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aDB, MySQL

M-HA MySQL 설정

MySQL 은 인기있는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언제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라면 항상 따라오는 것이 Master-Slave 리플리케이션 환경이고 거기에 덧붙여 자동 페일오버(Auto FailOver) 를 어떻게 할 것이라는 골머리 앓는 주제가 따라서 나온다. MySQL 의 경우에 자체 적인 FailOver 솔루션이 있다. Fabric 이 그것인데, 아직은 많이 쓰이지는 않는 모양이다. 대신에 AutoFailOver 를 지원하는 제3의 툴들이 존재하는데 M-HA 가 바로 이러한 솔루션이다. M-HA 는 일본인이 Perl 을 이용해서 작성한 솔루션이다. github 저장소에 소스코드는 공개되어 있으며 저장소이름은 mha4mysql-manager 이다. 구조 M-HA 는 Manager 와 Node  로 […]

JBoss EAP

JBoss 5 MySQL Replication 접속

만일 MySQL 이 Replication 되어 있다고 한다면 Master 는 read/write 를 Slave 는 read Only 만 하도록 접속을 하고 싶을 것이다. MySQL Connector/J 의 최신버전은 이러한 접속을 지원 한다. 다음은 MySQL Replication 접속을 위한 mysql-ds.xml 예제다.

‘connection-url’, ‘driver-class’ 을 유심히 봐야 한다. mysql-ds 에서의 설정은 MySQL 의 접속을 이중으로 하도록만하고 실제 쿼리를 분기하기 위해서는 DAO 에서 @Transactional(readOnly=true) 를 주어야 한다. 이 어노테이션은 읽기만을 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이는 MySQL Slave 에 접속하게 된다. 각 메소드마다 어노테이션을 주기 싫다면 AOP 를 […]

JBoss EAP

JBoss EAP 5 MySQL JNDI 설정

JNDI 는 자바 애플리케이션 서버라면 거의 다 지원하는 기능이다. 이는 특정한 자원의 접근을 디렉토리 접근하듯이 하도록 해준다. 여기서 자원이라면 대부분 외부 서버에 있는 저장소들을 말한다. MySQL, PostgreSQL, Oracle, MS SQL 등 외부 저장소에 접속할때마다 저수준의 드라이버를 올리고 인증을 넣는게 아니라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접속하을 해놓고 이것을 디렉토리화해서 올려놓으면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 디렉토리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외부자원에 접속이 끝이 나게 되어 간편해진다. 이 글은 JBoss EAP 5 MySQL JNDI 설정에 관한 글이다. MySQL Connector/j MySQL에서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접속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jar […]

Database, MySQL

[번역] MySQL 5.7.6 릴리즈. 큰 변화에 준비하자.

이 글은 “MySQL 5.7.6 is out. Be prepared for big changes” 를 원작자의 허락을 받아 번역한 것입니다. 원본은 아래의 주소에 있습니다. 번역을 허락해준 Giuseppe Maxia 씨에게 감사 합니다. MySQL 5.7.6 is out. Be prepared for big changes 오늘 오라클(Oracle)이 MySQL 5.7.6 마일스톤 16을 릴리즈(Release) 했다. 이것으로 MysQL 5.7 은 개발에 2년이 넘게 소요됐다. MySQL 5.6과 비교해 바뀐점은 아주 넓다. 주요한 팀(개발 팀)의 노력은 이전 릴리즈와 비교해 2배에서 3배의 성능 향상을 가지는 , MySQL 의 동작,스피드에 포커스를 맞춰왔다. 무엇이 새로운지에 대한 전체 […]

Database, MariaDB

TIMESTAMP and DATETIME 기능 개선

MariaDB 10 버전이 올라가면 기능이 향상되는데, TIMESTAMP 와 DATETIME 의 데이터 타입(Data Type)을 사용하는 컬럼에 경우 Update, Insert 시에 몇가지 기능이 향상되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created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와 ‘updated TIMESTAMP ON UPDATE CURRENT_TIMESTAMP‘ 입니다.

Default와 Extra 컬럼에 내용을 자세히 보십시오. 여기서 Insert 를 다음과 같이 합니다.

‘created’ 컬럼에 자동으로 시간이 등록됩니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이 해줬어야 했습니다.

‘now()’ 함수를 사용해서 했어야 했지만 Mariadb 10 에서 TIMESTAMP 타입을 이용해서 컬럼을 정의하면 더 손쉽게 자동으로 처리를 해줍니다. 다음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