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

민트 리눅스에서 OpenvSwitch 설정하기

민트 리눅스(Mint Linux) 21.03 을 쓰고 있는데, 네트워킹이 NetworkManager 으로 되어 있다. Ubuntu 22.04 LTS 에서는 networkd 였지만 민트 리눅스는 같은 Ubuntu 라고 하더라도 네트워킹 운영을 NetworkManager 가 담당하고 있다. 이 문서는 민트 리눅스에서 OpenvSwitch 설정에 대한 것이다. Ubuntu 와 다른 네트워킹을 사용하기 때문에 nmcli 명령어를 이용한 방법을 소개 한다. 민트 리눅스 네트워킹 설정 이렇게 NetworkManager 일 경우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련 설정을 nmcli 로 하게된다. 물론 민트 리눅스 이기 때문에 GUI 를 통해서 손쉽게 할 수 있다. GUI 툴을 이용해서 […]

HowTo

Ubuntu, systemd-networkd 전환하기

Ubuntu 16.04 로 넘어오면서 SysV 의 Init 이 Systemd 로 변경되었다. 이런 변화에는 Network 관리에도 적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존의 Network 관련된, 정확하게는 Network Interface 와 관련된 일은 NetworkManager 가 담당했다. Network Interface 가 무엇인지, 아이피는 DHCP 혹은 Static 인지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Ubuntu 16.04 로 넘어오면서 시스템에 관련된 일체가 systemd 로 통합되면서 네트워크 관련 작업도 systemd 로 통합되어지게 되는데, 이것이 systemd-networkd 이 이다. 하지만 Ubuntu 18.04 로 넘어온 시점에서도 NetworkManger 는 이전과 호환을 위해서 살려뒀고 살려둔김에 지금도 기본적인 […]

HowTo, Linux

Ubuntu 18.04, Static IP 할당하기

Ubuntu 18.04 의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련 작업은 netplan 으로 바뀌었다. 만일 Static IP 를 할당하고 싶다면 netplan 의 설정 파일을 수정하고 적용하면 된다. /etc/netplan/*.yml 여기서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대략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갖는다. dhcp4: yes 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DHCP 로 아이피를 받아온다. 하지만 이것을 no 바꾸면 Static IP 를 할당할 수 있다. netplan 적용 수정을 다 했다면 다음과 같이 적용해 준다.

HowTo, Linux

Ubuntu 18.04 ethernet 이름 변경하기

Ubuntu 18.04 를 설치하면 ethernet 인터페이스 이름이 과거 eth0 가 아닌 ens3 과 같이 나온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프로그램들이 기본적으로 eth0 를 기본으로 찾기도 한다. eth0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GRUB 파라메터 수정 다음과 같이 Grub 에 파라메터를 추가 한다. Grub 에 파라메터는 /etc/default/grub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추가할 수 있다. 수정된 사항이 Grub 에 반영하기 위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재부팅을 하면 안된다. 특히나 DHCP 환경에서는 다음의 단계를 수행한 후에 재부팅을 해야 한다. netplan 수정 netplan 은 Ubuntu […]

HowTo

Ubuntu APT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 문제

우분투(Ubuntu) 를 부팅하고 난 후에 로그인을 하면 몇개의 새로운 업데이트가 있는지를 알려준다. 그래서 새로운 패키지 설치를 위해서 ‘apt upgrade’ 명령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만나곤 한다.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인 dpkg 명령어가 이미 실행중인 것으로 인해서 실행이 안된다는 것이다. 실행을 할때에 lock 파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를 근거로 혹시 다른 것이 이미 실행되고 있는건 아닌지 추측하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다른 것이 이미 실행중일지도 모르니까 다음과 같이 프로세스를 체크해 본다. 보아하니 apt.systemd.daily 이것이 apt 명령어를 실행하고 그래서 […]

HowTo, Linux

UBUNTU 14.04 KVM 게스트에 콘솔 접속하기

KVM 가상화를 사용하고 있고 게스트로 Ubuntu14.04 를 사용하고 있다면 콘솔 접속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주어야 한다. ttyS0 터미널 설정 KVM 게스트인 Ubuntu14.04 에 콘솔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게스트 Ubuntu14.04 에 ttyS0 터미널로 접속을 해야 한다. 그런데 Ubuntu 14.04 에는 ttyS0 터미널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아 이를 설정을 해야 한다. /etc/init/ttyS0.conf 파일을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etc/securetty 파일에 ttyS0 를 추가 해준다.

  /etc/default/grub 편집 이제 grub 에서 ttyS0 이 콘솔 접속이 되도록 다음과 같이 편접해 준다. […]

HowTo, Linux

Ubuntu 16.04 KVM 게스트에 콘솔 접속하기

KVM 가상화를 사용하고 있고 게스트로 Ubuntu16.04 를 사용하고 있다면 콘솔 접속을 위해서는 Grub2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된다.

위와같이 해주고 다음과 같이 grub 을 갱신해준다.

 

JBoss EAP

Ubuntu 14.04 의 JBoss EAP 5.2 init 스크립트

JBoss EAP 5.2 를  Ubuntu 14.04 에서 운영할 경우에 서비스 시작을 init 에 등록하기 위한 스크립트. Wildfly 에 내용을 가지고 와서 마이그레이션 했다.

아래는 jboss-env.sh 의 내용.

 

HowTo, Linux

KVM Ubuntu 가상머신에 콘솔 접속하기

Ubuntu 를 KVM 가상머신으로 설치를 했다면 콘솔 접속을 해보면 안됩니다. 지난번에 CentOS6/7 배포판에서의 가상머신 콘솔접속에 대해서 다루어 었는데, Ubuntu 는 이들과 조금 다르기에 포스팅 해봅니다. 이 글은 ubuntu 14.04 를 대상으로 합니다. 처음 Ubuntu 를 KVM 가상머신으로 설치를 했다면 SSH 나 Virt-manager 나 vnc 를 이용해서 접속을 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콘솔접속을 위한 설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GRUB 설정 공통 Grub 설정은 /etc/default/grub 에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를 해줍니다.

Serial 콘솔 만들기 다음과 같이 […]

HowTo, Linux

패키지내에 파일 보기

패키지를 설치하기전에 그 패키지에 어떤 파일들이 들어 있는지를 알고 싶을때가 있습니다. Ubuntu, CentOS 에서 명령어로 모두 가능합니다. Ubuntu 의 경우 Ubuntu 에서는 apt-file 명령어로 간단하게 가능합니다. 설치 설치는 다음과 같이 ‘apt-get’ 명령어로 간단하게 됩니다.

File 리스트 업데이트 파일 내역들을 업데이트를 다음과 같이 해줍니다.

패키지에 File 리스트 보기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CentOS 의 경우 CentOS 에는 repoquery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이는 yum-utils 를 설치하면 있습니다. 설치 yum 명령어로 yum-utils 설치 가능합니다.

파일 보기 파일 보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