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Docker 실행하기

Docker 를 설치하고 나면 이제 실행을 해야 한다. 우선, 원래 실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른다.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다운로드 된 Docker 이미지를 가지고 Container 생성 Container 실행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는 pull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Docker ps -a Docker 에서 실행중이거나 중지된 Container 의 목록을 보여 준다. Docker create -t -i imageId /bin/bash [ –name naming ] Docker Container 를 생성한다. -t 는 tty 를 할당하고 하게 -i 는 Interactive 를 말한다.  보통 -t, -i 옵션을 붙여서 -it 로 붙여서 […]

Docker

Docker Hub

Docker Hub Docker 는 컨테이너기반 애플리케이션 격리모드로 동작하도록 해준다. 기존의 Hypervisor 를 사용하는 가상화가 아닌 Docker Engine 이 각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해준다. 애플리케이션이라는 말은 운영체제를 포함한다. 이 컨테이너에서 운영할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이 있어야 하는데, 이런 것을 개개인이 만들어서 사용해야한다면 비용이 많이 들것이다. 예를들어 Ubuntu 16.04 를 Docker 에서 동작하기 위해서 Docker 컨테이너 환경에서 설치부터 해야한다면 가상화 시스템과 다를바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이미지로 구워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미지를 다운받아 각종 설정들과 함께 실행만 시키면 될 것이다. 이는 마치 리눅스 시스템에서 […]

MySQL

MySQL 5.7 소스 설치

이 문서는 MySQL 5.7 소스 설치 문서 입니다. Boost 라이브러리 MySQL 5.7 로 넘어오면서 GIS관련해 기능과 InnoDB Engine 에서 R-tree indexes 가 포함되었다. geometry compute 위한 많은 native code 들로 작성이 되었는데 이를 위해서 Boost.Geometry 를 이용했다. 따라서 소스 설치시에 이 라이브러리를 필요로한다. Boost 라이브러리를 컴파일 단계에서 다음의 옵션으로 알려줄 수 있다. -DWITH_BOOST: Cmake 컴파일러에게 Boost 지점를 알려준다. Boost 지점은 다음의 셋중에 하나여야 한다. tarball/zip 파일 tarball/zip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토리 tarball/zip 파일을 압축해제한 디렉토리 -DDOWNLOAD_BOOST: boolean 값으로 Boost tarball/zip 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게 할지 말지를 […]

HowTo

Bash 파일 존재 유무 체크하기

Bash 쉘 스크립트를 작성할때 자주 사용하는 로직인 바로 파일 존재 유무를 체크하는 것이다. 파일 하나만 체크할 수도 있고 여러파일을 체크할 수도 있다. 여러 파일을 체크할때는 다음과 같이 할 것이다.

이것을 Bash 쉘 스크립트에서는 어떻게 리턴을 받아야 하나하는 고민이 생긴다. 가장 쉬운 방법은 stdout, stderror 를 체크하는 방법이다. Bash 에서 이를 exit code 라고 하고 $? 에 세팅이되어 다음과 같은 로직이 가능해진다.

명령어가 성공(stdout)하면 $?에 0, stderr 면 1 이다. 위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다.

위 방법외에도 한줄로 다음과 […]

DevOps

salt-ssh 패스워드 입력으로 동작하게 하기

salt-ssh 는 Client 와 통신 및 명령어를 전달하기 위해서 SSH를 이용하는데, 매번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보다는 RSA 인증키를 교환함으로써 무인증 로그인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가끔은 보안문제로 인해서 무인증 RSA 인증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매번 실행할때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Client 에 관한 리스트는 roster 파일에 기술한다. salt-ssh 는 이 파일에 있는 목록으로 Client 를 호출하고 등록한다. 기본 roster 파일은 Salt root 디렉토리에서 etc/salt/roster 파일이다.

roster 파일의 예제는 위와 같다. 하지만 password 필드도 보안문제로 적어서는 […]

MariaDB

MariaDB 10.2.13 소스 설치

MariaDB 는 MySQL 의 오픈소스 버전 입니다. MySQL 를 최초로 개발한 사람이 점점 폐쇄성이 짙어가는 MySQL 을 대체하기 위해 MySQL 을 복제하고 기능을 개선한 MySQL 의 또 다른 버전 입니다. 현재 MariaDB 는 10.2.13 버전 입니다. MariaDB 10 소스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CentOS 7 64bit 준비 다음의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다운로드 및 unpack

  Configure and make and install MariaDB 는 cmake 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Configure 와는 다르게 이것을 이용 합니다.

[…]

Docker

Docker 기본 원리

Docker 는 Linux 의 Container 기술이다. 일단 Linux 에 해당하는 기술이라고 하는 이유와 함께 Container 를 위한 제반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과거에 Solaris 에 Zone 이라는 기술이 있었다. 가상화기술이 아니라 Container 기술이라고 소개가 되었던 기억이 있다. Solaris 9 에서 이전의 Solaris 8 을 Zone 이라는 기술을 이용해서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돌릴 수 있었다. Linux 진영에서는 Jail 이라고 해서 chroot 로 파일시스템을 격리하는 기술을 이용해 마치 독립된 하나의 운영체제처럼 사용했었다. 지금도 검색을하면 Jail 환경에서 웹서버를 돌리는 기술 문서가 나온다. 그러다가 Linux 진영에서 아예 […]

AWS

Amazon RDS의 Read Replica 에 Multi-AZ Deployment 지원.

2018년 1월 11일날자로 “Amazon RDS 읽기 전용 복제본은 이제 다중 AZ 배포를 지원합니다.” 를 발표했다. 한글화를 하니까 그런지 잘 와닫지 않는데, URL 주소를 보면 확실히 이해가 될 것이다. 그런데, 저 글에서 한가지 불만이 있다. 다이어그램이 없다는 거!! 하지만 놀랍게도 AWS 의 트위터에서 이것을 소개하는데 다이어그램이 있었다. 그래서 다이어그램을 첨부한다. 링크에 내용 중에 다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제 프로덕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재해 복구(DR) 전략의 일부로서 다중 AZ과 함께 읽기 전용 복제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잘 설계 및 테스트된 DR 계획은 재해 […]

AWS

Amazon S3 버킷 성능 끌어올리기

이글은 “How do I improve the performance of my S3 bucket?” 의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슈 Amazon S3 에 작업부하(workload)가 굉장히 높을때, S3 성능은 작업부하에 맞춰서 확장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때때로 HTTP 500, 503 에러를 받게된다. 다음과 같은 작업부하에서 어떻게 Amazon S3 버킷의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을까? 100 request/sec 넘는 혼합된 요청 타입(GET, PUT, DELETE 혹은 GET bucket) 300 request/sec 넘는 GET 요청. 개관 Amazon S3 는 각 AWS 리전에서 Object Key 이름의 인덱스(index) […]

Uncategorized

CentOS 6 버릴때가 됐다.

이제 CentOS6 은 버릴때가 됐다. 오늘 PHP 7 버전을 설치하려고 보니 crypto library 가 sodium 을 필요로 하는데 이게 버전이 1.0 이상 버전이다. 문제는 이 버전을 설치하기위해서는 autoconf, automake 를 별도로 설치해줘야 하며 libzip 의존성에서도 1.0 버전 이상을 요구해 의존성 패키지가 계속 생긴다. CentOS6 에서의 컴파일러 관련 패키지들이 버전이 낮은게 문제가 계속 되고 있다. CentOS6 의 End of life 는 2020년 11월 30일까지로 아주 오랜기간동안 지원을 해왔다. 어떤 소프트웨어를 아주 오랜기간 지원을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인데, 이렇게 오랬동안 지원해준데에 감사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