PEM 형식의 보안키와 인증서를 모두 지원하지만 여전히 자바 세계에서만 통용되는 방법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keystore 파일 최신 버전의 Elasticsearch 7 을 설치하게 […]
letsencrypt 인증서 발급/갱신
letencrypt 는 무료로 발급 받을 수 있는 도메인 인증서이다. 도메인 인증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HTTP 통신을 암호화하는데 필요한 것이다. 원래는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하지만 letsencrypt 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대부분의 발급 절차를 서버의 CLI 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버가 있어야 하며 터미널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또, Python 을 필요로 한다. 인증서를 발급 받기위해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이것이 Python 을 필요로 한다. certbot 설치 certbot 은 letsencrypt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한 CLI 명령어 세트다.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할 수 있다.
1 2 3 |
]$ git clone https://github.com/letsencrypt/letsencrypt ]$ ls letsencrypt |
복제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