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PostgreSQL

읽기전용 PostgreSQL 튜닝.

이 문서는 읽기전용 PostgreSQL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튜닝 경험에 대해서 정리한 것입니다. 환경 테스트된 서버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Inter(R) Xeon(R) CPU E5606@2.13GHz * 2 RAM: 32GB HDD: SAS 450GB OS: Linux PostgreSQL: 9.2 이 서버는 하루에 한번 덤프된 PosgreSQL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Restore 하고 읽기전용, 그러니까 SELECT 쿼리만 사용 합니다. Linux 튜닝 리눅스 튜닝에 핵심은 공유메모리, 최대 열수 있는 파일수, 메모리관련 커널 파라메터들 입니다. 이는 최대 물리 메모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공유메모리 리눅스의 최대 공유메모리는 다음과 같은 계산으로 세팅이 가능합니다. 단, […]

Database, PostgreSQL

튜플(Tuple) 과 백쿰(VACUUM)

PostgreSQL 은 다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테이블(Table)에 데이터를 레코드(Record) 혹은 로우(Row)라고 한다. 그런데, PostgreSQL 에서는 튜플(Tuple)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이 튜플은 PostgreSQL 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입니다. 이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통계정보 확보. 먼저 이 튜플을 알기 위해서는 PostgreSQL 이 제공하는 통계정보를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이 통계정보에는 로우 갯수와 튜플 갯수등을 볼 수 있고 로우에 변화에 따라서 이들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튜플이 과연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샘플 테이블을 만들자.

그리고 샘플 데이터를 […]

Database, PostgreSQL

명시적 락킹(Explicit Locking)

이 문서는 PostgreSQL 9.1.2 문서중에 13.3 챕터를 해석한 것입니다. 전문 번역가도 아니고 중학교 영어만으로 해석한 것이어서 의미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원문: http://www.postgresql.org/docs/9.1/static/explicit-locking.html 13.3 명시적 락킹(Explicit Locking) PostgreSQL 은 테이블의 데이터에 동시적 접근(concurrent access)을 제어하기 위해서 다양한 락 모드(Lock mode)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모드들은 MVCC(다중 버전닝 동시성 제어)가 바라던 해동을 제공해주지 않을때에 애플리케이션 제어 락킹을 하려고 할때에 사용되어질수 있습니다.  또 대부분의 PostgreSQL 명령어들(commands)은 명령어가 실행되는 동안에 비호환적인 방법으로 참조하는 테이블이 변경되거나 버려지진(Dropped)않도록 하기위해서 자동적으로  적절한 락을 획득합니다. (예를들어, TRUNCATE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