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

Spring boot 에 systemd 유닛 만들기

요즘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역시나 자바 시스템이 있다. Spring Boot3 을 사용하고 있고 자바 17을 쓰는등 나름대로 괜찮은 환경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것을 서버에서 배포를 하고 Spring Boot 를 실행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나 봤더니 초보자 수준도 못 벗어나는 설정을 하고 있으니… 안타까운 마음에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 한번 적어봤다. Spring boot, jar 실행 파일 Spring Boot3 를 컴파일 하면 jar 파일 나온다. 그리고 별다른 서버 없이도 바로 실행하고 접속이 가능해 진다.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Spring boot3 […]

Java

G1 Collector 기본 설정

G1 GC 의 기본적인 목표는 짧은 STW 시간을 가지고 가는 것이다. 어짜피 STW 를 피하지 못할 바에야 이 시간을 짧게 가지고 가는게 유리하다. 여기서 구분해야할는게 있는데 STW 는 Young GC 일때도 발생한다. 하지만 그 시간이 매우 짧아서 못 느낄 정도일 뿐이다. Old GC 의 경우에는 Young GC 대비 STW 시간이 매우 길다. 그 이유는 Heap 메모리 전체를 청소해야하기 때문이며 청소해야할 공간이 클 수록 Garbage Collector 작동을 위한 자원 소모가 많아진다.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갖는다. 여기서 주목해야하는 것이 Full GC 발생하지 […]

Gradle

Spring Boot, error: constructor … in class .. cannot be applied to given types 오류

Spring Boot 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난 후에 Compile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날 수 있다.

에러 코드를 보면 new 연산자를 이용해 Employee 객체를 생성하는 부분인데, 이부분이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required: no arguments 라고 나오지만 Employee 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All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을 줘서 자동으로 모든 객첵 멤버변수를 인자로 받는 컨스트럭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했다. 이것은 Lombok 을 이용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gradle 에서 의존성을 줬다.

문제는 Eclipse 나 IDE 툴에서는 SpringBoot 애플리케이션이 잘만 실행되지만 정작 컴파일을 할려고 하면 […]

Kubernetes

컨테이너에서 Java 힙 덤프 뜨기

Kubernetes 에서 Java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할때에, Java 힙 덤프를 떠야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덤프를 떠지지 않는다.

“Unable to get pid of LinuxThread manager thread” 오류가 발생한다. 이 오류가 나오는 이유는 Java 애플리케이션의 Pid 값이 1이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Container 이미지에 tini 설치, 배포 먼저 Openjdk 의 컨테이너 이미지에 tini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이 tini 라는 프로그램은 인자값을 받은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tini 는 Pid 1을 가지지만 tini 가 실행시킨 프로그램은 1보다 큰 Pid […]

Uncategorized

Log4j 취약점, 한국 IT 보안에 대한 단상

몇일 전에 Apache 재단에서 제작해 배포하는 Log4j2 에 대해, 보안 취약점 등급 10등급으로 즉시 취약을 말하면서 보안설정과 패치를 하라는 권고를 했다.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등에도 매우 심각한 현상임을 인지하고 뉴스에도 나올만큼 큰 뉴스거리가 되었다. Log4j2 만 문제냐 하지만 이 업계에 10년 넘게 밥벌이를 하는 입장에서 별로 놀랍지도 않고 왜 그렇게 호들갑이냐 하는 생각이 먼저 든다. 모르는 사람이야 뉴스에도 나오고 전문가들이 심각하다고 하는데 ‘호들갑’ 이라고 말하니 내가 뭔가 잘못 말한것처럼 생각이 들겠지만 실상을 알고 나면 그렇지 않다는걸 […]

Java

JEE 7, JEE 8 and Jakarta EE 8

Java EE 7 Specification Java EE 8 Specification Jakarta EE 8 Specification The Jakarta EE 8 has the same set of specifications from Java EE 8 with no changes in its features. The only change is the new process to evolve these specifications. With this, Jakarta EE 8 is a milestone in Java enterprise history, as it inserts these specifications in a new process to boost the specifications to a cloud-native application approach. Jakarta EE 8: The new era of […]

Reactive

Reactive Stream 간단 사용

Reactive Stream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구현해줘야 한다. Publisher Subscriber Subscription 한가지 문제가 있다. 이것을 구현하기가 쉽지가 않다. 특히 Publisher 의 경우에는 Reactive Stream 의 기본 아이디어만 가지고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없다. 어떤 것을 Publisher 할지도 영향을 주는것도 문제지만 Reactive 의 Spec 을 마춰짜야 하는데 이게 쉽지가 안다. Publisher 를 간단하게 구현 방법이 없을까? SubmissionPublisher 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사용해 볼 수 있다. 이 문서는 SubmissionPublisher 를 이용해 어떻게 Reactive Stream 을 구현하는지를 설명한다. SubmissionPublisher Class 이 클래스를 간단히 […]

Reactive

자바 Reactive Stream 구현체

자바(Java) 에서 Reactive Stream 구현체를 살펴본다. 이전 글에서 Reative Stream 의 기본 아이디어를 설명했었다. Flow control Publisher – Subscriber pattern 또한 이 아이디어를 위한 포맷은 Publisher – Subscriber 이다. Reactive Stream 에서 이 모델은 1) Subscriber 가 Publisher 에게 가입을 요청하면 2) Publisher 는 Subscriber 와 통신을 위한 채널인 Subscription 을 생성하고 이를 통보한다. 이는 다음 그림과 같이 묘사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이 Subscriber 는 Subcription 을 통해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게 된다는데 있다. java.util.concurrent.Flow 자바에서 구현은 위 클래스에 구현 […]

Reactive

Reactive Stream Family

Reactive Stream 에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한다. 이것들은 각자의 고유한 이름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단하게 정리해 본다. Reactive Streams 저수준의 규약으로 주로 자바 인터페이스(Interface) 로 구현 되어 있다. 명시적인 back-pressure 으로 Publisher 와 Subscriber 의 기본 빌딩 블록을 표현한다. Java 9 에서 java.util.concurrent.Flow 로 구현되어 있다. RxJava 이것은 Reactive Extension 이다. Neflix 에서 개발해 오픈소스로 전화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ReactiveX 라고도 불린다. 브릿지 Reactive Stream 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Reactive Stream 을 위한 타입 전환을 지원한다. Reactor 자바 프레임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