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Logic 에서 노드매니저(NodeManger)는 웹로직을 운영할 머신(Machine) 에 설치되는 것으로 웹로직의 Admin 서버에 요청을 받아 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노드매니저가 하는 일은 대략 다음과 같다. 매니지드 서버 생성/삭제 매니지드 서버 시작, 중지, 종료 웹로직을 설치하면 노드 매니저도 함께 설치가 된다. 기본적으로 터미널 상에서 노드매니저를 설정을 한 후에 Admin 콘솔에서 Admin 서버가 인식할 수 있도록 등록을 해줘야 한다. 여기서는 터미널 상에서 노드매니저 설정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루어 본다. 참고: Oracle WebLogic 12c (12.2.1): Configuring and Using Node Manager 노드매니저 설정 웹로직을 설치하고 난 후에 […]
WebLogic WLST 사용하기.
WebLogic 은 Administrator 를 위한 Web GUI 콘솔을 제공한다. 브라우저를 통해서 관리자로 로그인을 하면 Web 을 통해서 각종 설정들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Web 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무용지물이 된다. 이럴때 WebLogic Scripting Tools(WLST)를 사용하면 된다. 자바로 만들어지는 Tools 로서 Web GUI 화면 대신에 터미널상에서 실행되며 대화형식으로 Web GUI 콘솔에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실행하기 실행은 먼저 WebLogic 서버의 전역 변수를 소스(Source) 함으로써 WLST 실행환경을 조성해 준다.
1 |
]$ source /opt/WebLogic10.3.6/wlserver_10.3/server/bin/setWLSEnv.sh |
WLST 실행하기 이제 다음과 같이 WLST 을 실행한다. […]
weblogic.Deployer 를 이용한 배포.
WebLogic 은 weblogic.Deployer 라는 Command Line 명령어를 이용해서 배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GUI 화면인 WebLogic Admin Console 없이도 터미널을 이용해서 쉽고 빠르게 배포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setWLSEnv.sh 실행 터미널의 Command Line 에서 weblogic.Deployer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환경실행 파일을 먼저 실행해야 합니다. setWLSEnv.sh 라 불리우는 이 파일은 weblogic.Deployer 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라이브러리 클래스와 명령어 PATH를 세팅해 줍니다.
1 2 3 4 5 6 7 |
weblogic@wlserv1:~$ source $WLS_HOME/server/bin/setWLSEnv.sh CLASSPATH=/u01/app/weblogic/middleware/patch_wls1036/profiles/default/sys_manifest_classpath/weblogic_patch.jar:/u01/app/weblogic/middleware/patch_ocp371/profiles/default/sys_manifest_classpath/weblogic_patch.jar:/opt/jdk1.7.0_80/lib/tools.jar:/u01/app/weblogic/middleware/wlserver_10.3/server/lib/weblogic_sp.jar:/u01/app/weblogic/middleware/wlserver_10.3/server/lib/weblogic.jar:/u01/app/weblogic/middleware/modules/features/weblogic.server.modules_10.3.6.0.jar:/u01/app/weblogic/middleware/wlserver_10.3/server/lib/webservices.jar:/u01/app/weblogic/middleware/modules/org.apache.ant_1.7.1/lib/ant-all.jar:/u01/app/weblogic/middleware/modules/net.sf.antcontrib_1.1.0.0_1-0b2/lib/ant-contrib.jar:.:/opt/java/jre/lib PATH=/u01/app/weblogic/middleware/wlserver_10.3/server/bin:/u01/app/weblogic/middleware/modules/org.apache.ant_1.7.1/bin:/opt/jdk1.7.0_80/jre/bin:/opt/jdk1.7.0_80/bin:/home/weblogic/bin:/home/weblogic/.local/bin:/opt/java/bin:/usr/local/bin:/usr/bin:/bin:/usr/local/games:/usr/games:/snap/bin Your environment has been set. weblogic@wlserv1:~$ |
반드시 weblogic.Deployer 를 실행하기 전에 실행해줘야 합니다. weblogic.Deployer 사용법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Admin 서버를 주소와 포트를 알아야 […]
Systemd for WebLogic 11g
Ubuntu 16.04, CentOS 7, RHEL 7 부터는 Systemd 로 Kernel 의 메인프로세스가 바뀌었습니다. 과거에는 Init 이였는데 이 배포판들은 systemd 로 바뀌었습니다. 리눅스가 부팅하면서 SystemV 인 Run Level 에 따라서 자동으로 시작시키기위한 Init Script 가 존재했었는데, Systemd 도 리눅스가 부팅하면서 시작되도록 하는 Systemd Script 가 존재합니다. Systemd for WebLogic Administrator WebLogic 을 Systemd 로 동작하는 배포판에 설치했다면 시작/중지 스크립트를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Unit] Description=Weblogic 11g Adminserver service After=syslog.target network.target [Service] Type=simple StandardOutput=syslog StandardError=syslog SyslogIdentifier=wlsAdmin EnvironmentFile=/u01/app/weblogic/config/domains/mCloud/servers/AdminServer/etc/default/adminserver ExecStart=/u01/app/weblogic/config/domains/mCloud/bin/startWebLogic.sh ExecStop=/u01/app/weblogic/config/domains/mCloud/bin/stopWebLogic.sh User=weblogic Group=oinstall Restart=on-failur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Alias=wlsAdmin.service |
WebLogic 의 Admin 서버가 구동될때에 각종 옵션들을 주고 싶다면 “USER_MEM_ARGS” 쉘 환경변수로 지정하고 ‘startWebLogic.sh’ 를 실행하면 […]
WebLogic 11g 기동시 JAVA OPTION 넣기
WebLogic 11g 기동시 JAVA OPTION 넣기위해서 setDomainEnv.sh 나 commonEnv.sh 를 수정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WebLogic 11g 를 구성하는 Admin, NodeManager, ManagedServer 에 각각 따로따로 적용해주기위해서 앞에서 언급한 쉘 스크립트에 조건식을 줘야 한다. setDomainEnv.sh 나 commonEnv.sh 는 WebLogic 서버에서 전역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한 부분을 위해서 수정하는 경우는 지양해야 한다. 최신의 WebLogic 11g 에서는 이러한 특정부분만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JAVA OPTION 변수를 제공하는데 그것이 바로 USER_MEM_ARGS 이다. 쉘 환경변수로서 이것을 활용하면 Admin, NodeManager, ManagedServer 기동시에 JAVA OPTION을 줄 […]
WebLogic 11g 클러스터 설정.
WebLogic 11g 에서는 ManagedServer 를 클러스터 설정을 제공합니다. 역시나 Admin Web Console 을 통해서 클릭으로만으로 쉽게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WebLogic 11g 클러스터 설정 Admin Web Console 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이 가능 합니다. 왼쪽에서 클러스터를 누르고나면 위 화면과 같이 나오고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서 생성을 할 수 있습니다. 생성할 클러스터 이름을 입력해 줍니다. 적절한 이름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두번째로 클러스터 멤버간 메시징을 위한 방법을 정의해줍니다.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있는데 유니캐스트의 경우에는 클러스터 노드가 많지 않을 경우에 사용하는게 적절해 보이며 반대일 경우에는 멀티캐스트로 하는것이 […]
WebLogic 서버 복제하기
이 문서는 WebLogic 서버 복제하기에 대한 문서 입니다. WebLogic 버는 여러서버에 걸쳐서 설치가 되고 이들을 한대로 묶어 하나처럼 동작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서버의 설치버전과 환경설정등이 모두 동일 해야 합니다. 만일 WebLogic 서버가 10대 정도라고 하면 10대 서버 모두 새롭게 설치하는 절차를 거쳐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두 설정을 같게 해줘야 한다. 그런데 사람은 언제나 실수를 할 수가 있어 잠제적인 장애요소를 남기게 됩니다. 이럴때 필요한 것이 1대 서버에 설치를 하고 설치되고 설정이 모두 된 WebLogic 10.3.6 서버를 다른 서버에 […]
Weblogic 10.3.6 Node Manager 사용하기
Weblogic 10.3.6 에는 Node Manager 가 존재합니다. Node Manager 는 하나의 도메인에 존재하는 서버로 말 그대로 노드를 관리하는 기능을 합니다. 좀 더 들어가면, Node Manager 의 주요 기능은 도메인에 추가된 Managed Server 를 생성,삭제,시작,중지등을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만일 Node Manager 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Managed Server 를 Web Console 을 통해서 생성을 할 수 있지만 Managed Server 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에서 커맨드 라인으로 직접 시작 명령을 주거나 아니면 WST 를 이용해서 시작을 시켜줘야 합니다. Admin Server, Managed Server 는 도메인에 귀속되지만 Node […]
WebLogic 구동 시 /dev/random 블로킹 이슈 해결
WebLogic 10.3.6 을 설치할때에 관리 서버 1개와 매니지드 서버 1개를 생성하게 됩니다. 그런데, 서버 시작 스크립트에서 난수 관련된 것을 고치지 않으면 시작이 굉장히 오래 걸립니다. 이는 Unix 시스템의 경우에 /dev/random 을 사용하지 않고 /dev/./urandom 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두가지 인데, 첫번째로는 Java 의 Security 부분을 바꿔 주는 겁니다. 그러면 Java 를 사용하는 모든 자바 프로그램에 다 적용 됩니다. 다음과 같이 해줍니다.
1 2 3 |
]# vim $JAVA_HOME/jre/lib/security/java.security - 70 securerandom.source=file:/dev/urandom + 70 securerandom.source=file:/dev/./urandom |
이렇게 해주고 서버를 재시작 하면 적용 됩니다. 두번째는 Jav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에 JVM Command Line 파라메터를 […]
WebLogic 10.3.6 설치하기 – GUI
이 문서는 WebLogic 10.3.6 설치하기 중에 GUI 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 입니다. 지난번 글에서 “Server Only” 설치 실패후에 jar 파일을 이용한 설치를 기반으로 합니다. 환경 설치 환경에 대해서 먼저 설명을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JDK 1.7 Lastest Release Ubuntu 14.04 64bit WebLogic 10.3.6 – wls1036_generic.jar 설치 계정은 일반계정 입니다. 설치 방법은 GUI 입니다. 위와 같은 환경 입니다. 설치 파일 WebLogic 은 설치 방법이 어떤 패키지를 가지고 설치를 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이 문서에서의 설치는 다음과 같은 것을 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