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ged: Linux

Oracle Linux 8 UEK 커널 설치

Oracle Linux 는 UEK(Unbreakable Enterprise Kernel) 라고 해서 커널을 제공 한다. Oracle 은 이를통해 최신의 커널을 제공하고 자신들만의 퍼포먼스 패치를 더해서 고성능을 낼수 있도록 했다. Oracle Linux 8 에서 UEK 커널을 설치해 보자.

Yum Repository 확인

Oracle Linux 8 에는 uek 를 위한 yum repository 가 추가되어 있다. 다음과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ol8_UEKR6’ 가 uek 를 위한 저장소(repository) 이다. 이제 다음과 같이 어떤 버전의 uek 커널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체크해보자.

현재 시점에서 5.4 버전의 uek 커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스템 커널 유지 개수

yum 은 자동으로 패키지를 설치해주고 더 이상 필요없는 패키지는 삭제해주며, 의존성도 함께 해결해준다. 커널의 경우에는 버전마다 설치가 되는데 이렇게 되면 아주 많은 커널이 설치가되어서 부팅시 많은 커널들이 보이게 된다.

이런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yum 은 같은 패키지의 경우에 다양한 버전에 한해서 몇개까지 유지할지 개수를 제한하는데 이것이 ‘installonly_limit’ 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etc/yum.conf 파일에 저장된다.

초기값은 3 인데, uek 를 설치하게되면 기본 커널도 삭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것을 5로 교체해준다.

설치

설치는 yum 명령어를 이용해 간단히 다음과 같이 설치 할 수 있다.

자동으로 uek 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준다. 재부팅을하면 uek 커널로 올라올 것이다.

Oracle Linux 8.2 설치

Oracle 에서 만들어서 배포하는 Oracle Linux 8.2 를 설치해 본다. 현 시점(2020.07) 에서 최신버전은 Oracle Linux 8.2 이다.

다운로드

Oracle Linux 를 설치를 위해 준비된 이미지는 두가지로 전체 패키지를 담은 DVD 이미지와 Boot 이미지를 제공한다. Boot 이미지는 또 일반 커널과 UEK 커널을 가지는 버전으로 제공한다. 어느걸 하던 상관은 없다.

설치

다운받은 이미지를 USB 나 CD 로 구워서 부팅을 한다.

부팅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Install Oracle Linux 8.2.0” 를 선택해서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는 CentOS 설치 화면과 동일하다. 부팅을 uek boot 이미지를 이용해서 부팅을 했기 때문에 설치를 위한 패키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반드시 인터넷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설치할때에 반드시 Network 설정을 먼저해 줘야 한다.

Network 설정

나는 iptime 공유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DHCP 만으로 설치하는 Oracle Linux 서버의 ip 설정을 끝냈다. 물론 고정IP 를 설정해도 된다. 일단 인터넷이 되어야 한다.

패키지 저장소 지정.

uek boot 이미지로 부팅을 했기 때문에 패키지를 인터넷을 통해서 다운받아야 한다. 다운받을 주소를 지정해준다. 이 주소는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위 링크에서 “Installation Media Packages” 에서 BaseOS 8.2 에 x86_64 링크를 클릭해서 나오는 화면에 오른쪽에 Direct Yum Repository URL 주소를 입력해주면 된다.

나머지는 모두 CentOS 설치와 완전히 동일하다. 개인적으로 여기에 Oracle DB 를 설치하고자 파티션을 다음과 같이 나눴다.

  1. / – 40GB
  2. swap – 12GB

DNF 사용하기

CentOS 8 로 넘어오면서 기본 패키지 매니지먼트로 dnf 가 되었다. 여전히 yum 을 지원하지만 앞으로는 dnf 로 쭉 간다고 하니 이참에 배워보자고 생각하지만….

겁나 빡치는게, 이제 그만 바꿨으면 한다. 뭔 yum 정도로도 충분히 잘 쓰고 있고 괜찮다고 싶다. 무슨 겁나 가볍네, 더 빠르네 어케 좋네… 응 yum 도 그렇게 느리고 그렇게 무겁지도 않아! 도대체 뭘 할때마다 갈아 엎고 이걸 새로 배우라고 하니.. 뭐 어쩌것나.. 그렇게 하겠다는데, 닥치고 배워야지!

dnf

햐.. 쓰기도 귀찮다… “DNF is the next upcoming major version of YUM, a package manager for RPM-based Linux distributions” 이렇게 맨 페이지에 설명이 나온다.

사용법

사용법은 아주 간단하다. yum 의 기본 사용법은 대동소이하다고 하겠다.

이정도만 알아도 패키지를 다루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Ubuntu 18.04, Static IP 할당하기

Ubuntu 18.04 의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련 작업은 netplan 으로 바뀌었다. 만일 Static IP 를 할당하고 싶다면 netplan 의 설정 파일을 수정하고 적용하면 된다.

/etc/netplan/*.yml

여기서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대략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dhcp4: yes 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DHCP 로 아이피를 받아온다. 하지만 이것을 no 바꾸면 Static IP 를 할당할 수 있다.

netplan 적용

수정을 다 했다면 다음과 같이 적용해 준다.

Ubuntu 18.04 ethernet 이름 변경하기

Ubuntu 18.04 를 설치하면 ethernet 인터페이스 이름이 과거 eth0 가 아닌 ens3 과 같이 나온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프로그램들이 기본적으로 eth0 를 기본으로 찾기도 한다. eth0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GRUB 파라메터 수정

다음과 같이 Grub 에 파라메터를 추가 한다. Grub 에 파라메터는 /etc/default/grub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추가할 수 있다.

수정된 사항이 Grub 에 반영하기 위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재부팅을 하면 안된다. 특히나 DHCP 환경에서는 다음의 단계를 수행한 후에 재부팅을 해야 한다.

netplan 수정

netplan 은 Ubuntu 17.04 에서 소개된 기능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련 작업을 해준다. 이 프로그램은 /etc/netplan/*.yml 파일을 참조하는데, Ubuntu 18.04 의 경우에 /etc/netplan/01-netcfg.yaml 파일을 참조 한다.

eth0 부분이 수정한 것이다. 이렇게 수정을 다 했으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수행해 준다.

이렇게 한 후에 재부팅을 하면 DHCP 환경에서 문제 없이 eth0 인터페이스 이름으로 네트워크가 정상 동작한다.

Trac 에서 Ticket 삭제하기

Trac 을 사용하다보면 Ticket 을 삭제하고 싶을때가 있다. Ticket 삭제 플러그인이 존재하지만 Ticket 이란게 자주 삭제를 하는 것이 아니여서 굳이 이것을 설치해서 사용해야할 만큼은 아닌듯 한데, 그런데도 잘못된 Ticket 을 삭제해야한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trac-admin 을 활용하면 된다.

출처: Deleting trac tickets created since a certain date until today

두번째 방법으로 ‘ticket.deleter’ 를 활성화하면 된다. 이는 Trac 에서 공식지원하는 것으로 Ticket 웹화면에서 Reply 버튼 옆에 Delete 버튼이 나타난다. 이를 위해서는 trac.ini 설정파일에 다음과 같이 설정해준다.

Grub2 에 기본 커널 지정하기

Grub2 은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메니져이다. 리눅스는 커널을 여러개를 설치하고 부팅시에 선택해서 원하는 커널로 부팅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상 복구가 필요할 경우에도 부팅 메니져인 Grub2 에서 비상복구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문제는 어떻게 기본 커널을 지정할 수 있을까?

먼저, 기본 부팅 커널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부팅 상황이라면 위에 설정한 커널을 기본으로 부팅을 진행하게 된다. 만일 이 기본 커널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우선, 현재 Grub2 에 등록된 커널 목록들을 알아야하는데 다음과 같이 하면 알 수 있다.

커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데, 맨 위쪽부터 0 을 시작으로 번호를 붙일 수 있다. 이러한 번호는 기본 부팅 커널을 바꾸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제 기본 부팅 커널을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확인을 한번 해보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한 후에 다시 Grub 을 설치해줘야 한다.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기본 부팅 커널이 바꾼 것이다.

Ubuntu 18.04 도메인을 찾을 수 없을때

Ubuntu 18.04 를 사용중인데, 보안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 apt 명령을 입력했더니 다음과 같이 도메인을 찾을 수 없는 이유로 오류가 생긴다.

“Temporary failure resolving” 이게 뭘까 싶어서 알아본 내용을 정리한다.

resolve.conf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을 것이다.

resolv.conf 파일은 다들 알다시피 도메인 네임 서버를 지정해주는 설정 파일로 이 파일이 잘못되면 도메인을 ip로 변환할 수가 없게되어 결국에는 인터넷 연결을 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런데, 위 내용을 보면 도메인 서버 ip는 로컬 호스트로 보이고 코멘트에 이것을 수동으로 바꾸지 말것을 경고하고 있다. 거기다 resolve 상태를 “systemd-resolve –status”로 확인하라고 친절히 안내하고 있다. 이 명령어는 uplink DNS 서버에 대한 상태를 알려준다.

그러면 이 uplink DNS 를 바꿀 수는 없을까?

systemd-resolve 데몬이 이를 수행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위치의 파일들을 읽어서 동작한다.

Ubuntu18.04 에서는 /etc/systemd/resolved.conf 파일이 존재하며 여기에 DNS= 부분에 DNS 서버를 space 로 구분해 리스트로 적어놓을 수 있다.

실제로 ‘DNS=8.8.8.8’ 을 입력하고 ‘systemctl restart systemd-resolved’ 하면 적용되어 apt update 가 잘 동작했다.

PHP7 설치하기

이 문서는 php7.2 설치 문서 입니다.

1. 준비

CentOS 가 최소설치되었다고 가정하고 시작했기 때문에 컴파일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

Ubuntu16.04 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2.Download and Unpack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3. Configure and Compile

이제 PHP에서 사용할 기능들을 결정해야 합니다. PHP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아주 많지만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사용할 것입니다.

아무런 에러없이 끝났다면 다음과 같이 컴파일을 해주고 설치해준다.

4. Configure to the installed php7

config-file-scan 디렉토리를 생성해 준다.

그리고 php.ini 파일을 /opt/php-7.2.1/etc 디렉토리로 복사해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php-fpm 을 위한 설정 파일도 만들어 준다. 이것은 php-fpm.conf.default 파일을 php-fpm.conf 파일로 복사해주고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된다.

그리고 pool 을 php-fpm.d 디렉토리에 설정해 준다. 보통 기본으로 www.conf 가 있는데 이것을 활요하면 된다.

위 설정은 각 서버 환경에 맞춰 해줘야 한다. 얼마나 사용자를 받느냐에 따라서 pm 값을 달리 해줘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이 systemd 를 위한 서비스 파일을 다음과 같이 작성해 줍니다.

위 내용을 php-fpm.service 파일로 /etc/systemd/system 디렉토리에 작성해 주고 systemd 에 등록해준다.

5. Verify

php-fpm 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 하는 방법으로 cgi-fcgi 명령어를 활용하는 법이 있다. 이 명령어는 php-fpm 처럼 FastCGI 로 동작하는 서버에 직접 연결을 할 수 있게 해준다.

php 정보를 표시해줄 파일을 작성하고 다음과 같이 cgi-fcgi 를 사용해 본다.

index.php  파일에는 ‘phpinfo();’ 를 호출해 php 설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했으며 각종 파라메터를 쉘 환경변수에 지정해서 cgi-fcgi 로 전달해준다.

Database 를 위한 공유 메모리, HugePages 계산하기

Database 시스템은 공유메모리 혹은 HugePages 에 매우 의존적입니다.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가 가동되면 Database 가 사용하는 메모리는 Database만을 위해서 사용되어 집니다. 대부분의 큰 Database 시스템은 다른 서버 프로그램 없이 단독으로 설치되어 운영되어지기 때문에 얼마만큼 물리적 메모리를 Database 에 할당할지가 Database 시스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 Database 시스템을 위한 공유메모리, HugePages 등을 할당할때에 고려사항은 무엇이며 얼마나 할당하는 것이 좋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Oracle 11g or 12c

먼저 Oracle 은 물리적 메모리에 약 80% 를 Oracle 이 사용하도록 할당하도록 합니다. 여기서 대략 80% 라고 했는데, 만일 몇가지 프로그램을 함께 돌린다면 약 75% 가 적당합니다.

물리 메모리의 약 80% 할당

여기서 고려해야할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80%를 할당하라고 해서 무조건 80%를 할당하게 되면 문제가 됩니다. 예를들어 16GB 의 물리 메모리로 운영하는 경우에 80%면 12.8GB 이고 서버에서 사용가능한 용량은 3.2GB 입니다. 요새 데스크탑 컴퓨터도 안되도 4GB 는 사용하는데 아무리 가벼운(?) 리눅스 서버라도 3.2GB 는 운영하는데 너무 적어 보입니다.

이럴때는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최소 메모리를 남겨두고 나머지를 Oracle 에 할당하는게 현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하나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사항은 Oracle 에서 AMM을 쓰느냐 안쓰느냐 하는 문제 입니다. 이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AMM 을 사용할 경우: /dev/shm 장치를 이용한 공유메모리 모델 사용. HugePages 사용 불가

AMM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System V 공유 메모리 모델 사용. HugePages 사용 가능

 

Oracle 11g 버전으로 넘어오면서 전에 없던 기능이 하나 생겼는데, 그것은 바로 AMM(Aotomactic Memory Management) 입니다. AMM은 Oracle의 메모리 모델인 SGA와 PGA 를 통틀어서 메모리 관리를 자동으로 해준다는 개념입니다.

AMM 기능을 이용하면 대략적으로 SGA 영역은 Oracle 할당받은 메모리 영역에서 85%, PGA 는 약 15%로 나눠서 관리한다고 합니다.

또 한가지 AMM의 특징이 있는데, 공유메모리 모델중에서 /dev/shm 장치를 이용한 Posix 규격의 공유메모리 모델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 메모리 모델은 메모리 가상 장치를 통해서 프로세스가 공유할 내용을 파일로 저장해서 공유하는 방법으로 오로지 용량에만 제약사항이 있습니다. 공유할 내용을 파일로 생성할때에 얼마만한 크기로 생성할지는 전적으로 서버 프로그램, 여기서는 Oracle, 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최근의 모든 리눅스 서버는 /dev/shm 이 자동으로 마운트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전체 물리메모리의 50%를 사용합니다.

용량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줍니다. CentOS 6과 CentOS 7 배포판 별로 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만일 AMM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SystemV 의 공유메모리 설정을 따르게 됩니다. 이때에 HugePages 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들은 커널 파라메터로 조정하며 그 설정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shmmax: 단일 프로세스가 공유메모리를 호출하기 위한 최대 값. 단위 Bytes

shmall: 시스템을 통틀어 사용가능한 공유 메모리 Page 량. 단위 Page

nr_hugepages: Huge 페이지 개수.

 

여기서 중요한 것이 만일 HugePages 를 사용한다면 shmall 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shmall 은 리눅스 메모리의 기본단위인 4096bytes(4k) 를 기반으로 계산되어 지는데, HugPages 는 이보다 더 큰 2048k(2MB) 를 기반으로 페이지를 나누기 때문입니다.

어찌됐든 이런 모든 상황을 고려해서 사용가능한 메모리를 구한다면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다른분이 만들어놓은 것으로 최소 500MB 용량을 넘는 것으로해서 shmmax, shmall, hugepages 를 모두 계산하고 있습니다.

MySQL 5.x

MySQL 의 경우에, InnoDB 엔진만을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전체 메모리의 80%를 MySQL이 할당해서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물리 메모리의 약 80%를 MySQL에 할당(InnoDB만 사용)

MySQL 은 오로지 SystemV 의 공유메모리 모델을 따릅니다. 따라서 HugePages 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my.cnf 에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shmmax,shmall,nr_hugepages 는 앞에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구합니다.

Linux 설정

SystemV 공유 메모리 모델의 경우에 몇가지를 더 해줘야 합니다.

첫째로 Transparent Huge Pages (THP) 설정을 꺼야 합니다. 성능저하가 발생한다고 하네요. 다음과 같이 간단히 처리 할 수 있습니다.

매번 부팅시마다 자동으로 설정하고 싶다면 부팅 파라메터를 수정해 줍니다.

Ubuntu 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해줍니다.

CentOS 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해줍니다.

확인도 가능한데, 다음과 같이 AnonHugePages 값이 0Kb 명 THP 가 비활성화 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커널이 HugePage 를 사용할 그룹이 누군지를 지정해 줍니다.

위와같이 리눅스 시스템 사용자의 그룹ID 를 알아내도록 명령어를 입력할 수도 있고 아니면 그냥 그룹ID를 찾아서 적어줘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