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StatefulSet 에서 로컬 디스크 사용 에 대한 글이다. Kubernetes 에서 디스크 사용은 어려운감이 있다. PersistentVolume 과 PersistentVolumeClaim 이라는 것을 알아야하고 이를 알고나서도 여러가지 속성들때문에 헷깔리는 경우가 많다. PersistentVolume 관련해서 문서를 보면 대부분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스토리지를 이용하는 예제가 많다. 그것이 아니라면 nfs 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나처럼 집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실습해 보기가 쉽지 않은게 사실이다. StatefulSet 의 경우가 바로 이런 경우였다. StatefulSet 을 연구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예제를 찾아봤고 다음과 같은 파일을 찾아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nginx namespace: perf-poc labels: app: nginx spec: ports: - port: 80 name: web clusterIP: None selector: app: nginx --- apiVersion: apps/v1 kind: StatefulSet metadata: name: web namespace: perf-poc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serviceName: "nginx" replicas: 2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 10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k8s.gcr.io/nginx-slim:0.8 ports: - containerPort: 80 name: web volumeMounts: - name: www mountPath: /usr/share/nginx/html nodeSelector: kubernetes.io/hostname: knode volumeClaimTemplates: - metadata: name: www namespace: perf-poc spec: accessModes: [ "ReadWriteOnce" ] resources: requests: storage: 1Gi |
StatefulSet 은 비상태(stateless) 자원을 생성하는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