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18.04 에서 호스트네임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준다. 이렇게 한 후에 리부팅을 하면 원래 변경전 호스트네임이 나온다. 이럴때 /etc/cloud/cloud.cfg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변경을 해주면 된다. 이렇게 바꾼후에 다음과 같이 로그인 서비스를 재시작 해준다.
x86_64 시스템에서 4MB 크기 HugePageSize 변경 불가.
HugePage 는 Linux 의 기본 메모리 페이지 크기인 4K(4096) 가 아닌 더 큰 페이지를 사용하도록함으로서 잦은 메모리 액세스를 줄여 자원 소모를 줄이게 해준다. 최신의 Linux 는 전부 이것을 지원하며 다음과 같이 확인 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
[orion@localhost ~]$ grep Huge /proc/meminfo AnonHugePages: 96256 kB ShmemHugePages: 0 kB HugePages_Total: 0 HugePages_Free: 0 HugePages_Rsvd: 0 HugePages_Surp: 0 Hugepagesize: 2048 kB |
기본 메모리 페이지는 Hugepagesize 인 2MB(2048kb) 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메모리 페이지 크기를 바꿀 수 있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불가능하다. 이 Hugepagesize 는 CPU 지원에 의존한다. 2MB – cpu에 ‘pse’ 가 지원되면 된다. 1G – cpu 가 ‘pdpe1gb’ 가 지원되면 된다. 최신의 […]
Linux PAGE_SIZE 그리고 HugePage
다음의 글이 도움이 될 듯 싶다. Kernel hugepages does not alter the calculation of SHMMAX, which you need to set large enough to fit your largest Oracle SGA. SHMMAX applies to SYS V shared memory, which can be hugepages or use conventional 4K memory pages. SHMMAX is not relevant when you use /dev/shm POSIX shared memory (Oracle AMM). The Oracle database requires shared memory for the SGA. This can be Sys V (IPC) or POSIX /dev/shm. Shared memory and semaphores, […]
XFS 마운트 옵션.
XFS 파일 시스템은 요즘에 들어서 많이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SGI 회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대용량 파일 시스템으로 특화되어 있습니다. 최근들어 Big Data 가 대두되면서 스토리지 용량이 대용량화 되면서 XFS 가 떠오르는데, CentOS 7 배포판은 기본 파일시스템으로 XFS 가 되었습니다. XFS 는 옵션들이 많이 있는데, 보통 대용량으로 많이 사용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옵션을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1 |
/dev/sdb /srv/node/sdb xfs noatime,nodiratime,nobarrier,logbufs=8 0 2 |
KVM에 Bridge Network 설정
CentOS 6 에는 가상화로 KVM만 지원합니다. Xen은 빼버렸습니다. 가상화로 KVM을 하게되면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그런데, KVM을 활성화하게 되면 virbr0 라는 가상의 이더넷이 생성이되는데 이것이 NAT로 동작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KVM의 게스트들은 virbr0 의 NAT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제가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사용환경은 공유기를 이용해서 각 피시에서 private ip 주소를 할당해서 사용합니다. 그래서 KVM의 게스트들도 직접 공유기로 부터 private ip 주소를 할당 받기를 원했습니다. 그렇게 하기위해서는 virbr0 를 NAT를 정지시키고 br0 을 만들어서 eth0와 br0를 Bridged 시키면 됩니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