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Gitlab, Helm Chart CI 구축

Gitlab 은 Package Registry 라고 Helm 저장소를 지원한다. Helm Chart 를 만들고 이를 자동으로 빌드해서 Helm 저장소로 Push 하도록 만들어 보자. Gitlab-runner Gitlab 은 빌드를 위해서 Runner 라는 별도의 패키지를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서버를 여러대 둘 수 있고 각 빌드별 특성에 맞는 설정을 가진 Runner 를 셋업할 수 있다. Helm 을 위해서는 당연히 helm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어야 Runner 가 Helm 을 만들때 이용할 수 있다. gitlab-ci.yml Gitlab 은 CI 를 위해서 gitlab-ci.yml 파일을 이용한다. 이 파일이 있으면 자동으로 인식해 […]

Kubernetes

Gitlab, Helm 저장소 사용하기

Gitlab 은 아주 좋은 툴이다. 단순하게 git 저장소 뿐만 아니라 Container 저장소, Package 저장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Package 저장소가 Helm chart 저장소이다. 이 문서는 Gitlab 에서 Helm 저장소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Project Gitlab 은 기본적으로 소스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카테고리로 Project 를 만든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Gitlab 은 다양한 저장소 타입을 제공하기 때문에 딱히 Git 저장소 라고 불리기도 애매하기 때문이다. Gitlab 은 Git 명령어를 이용하지만 저장소는 Git, Container, Package, Terraform states, Terraform modules 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Helm 저장소를 Package Registry 로 […]

DevOps

Gitlab, CI/CD 변수가 사용되지 않을때

Gitlab 에서 Settings -> CI/CD -> Variables 에서 CI/CD 에서 사용가능한 변수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한 변수는 CI/CD 에서 활용되며 CI/CD 진행할때 운영체제의 환경변수로 자동 지정된다. 따라서 빌드시에 운영체제에 환경변수를 활용하고자 한다면 여기서 변수를 설정하면 된다. AWS_ACCESS_KEY_ID, AWS_SECRET_ACCESS_KEY 등은 운영체제 환경변수로 지정하면 AWS API 통신이 가능해진다. 소스코드에 하드코딩하는 것보다야 낫다. Merge Request Pipeline 에서 변수가 활용 불가 문제 그런데, Merge Request Pipeline 에서는 이 변수가 적용되지 않았다. TF_USERNAME 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적용되지 않았다. 이는 CI/CD 변수의 Protect 기능 때문이다. […]

DevOps

Gitlab, Docker 빌드시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오류 해결

Gitlab 은 CI/CD 를 내장하고 있다. 이는 Gitlab-runner 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gitlab-ci.yaml 파일을 이용해 CI/CD 명세를 작성하면 Gitlab-Runner 가 이 파일을 읽어 실행해 준다. Gitlab-Runner 에는 타입이 존재하는데, docker 로 할 경우에 Docker 를 이용해서 CI/CD 를 진행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Docker 를 이용해서 Container 안에서 빌드, 테스트, 배포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Private Certificate 문제는 사설 인증서다. Docker 컨테이너내에서 외부 접속을 하기 위해서 HTTPS 통신이 필요한데, 하필이면 HTTPS 가 사설 인증서를 사용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Docker 컨테이너 안이라 사설 인증서에 […]

DevOps

Git 브랜치 목록 동기화

Git 를 사용할때에 원격과 로컬의 브랜치를 동기화되서 동작한다. 그런데, 원격 브랜치를 삭제하고 난후에 로컬 브랜치를 보면 동기화 되지 않는다. 위 예제를 보면 원격 브랜치가 여러개 보인다. 하지만 실제 원격 브랜치를 보면 main 빼고는 전부 삭제된 상태 이다. 이럴때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위와같이 로컬에 원격 브랜치 목록이 실제 원격 브랜치 목록과 동기화 되었다.

DevOps

GitLab, Merge Request 일때만 Auto DevOps 되도록 하기

Gitlab 은 매우 강력한 툴이다. 이거 하나면 다 된다. 문제는 다루기가 여간 쉽지가 않다는데 있다.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상태라면 Gitlab 을 손댈 필요가 없지만 그것을 몰랐을 때에는 예기치 않은 반응과 결과를 보게 된다. Gitlab 은 CI/CD Pipeline 을 지원하는데, 이에 대한 설정은 Auto DevOps 에서 하게 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CI/CD Pipeline 을 Auto DevOps 라고 부른다고 이해해도 된다. 각 프로젝트 마다 Auto DevOps 설정이 존재한다. 이 설정의 기본은 다음과 같다. “Default Auto DevOps pipeline” 이 체크되어 있는데, 아래 설명에 […]

DevOps

Gitlab 으로 terraform 상태(state) 관리하기

Terraform 을 여러명이 사용할때에 필요한 것이 Terraform 의 상태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terraform 을 실행할때마다 상태(state) 파일이 갱신되는데, 여러사람이 같이 일을 할때에는 이 파일을 공유해서 사용해야 한다. 대부분이 terraform state 파일을 AWS S3 저장소와 Dynamo DB 를 이용해 lock 을 거는 방식이 많이 거론된다. 이 방법은 AWS 클라우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강제가 필요한데, 물론 Terraform 이 클라우드를 빠르게 코드로 만들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어짜피 AWS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성할 거면 S3 를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인터넷상에 보면 Gitlab 을 […]

HowTo

Gitlab 백업/복원

Gitlab 을 업데이트 하면서 보여지는 백업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다. 업데이트를 하기전에 데이터베이스와 설정 파일들을 백업하고 있다. 만일 전체 백업을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다. 수행후 생성된 백업 파일은 /var/opt/gitlab/backups 디렉토리에 만들어 진다. 만일 복원을 해야 한다면 백업 디렉토리에 백업한 파일을 올려놓고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DevOps

GitLab-Runner 설치

이 문서는 GitLab-Runner 설치 에 대한 것이다. GitLab 은 CI/CD 를 위해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이것이 바로 GitLab-Runner 이다.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GitLab 과 함께 있어야 하는것도 아니고 독립적으로 다양한 플랫폼에 설치해도 된다. 설치 설치는 아주 간단하다. 각 배포판, 플랫폼마다 패키지를 제공한다. 나는 Ubuntu 20.04 에 그것도 GitLab 서버에 설치할 예정이다. 다른 서버에 설치를 해도 되지만 테스트 삼아 설치하는 것이여서 이렇게 진행했다.

이렇게 설치를 하고 나면 /home/gitlab-runner 계정이 생성되며 systemd 에 gitlab-runner 서비스가 등록이되며 자동으로 실행이 된다. […]

DevOps, Installation

GitLab 설치와 설정

GitLab 설치 하기. GitLab 은 무료로 사용가능한 git 저장소, ticket 시스템이다. github 의 오픈소스 버전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gitlab 을 Ubuntu 20.04 LTS 에 설치와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준비 Gitlab 을 설치하기 전에 필요한 의존성 패키지들을 먼저 설치해 준다.

메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메일 서버를 설치해줘야 하지만 여기서는 제외한다. Gitlab 설치를 위한 저장소 추가 gitlab 홈페이지에서는 각 리눅스 배포판에 맞춰 스크립트를 제공한다. Ubuntu 20.04 를 위해 제공해주는 스크립트를 실행해 준다.

Gitlab 설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