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

Linux HotSwap 사용하기

컴퓨터 하드웨어가 발달하면서 기존 서버시스템의 기능을 데스크탑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중에 하나가 Hot Swap 이다. 스토리지(Storage) 를 컴퓨터를 끄지 않고도 교체할 수 있는게 Hot Swap 기능이다. BIOS 설정 Hot Swap 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BIOS 에 기능을 활성화 해줘야 한다. 제조사마다 BIOS 설정 메뉴가 다르지만 내가 사용하는 메인보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설정이 가능하다. Hot Plug 라고 이름이 다르지만 이것이 Hot Swap 이다. 만을 BlOS 에서 이 메뉴가 없다면 메인보드에서 Hot Swap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Linux 에서 사용하기 대부분의 최근의 […]

HowTo

리눅스 부팅 복구하기

VMPlayer 에서 RHEL 8.8 을 설치하고 사용하다가 KVM 으로 이미지를 바꿔서 옮겼다. 그리고 부팅을 했는데, 부팅이 되지 않았다. Graphic 모드를 끄고 부팅 메시지를 봤는데 다음과 같이 멈췄서 부팅이 되지 않는 것이였다. 부팅이 되도록 해야하는데, 어떻게 진행했는지 기록해 본다. 다른 KVM VM 에 디스크로 붙이기 부팅이 멈춘 RHEL8.8 VM 이미지를 다른 VM 의 디스크로 붙인다. virsh 명령어를 이용해서 디스크를 추가 할 수 있다. 먼저, KVM VM 을 시작 시켜놔야 한다. 구동되고 있는 VM 에 디스크를 라이브로 붙일 수 있다. OL85 VM […]

HowTo

RHEL 9 “dracut-initqueue [xxx]: Warning: /dev/disk/by-uuid/UUID does not exist” 부팅 실패

RHEL 9 부팅 실패는 다양하지만 “/dev/disk/by-uuid/UUID” 를 찾지못해서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문제해결 – 부팅 커널 옵션으로 장치를 직접 입력 -> 해결 안됨 인터넷 자료를 보니, 커널 옵션으로 장치 이름을 직접 입력하면 된다는 내용이 있어 해봤지만 되지 않았다. 부팅 커널은 부팅할때에 Grub 에서 편집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다음과 같이 편집을 한다. grub 메뉴에서 위와같이 UUID 를 빼고 디바이스 장치를 직접 입력했지만 되지 않았다. Grub2 재설정 -> 해결안됨 Grub2 에 UUID 값이 갱신되지 않아서 벌어지는 일이여서 이것을 갱신해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다음과 […]

HowTo

Rocky Linux 9 에 Open vSwitch 세팅하기

Rocky Linux 9 는 RHEL 9 (RedHat Enterprise Linux 9) 의 크론 버전이다. RHEL9는 상용인 반면에 Rokcy Linux 는 무료다. RHEL9나 Rokcy Linux 9 로 넘어오면서 변화한 것중에 하나가 ifcfg-eth0 파일이다. 이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에 존재했었고 eth0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저장되었었다. 부팅을하면서 Network-Manager 데몬이 이 파일을 읽어 실행했었다. 하지만 RHEL9과 Rokcy Linux 에서는 이 파일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nmcli 명령어를 통해서 세팅을 하도록 변경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Open vSwitch 세팅에서도 영향을 준다. 우분투와 다르게 RHEL9, Rocky […]

HowTo

KVM Image 용량 증설하기

KVM 가상화를 운영하고 있는데, 운영중인 VM 하나가 용량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KVM 가상화 VM 의 용량은 결국 이미지 파일 한개임으로 이 이미지 파일의 용량을 늘려주면 VM 의 용량이 사실상 늘어나는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현시점(2023) 에서 검색을 해보니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했다. 그 중에는 VM 이미지를 로컬에 마운트해서 늘려주는 방법도 존재했지만 너무나 복잡해 보였다. 좀 더 쉬운 방법이 없을까 해서 검색한 결과 가장 쉬워보이는 것을 발견했고 이 방법으로 손쉽게 VM 용량을 늘리는데 성공했다. VM 상태 용량을 늘리려는 VM 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

HowTo

Mint Linux 21.1 설정

오랫동안 민트 리눅스(Mint Linux) 를 데스크탑 운영체제로 사용해왔다. 정확하게는 데스크탑 PC 를 새로 맞춤과 동시에 설치해서 써왔는데, 이번에 데스크탑 PC 를 교체하게 되면서 민트 리눅스를 재설치해야하는 상황이 되어 그 동안 써왔던 민트 리눅스 설정을 기록으로 남긴다. XFCE 데스크탑 민트 리눅스 데스크탑은 세가지가 존재하는데, 그중에서 XFCE 데스크탑을 사용했다. 이 XFCE 를 만진지도 거의 20년이 넘었다. 솔라리스의 CDE 를 닮아서 쓰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쓰고 있다. XFCE 는 가벼우면서도 복잡하지 않는 데스크탑이다. 그러다보니 별로 설정할게 존재하지 않는다. 데스크탑이라는 것이 어짜피 설치하고 나면 쓰는 […]

HowTo

VIM lightline 플러그인

vim 을 사용할때에 필요한 것이 상태바(Status Bar) 다. 보통은 airline 을 많이 쓰는데, 여러가지 의존성이 필요해서 사용하기에 쉽지가 않다. lightline 은 의존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vimrc 에 설정을해주면 된다. t_Co=256 설정과 아래 두가지 부분의 설정이 핵심으로 보면 된다.

HowTo

systemd unit 편집기 바꾸기

systemd 는 이제 리눅스 시스템의 뼈대가 되는 기본운영 방법이 되었다. 기존에는 System V Init 이였지만 RHEL 7, Ubuntu 16.04부터 기본 시스템운영 프로그램이 되었다. systemd 는 ‘ctl’ 로 끝나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systemctl, journalctl, timedatectl, hostnamectl, loginctl 이 대표적이다. systemctl 의 경우에는 systemd unit 파일들에 대한 제어와 설정이 가능하다. systemd unit 파일은 기존의 Systemv V init Script 를 대체하는 것으로 일종의 시스템 데몬 프로그램들이라고 보면 된다. 시스템이 시작될때에 자동으로 시작되게 한다거나 종료하게 한다거나 하는것들을 가능하게 한다. unit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기 […]

HowTo, Linux

DNF 사용하기

CentOS 8 로 넘어오면서 기본 패키지 매니지먼트로 dnf 가 되었다. 여전히 yum 을 지원하지만 앞으로는 dnf 로 쭉 간다고 하니 이참에 배워보자고 생각하지만…. 겁나 빡치는게, 이제 그만 바꿨으면 한다. 뭔 yum 정도로도 충분히 잘 쓰고 있고 괜찮다고 싶다. 무슨 겁나 가볍네, 더 빠르네 어케 좋네… 응 yum 도 그렇게 느리고 그렇게 무겁지도 않아! 도대체 뭘 할때마다 갈아 엎고 이걸 새로 배우라고 하니.. 뭐 어쩌것나.. 그렇게 하겠다는데, 닥치고 배워야지! dnf 햐.. 쓰기도 귀찮다… “DNF is the next upcoming major version o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