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

리눅스 부팅 복구하기

VMPlayer 에서 RHEL 8.8 을 설치하고 사용하다가 KVM 으로 이미지를 바꿔서 옮겼다. 그리고 부팅을 했는데, 부팅이 되지 않았다. Graphic 모드를 끄고 부팅 메시지를 봤는데 다음과 같이 멈췄서 부팅이 되지 않는 것이였다. 부팅이 되도록 해야하는데, 어떻게 진행했는지 기록해 본다. 다른 KVM VM 에 디스크로 붙이기 부팅이 멈춘 RHEL8.8 VM 이미지를 다른 VM 의 디스크로 붙인다. virsh 명령어를 이용해서 디스크를 추가 할 수 있다. 먼저, KVM VM 을 시작 시켜놔야 한다. 구동되고 있는 VM 에 디스크를 라이브로 붙일 수 있다. OL85 VM […]

HowTo

Rocky Linux 9 에 Open vSwitch 세팅하기

Rocky Linux 9 는 RHEL 9 (RedHat Enterprise Linux 9) 의 크론 버전이다. RHEL9는 상용인 반면에 Rokcy Linux 는 무료다. RHEL9나 Rokcy Linux 9 로 넘어오면서 변화한 것중에 하나가 ifcfg-eth0 파일이다. 이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에 존재했었고 eth0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저장되었었다. 부팅을하면서 Network-Manager 데몬이 이 파일을 읽어 실행했었다. 하지만 RHEL9과 Rokcy Linux 에서는 이 파일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nmcli 명령어를 통해서 세팅을 하도록 변경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Open vSwitch 세팅에서도 영향을 준다. 우분투와 다르게 RHEL9, Rocky […]

HowTo

KVM Image 용량 증설하기

KVM 가상화를 운영하고 있는데, 운영중인 VM 하나가 용량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KVM 가상화 VM 의 용량은 결국 이미지 파일 한개임으로 이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늘려주면 VM 의 용량이 사실상 늘어나는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현시점(2023) 에서 검색을 해보니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했다. 그 중에는 VM 이미지를 로컬에 마운트해서 늘려주는 방법도 존재했지만 너무나 복잡해 보였다. 좀 더 쉬운 방법이 없을까 해서 검색한 결과 가장 쉬워보이는 것을 발견했고 이 방법으로 손쉽게 VM 용량을 늘리는데 성공했다. VM 상태 용량을 늘리려는 VM 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

HowTo

VIM lightline 플러그인

vim 을 사용할때에 필요한 것이 상태바(Status Bar) 다. 보통은 airline 을 많이 쓰는데, 여러가지 의존성이 필요해서 사용하기에 쉽지가 않다. lightline 은 의존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vimrc 에 설정을해주면 된다. t_Co=256 설정과 아래 두가지 부분의 설정이 핵심으로 보면 된다.

HowTo

Ansible, 특정 동작 대기/확인 하기

Ansible 을 사용할때에 특정 동작에 대해서 대기한 후에 진행하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Tomcat 과 같은 경우인데, Tomcat 이 시작을 하게 되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기까지 몇 초의 시간이 더 걸린다. 웹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접속을 받기 전에 또 다른 작업을 하게 될 경우에 문제가 된다. wait_for Ansible 에서는 위와같은 경우를 위해서 wait_for 라는 것을 지원한다. 예제를 보면 단번에 이해할 수 있다.

포트 80 을 체크해 10초동안 딜레이를 가진다. 다음 예제를 보자.

tomcat.pid 파일이 생성되면 다음 스텝으로 진행 된다. 또 […]

HowTo

RedHat Enterprise Linux Subscription 관리

현재 프로젝트를 하면서 RHEL 을 테스트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Developer 라면 가입을 하면 Linux 와 JDK 등을 무료로 사용할 있는 서브스크립션을 얻을 수 있다. 문제 RHEL 8.4 를 다운로드 받아서 서브스크립션 인증을 하고 설치까지 다하고 나서 이미지를 백업했다. 그런데, 시간이 얼마지나지 않아 RHEL 8.5 로 업데이트가 되었다. 이미지를 백업한 것은 Minimal Installation 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였다. RHEL 8.5 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난 후에 문제가 있어서 다시 처음부터 해야할 상황이 되어서 RHEL 8.4 이미지를 가져와 부팅을 시켰다. 그리고 dnf 명령어를 이용해서 update […]

HowTo

systemd unit 편집기 바꾸기

systemd 는 이제 리눅스 시스템의 뼈대가 되는 기본운영 방법이 되었다. 기존에는 System V Init 이였지만 RHEL 7, Ubuntu 16.04부터 기본 시스템운영 프로그램이 되었다. systemd 는 ‘ctl’ 로 끝나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systemctl, journalctl, timedatectl, hostnamectl, loginctl 이 대표적이다. systemctl 의 경우에는 systemd unit 파일들에 대한 제어와 설정이 가능하다. systemd unit 파일은 기존의 Systemv V init Script 를 대체하는 것으로 일종의 시스템 데몬 프로그램들이라고 보면 된다. 시스템이 시작될때에 자동으로 시작되게 한다거나 종료하게 한다거나 하는것들을 가능하게 한다. unit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기 […]

HowTo

Yum 패키지 충돌 발생시 쓸 수 있는 명령어

최근에 CentOS 8 에서 Kubernetes 를 테스트하던 중에 패키지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일이 발생 했다. 아직 Kubernetes 는 CentOS 8 배포판을 정식으로 지원하지 않아 CentOS 7 배포판의 패키지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yum 명령어로 업데이트를 할려고 보니 오류가 발생 했다. 이럴 경우에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의존성을 체크해 볼 수 있다.

위와같은 명령어를 이용하면 패키지 의존성에 대한 내용을 풀어서 볼 수 있다. 참고: kubeadm and kubelet 1.15 fail to install on centos 7 after patches released today#92242

HowTo

Oracle Linux 8 UEK 커널 설치

Oracle Linux 는 UEK(Unbreakable Enterprise Kernel) 라고 해서 커널을 제공 한다. Oracle 은 이를통해 최신의 커널을 제공하고 자신들만의 퍼포먼스 패치를 더해서 고성능을 낼수 있도록 했다. Oracle Linux 8 에서 UEK 커널을 설치해 보자. Yum Repository 확인 Oracle Linux 8 에는 uek 를 위한 yum repository 가 추가되어 있다. 다음과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ol8_UEKR6’ 가 uek 를 위한 저장소(repository) 이다. 이제 다음과 같이 어떤 버전의 uek 커널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체크해보자.

현재 시점에서 5.4 버전의 uek 커널이 있음을 알 […]

Installation

Oracle Linux 8.2 설치

Oracle 에서 만들어서 배포하는 Oracle Linux 8.2 를 설치해 본다. 현 시점(2020.07) 에서 최신버전은 Oracle Linux 8.2 이다. 다운로드 Oracle Linux 를 설치를 위해 준비된 이미지는 두가지로 전체 패키지를 담은 DVD 이미지와 Boot 이미지를 제공한다. Boot 이미지는 또 일반 커널과 UEK 커널을 가지는 버전으로 제공한다. 어느걸 하던 상관은 없다.

설치 다운받은 이미지를 USB 나 CD 로 구워서 부팅을 한다. 부팅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Install Oracle Linux 8.2.0” 를 선택해서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는 CentOS 설치 화면과 동일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