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Linux

Apache mod_ruid2 설치

Apache 는 TCP/IP 접속과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 컨텐츠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권한이 다릅니다. TCP/IP 접속관련은 Root 권한으로 동작하고 이후 동작은 아파치의 설정에 따른 권한으로 실행 됩니다.   아파치의 동작 권한은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위 설정은 아파치의 컨텐츠를 처리하는 프로세스가 nobody:nobody 권한으로 동작하도록 지정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버추얼 호스트(VirtualHost) 설정을 할 경우에 보통 각 계정별로 RootDocument 를 설정하는데, 이럴경우 아파치 프로세스는 한가지의 권한으로 동작하고 모든 계정에 접근해야 함으로 각 계정에 액세스 권한을 줘야 합니다. 그래서 주로 다음과 같이 해줘야 […]

Apache, Linux

Apache 2.4 새로운 기능

이 문서는 Apache 2.4  새로운 기능에 대해 기술한 문서 입니다.     1. 개요 Apache 2.2 는 2005년 후반기에 발표되고 지금까지 큰 버전의 변화가 없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다 최근 고용량의 정적 파일 및 큰 규모의 싸이트가 많아짐에 따라서 대량 접속에도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면서 빠르게 서비스 할 수 있는 웹서버가 절실해졌습니다. 이에 러시아에 한 업체가 자사 싸이트 운영을 위해서 웹 서버를 제작했고 이것을 공개했는데 그것이 바로 Nginx 입니다. Nginx 의 빠른 응답속도와 적은 리소스 사용은 그동안 Apache 서버에 답답해했던 많은 사용자들을 […]

Apache

리눅스 아파치 설치

Apache 는 전세계 웹 서버로 가장 많이 쓰이는 HTTP 서버 입니다. Apache 는 최신 2.4 으로 넘어오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 문서는 리눅스 아파치 설치 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입니다. 1. 개요 CentOS 7 배포판은 RHEL 7 을 재컴파일해서 만들어진 배포판 입니다. 이전 버전과 달리 서비스 데몬 관리로 Systemd 를 채용했고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XFS 를 채용하는등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CentOS 7 에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될 경우에 이 Systemd 와 결합을 시키는 것도 중요한 일로 떠올랐습니다. Systemd 는 단순하게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