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9에서 소개된 Reactive Stream 은 비동기(Asynchronously), 논 블럭킹(Non-Blocking)이 특징이다. 그렇다면 왜 이것이 특징이되어야만 했나. 이 특징에 반대되는 개념은 블럭킹(Blocking) 이며 블럭킹을 발생시키는 요인은 동시식 요청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둘을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는데 Reactive Stream 이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볼수 있다. 이 글에서 Reactive Stream 에서 핵심 특징의 아이디어를 아주 가볍게 고찰해 본다.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흐름. 데이터를 처리를 어떻게 할까? 좀 더 정확하게 표현을 한다면 데이터 처리를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할까? 대부분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첫째로 […]
스트림(Stream)
자바(Java) 세계에서 언제부터인지 스트림(Stream) 이라는 단어를 목격하게 되었다. 내 기억으로는 Java 8 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은데 난데없는 이 단어가 왜 그렇게 핵심이 되었는지가 의문이였다. 도대체 왜 스트림(Stream) 이냐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기도 어려웠던 시절이기도 하다. 그져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데에 몰두하는 모습만 목격됐을 뿐이다. java.util.stream 스트림(Stream) 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데이터 소스(Array, List) 로부터 흐름을 가지는 데이터의 집합체이며 통합연산을(bulk processing) 통해 데이터를 변형시키고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그 데이터를 소비하도록 한다. 스트림을 다루게 되면 항상 다음과 같은 데이터 소스들을 만나게 된다. 모두 […]
Error – The server time zone value ‘KST’ is unrecognized
Java 와 MySQL 을 연동하는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나기도 한다.
1 2 3 4 5 6 7 |
HTTP Status 500 – Internal Server Error Type Exception Report Message Request processing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CannotCreateTransactionException: Could not open JDBC Connection for transaction; nested exception is java.sql.SQLException: Cannot create PoolableConnectionFactory (The server time zone value 'KST' is unrecognized or represents more than one time zone. You must configure either the server or JDBC driver (via the serverTimezone configuration property) to use a more specifc time zone value if you want to utilize time zone support.) Description The server encountered an unexpected condition that prevented it from fulfilling the request. |
자세히 보면 java.sql.SQLException 이 보인다. 이 경우는 결국에는 데이터베이스쪽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며, MySQL을 사용할 경우에 보이게 된다. 이는 MySQL의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존 설정이 맞지 않아 생기는 오류다. MySQL 5.7, MariaDB 10 MySQL 5.7 과 MariaDB 10 을 사용한다면 my.cnf 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1 2 |
# time zone 설정 default-time-zone=Asia/Seoul |
설정할 수 있는 타임존 리스트는 MySQL 메뉴얼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렇게 했는데도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날 가능성도 있다.
1 |
[ERROR] Fatal error: Illegal or unknown default time zone 'Asia/Seoul' |
이럴때는 다음과 같이 […]
Tomcat 설치 디렉토리 구성
과거에 Tomcat Multi Instance 설치에 관해서 쓴 글이 있다. Multi Instance 설치에서 핵심은 CATANINA_HOME과 CATALINA_BASE 를 분리하는데 있다. 오늘은 한발 더 들어가서 배포를 위한 설정과 시작, 종료 스크립트의 변경등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Multi Instance 구성 Tomcat 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면 그것이 곧 CATALINA_HOME 이 된다. 그리고 CATALINA_BASE 를 위해서 conf 디렉토리를 복사해주고 bin, lib, logs, temp, webapps, work 디렉토리를 생성해준다. 그리고 더블어서 war 파일을 배포를 위한 디렉토리를 Deployments 를 생성해주고 PID 저장을 위한 run 디렉토리도 생성해준다.
1 |
Deployments bin conf lib logs run temp webapps work |
CATALINA_HOME 에서 […]
Spring5 requirements
Spring5 를위한 필요사항들을 정리. java 8. 원래 Spring5 는 Java 9를 기반으로 하려고 했지만 변경됐다. 이로 인해서 Reactive Programming을 하기 위해서는 의존성 라이브러리를 필요로 한다. 현재Java 9 은 지원이 중단된 상태다. Java 10 을 사용해도 된다. Java EE 8 호환. Servlet 4.0, Bean Validation 2.0 등을 지원한다. HTTP/2 지원한다. Jackson 2.9, Protobuf 3.0 지원.
Java 시간 대역 체크하기
Java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시간을 다루게 된다. 만일 점심시간인지 아닌지를 시간을 체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 대략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isAfter, isBefore 메소드를 이용하면 손쉽게 체크할 수 있다.
Maven 저장소 URL 변경하기
Maven 3 을 쓰다보면 Update나 Build 시에 Maven은 어딘서가 의존성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다운받은 파일을 어디에 저장할 것인가 를 지정하는것이 localRepository 이다. 문제는 어딘가에서 받아오는 저장소 URL 이 간혹 접속이 불가할 경우가 문제가 된다. 나 같은 경우에 일하고 있는 사무실 환경에서는 어찌된 영문인지 Maven이 패키지를 제대로 가지고 오지 못하고 있었다. 원인은 “Connection Time Out” 으로서 “https://repo.maven.apache.org/maven2” 에 접속이 되지 않아 발생 했다. 자세히 보니 https 로 접속이 안되는 문제였다. 이와같이 접속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Maven 저장소 URL 을 바꿀 필요가 있다. […]
Maven 다중 모듈 프로젝트 구성
STS Eclipse를 이용하면 손쉽게 Spring MVC 프로젝트를 구성할 수 있다. Spring MVC 프로젝트에는 Java 파일과 Web Content 파일을 모두 포함한다. 이를 Dynamic Content, Static Content 등로 구분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렇게 하나의 프로젝트에 모든 것을 담을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분리 배포가 불가능 하다. 요즘에는 WAS 앞에 Web 서버를 따로 두어 Static Content 를 서비스 하는 아키텍쳐가 많은데 하나의 프로젝트에 모든 것을 담게 되면 분리 배포가 어렵다. 단 하나의 큰 문제인데 이 문제를 가볍게 여길 수 없다. 실제 […]
Tomcat plugin 을 이용한 배포.
만일 WAS 서버를 Tomcat 을 이용해 개발을 하고 있다면 Maven tomcat7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배포를 할 수 있다. 참고로 이클립스의 tomcat add-on 과는 다른 것이다. 이것은 Tomcat 에서 제공하는 Manager 기능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이 문서의 내용은 Tomcat 8 버전에서도 이용 가능 하다. Tomcat 설정 Tomcat 의 Manager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여서 Tomcat Manager 설정을 먼저 해줘야 한다. 아시겠지만 Manager 접근을 위해서는 인증 설정을 해줘야 하는데 이 인증은 Tomcat 의 ㅊCATALINA_HOME/conf/tomcat-users.xml 파일을 다음과 같이 설정 해준다.
1 2 3 |
<role rolename="manager-script" /> <role rolename="manager-status"/> <user username="tomcat" password="tomcat" roles="manager-script, manager-status"/> |
Tomcat 방화벽 설정 앞서 설정을 […]
web.xml 스키마 예제 헤더
web.xml 스키마 헤더 예제는 버전별로 다음과 같다. Servlet 2.5
1 2 3 4 |
<?xml version="1.0" encoding="UTF-8"?> <web-app xmlns="http://java.sun.com/xml/ns/javae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java.sun.com/xml/ns/javaee http://java.sun.com/xml/ns/javaee/web-app_2_5.xsd" version="2.5"> |
Servlet 3.0
1 2 3 4 |
<?xml version="1.0" encoding="UTF-8"?> <web-app xmlns="http://java.sun.com/xml/ns/javae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java.sun.com/xml/ns/javaee http://java.sun.com/xml/ns/javaee/web-app_3_0.xsd" version="3.0"> |
Servlet 3.1
1 2 3 |
<web-app xmlns="http://xmlns.jcp.org/xml/ns/javae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xmlns.jcp.org/xml/ns/javaee http://xmlns.jcp.org/xml/ns/javaee/web-app_3_1.xsd" version="3.1"> |
Servlet 4.0
1 2 3 4 5 6 |
<?xml version="1.0" encoding="UTF-8"?> <web-app xmlns="http://xmlns.jcp.org/xml/ns/javae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xmlns.jcp.org/xml/ns/javaee http://xmlns.jcp.org/xml/ns/javaee/web-app_4_0.xsd" version="4.0"> |
Servlet 5.0
1 2 3 4 5 6 7 8 9 10 |
<?xml version="1.0" encoding="UTF-8"?> <web-app xmlns="https://jakarta.ee/xml/ns/jakartae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s://jakarta.ee/xml/ns/jakartaee https://jakarta.ee/xml/ns/jakartaee/web-app_5_0.xsd" version="5.0"> <!-- Config here. --> </web-app> |
Servlet 6.0
1 2 3 4 5 6 7 8 9 10 |
<?xml version="1.0" encoding="UTF-8"?> <web-app xmlns="https://jakarta.ee/xml/ns/jakartae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s://jakarta.ee/xml/ns/jakartaee https://jakarta.ee/xml/ns/jakartaee/web-app_6_0.xsd" version="6.0"> <!-- Config here. --> </web-app> |
참고: IBM Knowledge Center